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론신뢰 결여와 관련한 다양한 태도: 청년들의 언론에 대한 불신, 회의, 냉소, 무관심과 시민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 Various attitudes related to the lack of news trus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distrust, cynicism, skepticism, indifference, and citizen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55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언론에 대한 신뢰가 결여된 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서 논의했던 불신, 냉소, 회의, 무관심 등 다양한 종류의 언론에 대한 반감에 주목해 이들 태도가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영역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19-35세 사이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언론에 대한 불신, 언론에 대한 비관주의, 언론이 이기적이라는 생각, 회의, 무관심은 서로 구분되는 종류의 반감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같은 각각의 태도가 정치지식, 정치참여 정도와 같은 시민성 수준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핀 결과 언론의 미래에 대한 비관주의가 높은 이들은 정치지식이 낮으나 정치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불신이 높은 이들은 정치지식도 높고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언론에 대한 신뢰 결여를 좀 더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민주주의 유지, 발전에 있어 언론 신뢰 결여가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 논의했다는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언론에 대한 신뢰가 결여된 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서 논의했던 불신, 냉소, 회의, 무관심 등 다양한 종류의 언론에 대한 반감에 주목해 이들 태도가 서로 구분되는 별...

      본 연구는 언론에 대한 신뢰가 결여된 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서 논의했던 불신, 냉소, 회의, 무관심 등 다양한 종류의 언론에 대한 반감에 주목해 이들 태도가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영역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19-35세 사이 청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언론에 대한 불신, 언론에 대한 비관주의, 언론이 이기적이라는 생각, 회의, 무관심은 서로 구분되는 종류의 반감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같은 각각의 태도가 정치지식, 정치참여 정도와 같은 시민성 수준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핀 결과 언론의 미래에 대한 비관주의가 높은 이들은 정치지식이 낮으나 정치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불신이 높은 이들은 정치지식도 높고 정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언론에 대한 신뢰 결여를 좀 더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민주주의 유지, 발전에 있어 언론 신뢰 결여가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 논의했다는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various attitudes of antipathy toward the news media, such as distrust, cynicism, skepticism, and indifference,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to explain the lack of trust in the media, are distinct and separate dimensions. Focusing particularly on young adults' attitudes toward the news media, the findings show that distrust, pessimism regarding the future of the media, the perception of the media as selfish, skepticism, and indifference are distinct attitudes.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how each of these attitudes is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citizen competence, such as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pessimism tend to have lower political knowledge but are actively involved in politics. In contrast, those with high distrust demonstrate both high political knowledge and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The analysis is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South Korean young adults aged 19-35.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various attitudes of antipathy toward the news media, such as distrust, cynicism, skepticism, and indifference,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to explain the lack of trust in the media, are distinct and separate di...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various attitudes of antipathy toward the news media, such as distrust, cynicism, skepticism, and indifference,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to explain the lack of trust in the media, are distinct and separate dimensions. Focusing particularly on young adults' attitudes toward the news media, the findings show that distrust, pessimism regarding the future of the media, the perception of the media as selfish, skepticism, and indifference are distinct attitudes.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how each of these attitudes is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citizen competence, such as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pessimism tend to have lower political knowledge but are actively involved in politics. In contrast, those with high distrust demonstrate both high political knowledge and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The analysis is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South Korean young adults aged 19-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