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서북부 지역 적용을 위하여 인접한 중국 단동 지역시험포장에서 2021–2022 2년간 5월 6일과 5월 16일에 이앙하여 벼 품종의 출수기를 조사하고, 단동 지역의 벼 재배기간에 적응하는 출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25741
양운호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Hongguang Ju (연변대학교) ; 김정주 (국립식량과학원) ; 한아름 (국립식량과학원) ; 양정욱 (국립식량과학원) ; 김은영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 강신구 (국립식량과학원) ; 이대우 (국립식량과학원) ; 채미진 (국립식량과학원) ; 신명나 (국립식량과학원) ; Dongchun Jin (연변대학교) ; Jin Piao (연변대학교) ; Jichun Wang (길림농업과학원) ; Feng Zhu (길림농업과학원)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6-11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북한 서북부 지역 적용을 위하여 인접한 중국 단동 지역시험포장에서 2021–2022 2년간 5월 6일과 5월 16일에 이앙하여 벼 품종의 출수기를 조사하고, 단동 지역의 벼 재배기간에 적응하는 출수...
북한 서북부 지역 적용을 위하여 인접한 중국 단동 지역시험포장에서 2021–2022 2년간 5월 6일과 5월 16일에 이앙하여 벼 품종의 출수기를 조사하고, 단동 지역의 벼 재배기간에 적응하는 출수생태 특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1. 벼 재배기간에 단동 지역의 평균기온은 북한의 신의주보다 약간 낮게, 수풍보다는 약간 높게 경과하였으며, 이들세 지역의 일장 변화는 거의 동일하였다.
2. 시험 연도와 이앙시기에서 공통적으로 단동 지역의 안전출수한계기와 현지 품종 중 가장 늦은 출수기까지 출수한 국내 품종은 조생종 8개(진부올, 백일미, 조운, 진옥, 조평, 진부, 산호미, 오대)였으며, 북한 품종은 5개(올벼2, 선봉9, 온포1, 길주1, 평도15)였다.
3. 국내 13품종과 북한 7품종의 기본영양생장성은 12~43 일, 감광성은 3~56일, 감온성은 15~33일 범위였는데, 국내 중생 및 중만생 3품종(선품, 신보, 소비)과 북한 평양21은 감광성이 33~56일로 컸고, 다른 3품종(아세미, 진미, 평도5)은 기본영양생장성이 40~43일로 큰 특징을 보였다.
4. 단동 시험포장에서 나타난 벼 품종의 출수기는 감광성과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감광성이 컸던 중생과 중만생 3품종을 제외하면 기본영양생장성과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5. 단동 지역의 벼 재배기간에 적응하는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 35일 이하와 감광성 25일 이하를 모두 충족하는 출수생태 특성을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xamined the heading responses of rice varieties over two years in Dandong, China to select the varieties that are adaptable to the bordering northwestern plains of North Korea. Dandong had slightly lower mean temperature than Sinuiju, North Korea ...
We examined the heading responses of rice varieties over two years in Dandong, China to select the varieties that are adaptable to the bordering northwestern plains of North Korea. Dandong had slightly lower mean temperature than Sinuiju, North Korea but slightly higher than Supung, but it had almost the same day-length as the two regions in North Korea. In the two experimental years and two transplanting-date treatments, eight varieties (Jinbuol, Baegilmi, Joun, Jinok, Jopyeong, Jinbu, Sanhomi, and Odae) from South Korea and five varieties (Olbyeo2, Sonbong9, Onpo1, Gilju1, and Pyongdo5) from North Korea reached the heading stage not later than the latest heading dates of Dandong domestic varieties and the safe marginal heading dates of Dandong. We examined the basic vegetative phase (BVP), photoperiod-sensitivity (PS), and thermo-sensitivity (TS) of rice heading in a phytotron study to characterize the heading ecotypes of rice varieties adaptable to Dandong. For the rice varieties grown in Dandong experimental field, number of days to the heading stage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 and, except middle and mid-late maturing three varieties, i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BVP. Two-dimensional distribution plotting revealed that both 35 days or less BVP and 25 days or less PS were the characteristic heading ecotypes of the rice varieties adaptable to Dandong.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운호 ; 강신구 ; 김숙진 ; 최종서 ; 박정화, "북한 지역의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출수 한계기 및 재배 기간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 20 (20): 284-295, 2018
2 양운호 ; 강신구 ; 김숙진 ; 최종서 ; 박정화, "북한 지역별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안전 재배 시기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 20 (20): 190-204, 2018
3 양운호 ; 강신구 ; 최종서 ; 이대우, "북한 주요 벼 재배지역의 기온과 일장 환경에서 품종의 출수 반응과 지역 적응성분석" 한국작물학회 67 (67): 222-233, 2022
4 양운호 ; 강신구 ; 최종서 ; 이대우 ; 이석기 ; 채미진, "북한 저온 지역의 기온과 일장 조건에서 벼 품종의 출수 반응" 한국작물학회 66 (66): 190-200, 2021
5 양운호 ; 강신구 ; 김숙진 ; 최종서 ; 박종화, "벼 품종의 출수생태 특성에 따른 포장 출수 반응 분석" 한국작물학회 63 (63): 282-293, 2018
6 윤성탁 ; 김종환 ; 김홍열, "남북농업협력을 대비한 북한기후지역별 다수확 벼 품종 배치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7 (17): 243-251, 2005
