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 의료지시서의 법적효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atient`s Advance Directive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위 김할머니 사건 판례는 환자 본인의 자기결정권을 어떻게 해석하여 연명치료를 중단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하여 과감하게 접근한 판례이다. 다만 가족의 진술에 의한 추정적 의사해석을...

      소위 김할머니 사건 판례는 환자 본인의 자기결정권을 어떻게 해석하여 연명치료를 중단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하여 과감하게 접근한 판례이다. 다만 가족의 진술에 의한 추정적 의사해석을 주변인의 진술에 의존하여 판단하는 한계가 있다. 아직 의학적으로 명확하게 연명치료중단의 기준을 판별하기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법원이 본인의 추정적 의사에 관하여 판단하도록 일임할 것인지의 여부와 중단에 대한 의학전문가들의 판단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 본인의 의사해석이다. 법원의 판단을 거치지만 결국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해주는 것이 법적·윤리적으로 타당한 처신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하여 외국의 앞선 존엄사법 등의 선례들을 보건데 결국 본인의 의사에 부합하도록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법원과 입법부의 고민이 최대의 관건이었다. 대법원이 밝힌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허용요건은 의학적으로 환자가 회복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진입했을 것과 환자의 의사표시를 인정할만한 사유가 있을 것 그리고 법원의 판결 또는 병원위원회의 판단이 있을 것을 요구한다. 이 중 다수의견과 소수의견간 첨예하게 대립한 부분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환자 본인의 추정적 의사해석의 문제였다. 이에 대한 반성적 고려에서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논의가 추후 법학계와 의료계에서 이슈가 재점화 되었다. 법원에서 유효한 사전의료지시서의 요건을 명시화함으로써 실제의료기관과 환자, 보건복지부 등 관련 기관에서 사전의료지시서의 요건과 효력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진행중이다. 이에 대하여는 환자의 의사능력과 의사의 설명의무의 범위, 환자 대리인의 권한, 사전의료지시서의 요식성을 요구하는 문제 등에 대한 국내외의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환자의 의사능력과 관련하여 환자의 행위능력과 동의 능력과의 관계, 포괄적 대리권 행사, 의사 설명의무의 세부적 명문화 범위 등이 주요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 감정상 말기환자에 대하여 현재 상태에 관한 언급을 의사가 직접 하는 경우가 별로 없으며, 죽음에 관한 언급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아직까지 사회적 함의 부족과 환자의 인식도가 성숙하지 않은 관계로 실행에 대한 한계 또한 고려된다. 그러나 보라매병원사건, 신촌세브란스 김할머니 사건처럼 본인 의사 확인이 안되어 야기되는 법적, 윤리적 수고스러움과 관련 분쟁의 해결을 위하여 본 지시서의 작성이 의료계약의 일환으로서 제도적 정착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patients have the right to terminate medically meaningless treatment upon confirmation that their terminal illness is indeed irreversible.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hus makes proof of the irreversibility of a ...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patients have the right to terminate medically meaningless treatment upon confirmation that their terminal illness is indeed irreversible.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hus makes proof of the irreversibility of a patient`s condition an important process in legitimatizing a patient`s decision to terminate life-sustaining treatment. However, since medical practice rejects explanation in terms of "essences" and is affected by issues of subjectivity, some argue that physicians cannot give indisputable confirmation of the irreversibility of a patient`s terminal illness, as required by the Supreme Court`s ruling. Medical decision-making is influenced by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cultural norms, regional practices, patient values, physician responsibilities, and patient autonomy, Whether or not a patient`s family members should also influence the medical decision-making process is a legitimate question. Advance directive refers to a description of the treatment method a patient wants to be provided with in case where the person is unconscious or lacks an ability to decision making in a future period or a declaration of intention that delegates and appoints another person who makes a decision regarding a treatment method on behalf of the person. Advance directive is usually a document form, but oral statement is acceptable as well. Advance directive may have a variety of forms though, it basically consists of two basic forms. That is, one is a living will, and the other is a surrogate decision making. Though the importance of advance directive has been emphasized, and the necessity of adopting the system has been strongly argued for so far, the debates on criteria, method, and procedure alike have not yet reached an agreement. It is because even the concept of advance directive is more or less ambiguous, and each specific method has its own theoretical limitations and practical constraints. Thus the inquiries on advance directive raised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the meaning, practicability,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advance directive. It is the so-called Shinchon Severance Hospital Case brought to an end by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that opened the real discourse of withholding or withdrawing of LST(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legal profession as well as medical profession in Korea. People has sympathy with the validity and necessity of legal regulation on withdrawing-including withholding-of LST save the requirements & procedure of withdrawing of LST. In this situation, the legislative bill of amendment to the Korean Civil Law introducing of adult guardianship was pre-announc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on September 18th 2009. The adult guardianship is a guardianship system that supports an mentally handicapped adult to deal with his affairs by support of a guardian. The object of adult guardianship includes affairs of body or well-being as well as property of adult wards. In particular, affairs of medical matters are of importance in the duty and authority of adult guardians. So, the introduction of adult guardianship is of much importance de lege lata as well as de lege ferena in th discussion of withdrawing of LST as a medical treatment. Since the legislation on withdrawing of LST intents to protect the right of death with dignity on the basis of patients` autonomy, the ratio legis of withdrawing of LST is variant from that of adult guardianship. In this context, it seems reasonable to legislate the withdrawing of LST separately from the adul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