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명리원전 『적천수(滴天髓)』의 판본 연구 = A Study on the Editions of Myeongri Original Text ‘Jeokcheons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5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청대와 중화민국,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십 종의 평주와 해석들이 등장하고 있는 명실상부 최고의 명리원전인 『적천수(滴天髓)』의 판본을 고찰해보는 것이다. 『적천수』의 원저자는 송대(宋代)의 경도(京圖)이며, 원말(元末)·명초(明初)의 유기(劉基)가 원주를 달았고, 청대(淸代)의 임철초(任鐵樵)가 증주를 달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원문의 저술 시기가 명대(明代) 중기 이후로 가정하게 하는 준거가 여러 가지 나타나고, 이 저술이 송대의 것일 가능성이 크지 않다면 그 저자 또한 송대의 경도(京圖)일 가능성 또한 높지 않다. 또한, 초기 판본을 출판 간행했던 진소암과 정지운의 진술을 살펴보면 통상적인 저자 인식에 부정적 의견도 크게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적천수(滴天髓)』의 판본 4종, 진소암이 편집 출판한 『적천수집요』, 천경당 목각본을 정지운이 보교정한 『명리수지적천수』, 임철초가 주석하고 손형보가 간행한 『적천수천미』, 임철초 주석본을 서락오가 편집 간행한 『적천수징의』에 기록되어 전하는 원문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가 『적천수』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향후 평주 비교 연구 등 관련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청대와 중화민국,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십 종의 평주와 해석들이 등장하고 있는 명실상부 최고의 명리원전인 『적천수(滴天髓)』의 판본을 고찰해보는 것이다. 『...

      이 논문의 목적은 청대와 중화민국,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십 종의 평주와 해석들이 등장하고 있는 명실상부 최고의 명리원전인 『적천수(滴天髓)』의 판본을 고찰해보는 것이다. 『적천수』의 원저자는 송대(宋代)의 경도(京圖)이며, 원말(元末)·명초(明初)의 유기(劉基)가 원주를 달았고, 청대(淸代)의 임철초(任鐵樵)가 증주를 달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원문의 저술 시기가 명대(明代) 중기 이후로 가정하게 하는 준거가 여러 가지 나타나고, 이 저술이 송대의 것일 가능성이 크지 않다면 그 저자 또한 송대의 경도(京圖)일 가능성 또한 높지 않다. 또한, 초기 판본을 출판 간행했던 진소암과 정지운의 진술을 살펴보면 통상적인 저자 인식에 부정적 의견도 크게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적천수(滴天髓)』의 판본 4종, 진소암이 편집 출판한 『적천수집요』, 천경당 목각본을 정지운이 보교정한 『명리수지적천수』, 임철초가 주석하고 손형보가 간행한 『적천수천미』, 임철초 주석본을 서락오가 편집 간행한 『적천수징의』에 기록되어 전하는 원문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가 『적천수』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향후 평주 비교 연구 등 관련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itions of ‘Jeokcheonsu’, the best Myoungri Classic in name and reality, that was featuring dozens of an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from the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of China, and modern times. The original author of ‘Jeokcheonsu’ was Gyeongdo of the Song Dynasty, firstly annotated by Yugi of the late Yuan Dynasty to Early Ming Dynasty, and Im Cheolcho of the Qing Dynasty annotated again. However, several observations in the original text suggest that the author's period of writing is postulated since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and if the book is not likely to belong to the Song Dynasty, the author is also unlikely to be Gyeongdo of the Song Dynasty. Besides, if you look at the statements of Jin Soam and Jeong Jiwoon, who published the early editions of ‘Jeokcheonsu’, there are man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usual author recogni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existing editions of ‘Jeokcheonsu’, ‘Jeokcheonsu-Jibyo’ edited and published by Jin Soam, ‘Myeongri Suji Jeokcheonsu’ revised by Jeong Jiwoon, ‘Jeokcheonsu-Cheonmi’ annotated by Im Cheolcho, and ’Jeokcheonsu-Jingui’ edited and published by Seo Rak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Jeokcheonsu’ more deeply and help us with related research, such as comparative studies of annotation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itions of ‘Jeokcheonsu’, the best Myoungri Classic in name and reality, that was featuring dozens of an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from the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of China, and modern times. 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itions of ‘Jeokcheonsu’, the best Myoungri Classic in name and reality, that was featuring dozens of an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from the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of China, and modern times. The original author of ‘Jeokcheonsu’ was Gyeongdo of the Song Dynasty, firstly annotated by Yugi of the late Yuan Dynasty to Early Ming Dynasty, and Im Cheolcho of the Qing Dynasty annotated again. However, several observations in the original text suggest that the author's period of writing is postulated since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and if the book is not likely to belong to the Song Dynasty, the author is also unlikely to be Gyeongdo of the Song Dynasty. Besides, if you look at the statements of Jin Soam and Jeong Jiwoon, who published the early editions of ‘Jeokcheonsu’, there are man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usual author recogni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existing editions of ‘Jeokcheonsu’, ‘Jeokcheonsu-Jibyo’ edited and published by Jin Soam, ‘Myeongri Suji Jeokcheonsu’ revised by Jeong Jiwoon, ‘Jeokcheonsu-Cheonmi’ annotated by Im Cheolcho, and ’Jeokcheonsu-Jingui’ edited and published by Seo Rak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Jeokcheonsu’ more deeply and help us with related research, such as comparative studies of annotation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시윤, "劉伯溫 命理思想의 哲學的 照明"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기승, "명리학사" 다산글방 2017

      3 이영무, "滴天髓闡微 命理理論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대학원 2017

      4 任鐵樵, "滴天髓闡微" 武陵出版社 1986

      5 陳素庵, "滴天髓輯要 滴天髓補註" 武陵出版社 1988

      6 任鐵樵, "滴天髓徵義" 武陵出版社 1986

      7 徐升, "淵海子平" 進源書局 2011

      8 나혁진, "明通賦를 통해 본 徐子平의 명리이론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2020

      9 劉基, "文選樓叢書" 1824

      10 萬民英, "三命通會" 武陵出判社 2002

      1 이시윤, "劉伯溫 命理思想의 哲學的 照明"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기승, "명리학사" 다산글방 2017

      3 이영무, "滴天髓闡微 命理理論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대학원 2017

      4 任鐵樵, "滴天髓闡微" 武陵出版社 1986

      5 陳素庵, "滴天髓輯要 滴天髓補註" 武陵出版社 1988

      6 任鐵樵, "滴天髓徵義" 武陵出版社 1986

      7 徐升, "淵海子平" 進源書局 2011

      8 나혁진, "明通賦를 통해 본 徐子平의 명리이론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2020

      9 劉基, "文選樓叢書" 1824

      10 萬民英, "三命通會" 武陵出判社 2002

      11 박헌구, "『滴天髓闡微』의 中和思想 硏究 : 用神論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3

      12 송미규, "『滴天髓闡微』 原注와 任鐵樵注의 비교 분석: 「通神論」의 <天道>에서 <配合>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85) : 451-481, 2020

      13 Seok Won Jung, "Study of 『Jeok-Cheon-Soo-Cheon-Mee(適天髓闡微, Di Tian Sui Chan Wei)』 「Tong-Sin-Ron(通神論)」" Asia Culture Academy of Incorporated Association 8 (8): 297-316,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