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 『염철론』‘조선’ 기사의 분석을 중심으로 = A fluctuation of the Weimo-trade-network through the provisions of ‘Joseon’ in the Yantiel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6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염철론』의 ‘조선’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

      『염철론』의 ‘조선’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 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撫順市博物館, "遼寧省撫順市發現的戰國靑銅兵器, In 考古 3" 科學出版社 1996

      2 許明綱, "遼寧新金縣後元臺發現銅器" 5 : 1980

      3 吳江原, "遼寧地域의 청동기‧초기 철기시대 複合社會의 形成과 社會 變動, In 靑銅器‧鐵器時代 東北亞 諸地域 複合社會의 形成" 韓國學中央硏究院 2012

      4 吳江原, "遼寧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地域間 交涉 關係, In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학연문화사 2004

      5 旅順博物館導組, "旅大地區發現趙國銅劍, In 考古 6" 科學出版社 1973

      6 권오중, "樂浪郡硏究" 一潮閣 1992

      7 김한규, "한중관계사 Ⅰ" 아르케 1999

      8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3) : 173-222, 2013

      9 오강원, "요령 지역의 청동기문화와 북방 청동기문화 간의 상호 작용과 교류, In 오르도스 청동기문화와 한국의 청동기문화" 한국고대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 2007

      10 서영수,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1 撫順市博物館, "遼寧省撫順市發現的戰國靑銅兵器, In 考古 3" 科學出版社 1996

      2 許明綱, "遼寧新金縣後元臺發現銅器" 5 : 1980

      3 吳江原, "遼寧地域의 청동기‧초기 철기시대 複合社會의 形成과 社會 變動, In 靑銅器‧鐵器時代 東北亞 諸地域 複合社會의 形成" 韓國學中央硏究院 2012

      4 吳江原, "遼寧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地域間 交涉 關係, In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학연문화사 2004

      5 旅順博物館導組, "旅大地區發現趙國銅劍, In 考古 6" 科學出版社 1973

      6 권오중, "樂浪郡硏究" 一潮閣 1992

      7 김한규, "한중관계사 Ⅰ" 아르케 1999

      8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3) : 173-222, 2013

      9 오강원, "요령 지역의 청동기문화와 북방 청동기문화 간의 상호 작용과 교류, In 오르도스 청동기문화와 한국의 청동기문화" 한국고대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논문 2007

      10 서영수,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11 문안식, "옥저의 기원과 대외관계의 변화" 호남사학회 (32) : 1-36, 2008

      12 조진선, "세형동검문화의 연구" 학연문화사 2005

      13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 지역의 청동기문화" 청계 2006

      14 박대재, "문헌에 나타난 國家形成期의 複合社會" 2012

      15 李賢惠, "동예와 옥저, In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16 박준형, "대릉하∼서북한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변동과 고조선의 위치" 한국고대사학회 (66) : 169-208, 2012

      17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18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 地域의 燕나라 遺物 共伴 遺跡의 諸 類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韓國上古史學會 71 : 2011

      19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한국사학회 (108) : 1-37, 2012

      20 박선미, "교역품의 양적 분석을 통한 위만조선의 緩衝交易 연구" 동양학연구원 (50) : 93-117, 2011

      21 박준형,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22 서영수, "고조선의 대외관계와 강역의 변동"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29 : 1999

      23 박선미,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 화폐" 학연문화사 2009

      24 서영수, "고대국가 형성기의 대외관계, In 한국사 2" 한길사 1994

      25 桓寬, "鹽鐵論"

      26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87

      27 李盛周, "靑銅器時代 東아시아 世界體系와 韓半島의 文化變動" 23 : 1996

      28 鄒寶庫, "釋遼陽出土的一件秦戈銘文" 8 : 1992

      29 杜佑, "通典"

      30 司馬光, "資治通鑑"

      31 顧祖禹, "讀史方輿紀要"

      32 許愼, "說文解字"

      33 김남중, "衛滿朝鮮의 領域과 王儉城" 한국고대사학회 22 : 2001

      34 서영수, "衛滿朝鮮의 形成過程과 國家的 性格" 신서원 9 : 1996

      35 丁若鏞, "與猶堂全書, In 疆域考"

      36 오현수, "箕子 전승의 확대 과정과 그 역사적 맥락 ― 중국 고대 문헌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79) : 147-182, 2012

      37 岡村秀典, "秦漢金文の硏究視覺, In 古代文化 43" 古代學協會 43 : 1991

      38 吳江原, "燕나라 遼東郡 東遼河 土着 集團의 독특한 交流 方式, 二龍湖 城址" 白山學會 88 : 2010

      39 金南中, "燕‧秦의 遼東統治의 限界와 古朝鮮의 遼東 回復" 白山學會 62 : 2002

      40 瀋陽故宮博物館, "瀋陽鄭家窪子的兩座青銅時代墓葬" 1 : 1975

      41 班 固, "漢書"

      42 劉 安, "淮南子"

      43 孫進己, "東北歷史地理 1"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44 張博泉, "東北地方史稿" 吉林大學出版社 1985

      45 藤田亮策, "朝鮮高文化綜鑑 1" 養德社 1965

      46 藤田亮策, "朝鮮古文化綜鑑 1" 養德社 1965

      47 오강원, "戰國時代 燕나라 燕北長城 동쪽 구간의 構造的 實體와 東端" 한국고대학회 (33) : 163-205, 2010

      48 范 曄, "後漢書"

      49 集安縣文物保管所, "吉林集安縣發現趙國靑銅短劍" 6 : 1982

      50 司馬遷, "史記"

      51 徐榮洙, "古朝鮮의 위치와 강역, In 韓國史市民講座 2" 一潮閣 1988

      52 오강원, "古朝鮮의 浿水와 沛水" 江原大 史學會 13 : 1998

      53 박대재, "古朝鮮의 ‘王’과 國家形成" 7 : 2005

      54 박대재, "古朝鮮과 燕 齊의 상호관계-기원전 4세기말-3세기초 전쟁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83) : 1-38, 2006

      55 盧泰敦,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서울대 國史學科 23 : 1990

      56 陳壽, "三國志"

      57 오현수, "『회남자』 기재 ‘갈석’과 ‘요수’를 통해 본 전기 고조선의 중심지"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267-296, 2012

      58 오현수, "『逸周書』 「王會解」篇의 성서 시기 연구 ―「王會解」篇 中 ‘成周之會’ 관련 원전의 성서 시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6) : 103-130, 2013

      59 오현수, "『管子』에 등장하는 ‘穢���’과 ‘發朝鮮’의 역사적 실체 ― ‘穢���’․‘發朝鮮’ 조문의 사료 맥락적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3) : 119-150, 2012

      60 오현수, "『山海經』 ‘朝鮮’ 조문의 성서 시기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7) : 287-306, 2013

      61 趙峻九, "《鹽鐵論》에 나타난 賢良과 文學" 明知史學會 10 : 1999

      62 閔斗基, "《鹽鐵論》硏究 ―그 背景과 思想에 對한 若干의 考察(上)" 歷史學會 10 : 1958

      63 王永, "《鹽鐵論》成書時間再考論" 寧夏師範學院 30 (3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