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Национальные интересы и политические цели РФ 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в эпоху Путина: взгляд из Сеула = Russia's National Interests and Policy Goals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utin’s Era: View from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ssia's national interest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primarily explained at three levels. First, it comes from the value of Northeast Asia as a geopolitical hub connecting the continent with the oceans. Second, it entails the worth as a security breakwater (security value against the US-Japan alliance system) to secure permanent security in the vulnerable Russian Far East. Third, it involves an explicit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s a useful bridgehead for the advancement of the economic region of Asia Pacific, which is emerging as the hub of the global economy in the 21st century.
      In short, it is a value as a geopolitical (political diplomacy), a 'geo-strategic' (military security), and a 'geo-economic' (economic and trade) gateway provided by the Korean peninsula. Given this area of value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national interests of cognitive dimension and the overlook policy means from a motivational point of view in the Putin era on the Korean peninsula.홍완석 – evan@hufs.ac.kr/ 관심분야: 러시아 대외정책, 한러관계, 동북아 및 CIS 국제관계
      번역하기

      Russia's national interest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primarily explained at three levels. First, it comes from the value of Northeast Asia as a geopolitical hub connecting the continent with the oceans. Second, it entails the worth as a security ...

      Russia's national interest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primarily explained at three levels. First, it comes from the value of Northeast Asia as a geopolitical hub connecting the continent with the oceans. Second, it entails the worth as a security breakwater (security value against the US-Japan alliance system) to secure permanent security in the vulnerable Russian Far East. Third, it involves an explicit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s a useful bridgehead for the advancement of the economic region of Asia Pacific, which is emerging as the hub of the global economy in the 21st century.
      In short, it is a value as a geopolitical (political diplomacy), a 'geo-strategic' (military security), and a 'geo-economic' (economic and trade) gateway provided by the Korean peninsula. Given this area of value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national interests of cognitive dimension and the overlook policy means from a motivational point of view in the Putin era on the Korean peninsula.홍완석 – evan@hufs.ac.kr/ 관심분야: 러시아 대외정책, 한러관계, 동북아 및 CIS 국제관계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국가적 이해관계는 크게 다음 세 가지 수준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동북아의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한반도의 가치, 둘째, 취약한 러시아 극동지역의 항구적인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안보적 방파제로서의 가치 (미일동맹체제에 대한 안보적 방역선으로서의 가치), 셋째, 21세기 글로벌 경제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는 아태지역 경제권 진출을 위한 유용한 교두보로서의 가치에 대한 명확한 인식에서 비롯된다. 요컨대 반도국가 한반도가 제공해 주는 ‘지정학적’(정치외교), ‘지전략적’(군사안보), ‘지경학적’(경제통상) 관문으로서의 가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치 영역에 의거하여 푸틴시대 러시아가 한반도에서 추구하는 인식적 차원의 국가이익과 동기적 차원의 정책목표를 분석적으로 조감하는데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국가적 이해관계는 크게 다음 세 가지 수준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동북아의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한반도의 가치, 둘째, 취약...

      오늘날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국가적 이해관계는 크게 다음 세 가지 수준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동북아의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한반도의 가치, 둘째, 취약한 러시아 극동지역의 항구적인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안보적 방파제로서의 가치 (미일동맹체제에 대한 안보적 방역선으로서의 가치), 셋째, 21세기 글로벌 경제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는 아태지역 경제권 진출을 위한 유용한 교두보로서의 가치에 대한 명확한 인식에서 비롯된다. 요컨대 반도국가 한반도가 제공해 주는 ‘지정학적’(정치외교), ‘지전략적’(군사안보), ‘지경학적’(경제통상) 관문으로서의 가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치 영역에 의거하여 푸틴시대 러시아가 한반도에서 추구하는 인식적 차원의 국가이익과 동기적 차원의 정책목표를 분석적으로 조감하는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남, "한․러관계의 반성 그리고 내일을 생각한다" 한국외교협회 (47) : 1998

      2 "아파나시에프 러시아대사 인터뷰"

