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이 긍정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인스타그램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이용하였고 1회 이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55107
2025
Korean
SNS ; 인스타그램 ; 인스타그램 포스팅 ; 긍정감정 ; 인터넷 친사회행동 ; SNS ; Instagram ; Instagram posts ; Positive emotion ; Internet prosocial behavior
KCI등재
학술저널
65-95(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이 긍정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인스타그램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이용하였고 1회 이상...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이 긍정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인스타그램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이용하였고 1회 이상의 포스팅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전문조사업체 ‘서베이링크’에 의뢰해 2024. 11. 11. ~ 2024. 11. 13. 동안 설문조사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300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에 활용 하였다. 우선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어빙 고프먼의 관점을 참고하여 ‘자아추구적 포스팅’, ‘상호작용 의례적 포스팅’, ‘자기관리적 포스팅’인 세 가지로 구분 지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개의 포스팅 모두 긍정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 감정도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긍정 감정은 인스타그램에서의 포스팅이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에 상대적으로 많이 논의되지 않았던 SNS의 긍정적인 측면을 알림과 동시에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을 하는 행위가 긍정감정과 인터넷 공간에서 개인의 친사회적인 행동을 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stagram posting on positive emotions and prosocial behavior on the internet.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1 to 13, 2024, targeting adult men and women who had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stagram posting on positive emotions and prosocial behavior on the internet.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1 to 13, 2024, targeting adult men and women who had used Instagram consistently for over three months and had at least one posting experience. The survey was commissioned through the professional research company “Survey Link,” and 300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Instagram pos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based on Erving Goffman’s perspective: ‘Self-Pursuing Postings’, ‘Interactive Ritual Postings’, and ‘Self-Management Postings’.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three types of pos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prosocial behavior on the internet. Positive emotion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prosocial behavior on the internet. Furthermore, positive emotions were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Instagram posting on internet prosocial behavior.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sitive aspects of social media, which have been relatively less discussed. Specifically, the study discovered that posting on Instagram encourages positive emotions and promotes individuals’ prosocial behavior in online spaces.
미디어의 진화와 게이 하위문화의 구조변동: 집단 범주화 문제를 중심으로
언론사와 증권사 간 인용 연결망을 통한 정보 불균형 탐구: 토픽모델링, 감성분석, 연결망분석을 통해
‘지역뉴스’는 어떻게 생산되는가?: 언론사 유형별 소속 기자들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언론신뢰 결여와 관련한 다양한 태도: 청년들의 언론에 대한 불신, 회의, 냉소, 무관심과 시민성의 관계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