7 김영호 ; 김희동 ; 한상욱 ; 최재연 ; 구자민 ; 정유란 ; 김재영 ; 윤진일, "공간정보와 생육모의에 의한 남한 벼 품종의 북한 서부지대 적응성 예측" 한국농림기상학회 4 (4): 224-236, 2002
8 양운호 ; 강신구 ; 최종서 ; 박정화 ; 김숙진, "고위도 지역 재배 벼 품종의 수량 향상을 위한 등숙적온 분석" 한국작물학회 65 (65): 182-191, 2020
9 Vergara, B. S., "The flowering response of the rice plant to photoperi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61-, 1985
10 Venkataraman, R., "Studies on thermo-photosensitivity of the paddy plant under field conditions" 59B : 117-136, 1964
1 양운호 ; 강신구 ; 김숙진 ; 최종서 ; 박정화, "북한 지역의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출수 한계기 및 재배 기간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 20 (20): 284-295, 2018
2 양운호 ; 강신구 ; 김숙진 ; 최종서 ; 박정화, "북한 지역별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안전 재배 시기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 20 (20): 190-204, 2018
3 양운호 ; 강신구 ; 최종서 ; 이대우, "북한 주요 벼 재배지역의 기온과 일장 환경에서 품종의 출수 반응과 지역 적응성분석" 한국작물학회 67 (67): 222-233, 2022
4 양운호 ; 강신구 ; 최종서 ; 이대우 ; 이석기 ; 채미진, "북한 저온 지역의 기온과 일장 조건에서 벼 품종의 출수 반응" 한국작물학회 66 (66): 190-200, 2021
5 양운호 ; 강신구 ; 김숙진 ; 최종서 ; 박종화, "벼 품종의 출수생태 특성에 따른 포장 출수 반응 분석" 한국작물학회 63 (63): 282-293, 2018
6 윤성탁 ; 김종환 ; 김홍열, "남북농업협력을 대비한 북한기후지역별 다수확 벼 품종 배치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7 (17): 243-251, 2005
7 김영호 ; 김희동 ; 한상욱 ; 최재연 ; 구자민 ; 정유란 ; 김재영 ; 윤진일, "공간정보와 생육모의에 의한 남한 벼 품종의 북한 서부지대 적응성 예측" 한국농림기상학회 4 (4): 224-236, 2002
8 양운호 ; 강신구 ; 최종서 ; 박정화 ; 김숙진, "고위도 지역 재배 벼 품종의 수량 향상을 위한 등숙적온 분석" 한국작물학회 65 (65): 182-191, 2020
9 Vergara, B. S., "The flowering response of the rice plant to photoperi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61-, 1985
10 Venkataraman, R., "Studies on thermo-photosensitivity of the paddy plant under field conditions" 59B : 117-136, 1964
11 Kim, K. C., "Studie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he reduction division and the grain filling stage in rice plants" 28 (28): 58-75, 1983
12 Ahn, S., "Studies on responses of the rice plant to photoperiod. III. Response of Korean varieties" 5 : 45-59, 1969
13 Yang, W., "Rice cultivation model to improve productivity in North Korea"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43-, 2019
14 Lee, E.-W., "Rice cropping" Hyangmoonsa 111-112, 1986
15 Tanaka, M., "Practical studies on the injuries of cool weather in rice plant. II. Temperature and heading date need to full development of rice grains" 19 (19): 57-61, 1950
16 Katayama, T., "Photoperiodism in the genus Oryza. III" 8 (8): 299-320, 1971
17 Oka, H., "Photoperiodic adaptation to latitude in rice varieties" 11 (11): 153-160, 1958
18 Chandararatna, M. F., "Photoperiod effects on the flowering tropical rices" 108 : 4-10, 1952
19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1 Moon, H. -P., "Handbook of rice varieties adaptable to North Korea"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and Institute of Northern Agricultural Research 127-, 2019
22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GIEWS Update :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ood supply and demand outlook in 2020/2021(November/October) 14 June 2021"
23 Vergara, B. S., "Factors determining the growth duration of rice varieties" 22 : 177-185, 1965
24 양원하 ; 신진철 ; Kyung-Jin Choi ; Jung-Il Lee ; Nam-Jin Chung, "Effects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Heading Habit of Recently Developed Korean Rice Cultivars" 한국작물학회 51 (51): 41-47, 2006
25 Asakuma, S., "Ecological studies of heading of rice. IV. Heading of photosensitive paddy rice under the condition of 24-hr illumination" 36 (36): 286-290, 1967
26 Asakuma, S., "Ecological studies of heading of rice. I. Relations between the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and several conditions, II. The “basic vegetative growing habit”, “sensibility to day-length”, and “sensibility to temperature” of Japanese rice" 27 (27): 61-66, 1958
27 Yun, S. -H.,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3 (3): 55-70, 2001
28 Kakizaki, Y., "A comment on growth physiology and yield of rice plants" 13 : 7-14, 1938
대기온도와 CO2 농도 증가에 따른 우점잡초 깨풀의 제초제 약효 및 콩 약해 변화§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from Tongil-type Rice Varieties
콩 우수 계통 ‘천알’에서 발견한 역병 저항성 유전자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