      3 이지수, "북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과 정책" 극동문제연구소 19 (19): 7-205, 2003

      4 엄구호, "러시아의 신동방정책과 한·러 관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131 : 2017

      5 Михеев, В.В., "и Федоровский, А.Н. Межкорейские отношения и поли-тика региональных держав" ИМЭМО РАН 2014

      6 Жебин, А.З., "Усилия России во имя мира и согласия в Корее. Докладна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К дорожной карте мира иразвития в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от конфликта к диалогу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Владивосток. 29-31 мая 2014 г" 2014

      7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программа РФ,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е развитие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Байкальского региона"

      8 Путин, Владимир, "Россия: новые восточные перспективы"

      9 Толорая, Г.Д., "Россия и проблемы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на со-временном этапе" (4) : 2014

      10 Титаренко, М.Л., "Российско-китайское партнерство как фактор мираи стабильности 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Hanyang University 2004

      1 김유남, "한․러관계의 반성 그리고 내일을 생각한다" 한국외교협회 (47) : 1998

      2 "아파나시에프 러시아대사 인터뷰"

      3 이지수, "북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과 정책" 극동문제연구소 19 (19): 7-205, 2003

      4 엄구호, "러시아의 신동방정책과 한·러 관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131 : 2017

      5 Михеев, В.В., "и Федоровский, А.Н. Межкорейские отношения и поли-тика региональных держав" ИМЭМО РАН 2014

      6 Жебин, А.З., "Усилия России во имя мира и согласия в Корее. Докладна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К дорожной карте мира иразвития в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от конфликта к диалогу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Владивосток. 29-31 мая 2014 г" 2014

      7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программа РФ,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е развитие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Байкальского региона"

      8 Путин, Владимир, "Россия: новые восточные перспективы"

      9 Толорая, Г.Д., "Россия и проблемы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на со-временном этапе" (4) : 2014

      10 Титаренко, М.Л., "Российско-китайское партнерство как фактор мираи стабильности 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Hanyang University 2004

      11 Федоров, Ю.Е., "Развитие событий 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и инте-ресы России" (17) : 2001

      12 Денисов, В.И., "Позиция России в вопросе о мирном договоре по Корее" (3) : 2013

      13 "От Атлантики до Тихого океана: в чем выгода большого евразийскогопартнерства?"

      14 Брутенц, К. Н, "О внешнеполитической концепции России в Азиатско-Тихоокеанском регионе" Апрель-85 1995

      15 МИД РФ, "Новые Восточные перспективы" (12) : 2000

      16 Лукин, А.В., "Корея: от раскола к объединению" 7 (7): 2009

      17 Денисов, В.И., "Корейский ядерный кризис: перспективы урегулирова-ния" (7) : 2012

      18 Ткаченко, В.П., "Корейский полуостров и интересы России"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РАН 2000

      19 Торкунов, А.В., "Корейская проблема: новый взгляд" Анкил 1995

      20 Худолей, К.К., "Корейская проблема и интересы России"

      21 Булычев, Г.Б., "Корейская политика России: попытка схематизации" (2) : 2000

      22 Лузянин, С.Г., "Восточная политика Владимира Путина. ВозвращениеРоссии на Большой Восток" Восток-Запад 2007

      23 Савельев, Р.В., "Внешняя политика нового руководства России ироссийско-корейские отношения" (2) : 2001

      24 "https://mir24.tv/news/16108552/ot-atlantiki-do-tihogo-okeana-v-chem-vygo da-bolshogo-evraziiskogo-partnerstva"

      25 "http://www.imemo.ru/index.php?page_id=502&id=313"

      26 "http://www.imemo.ru/files/File/ru/publ/2014/2014_016.pdf"

      27 "http://webzine.nuac.go.kr/tongil/sub.php?number=1832"

      28 "http://government.ru/docs/1158/"

      29 "http://eurasia.upf.org/2008-09-01-11-40-11/speeches/1152-2014zhebin"

      30 "[2001 남북한 주변4강] 러시아는 지금(2), 달라진 한반도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84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