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논어(論語)』론 - 『논어사변록(論語思辨錄)』을 중심으로 - = Seogye(西溪) Park Se-dang(朴世堂)’s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 Focusing on Noneosabyeonrok(『論語思辨錄』, the Records of Prudent Meditation and Precise Distinction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논어사변록(論語思辨錄)』에서 표명된 박세당(朴世堂)의 경학사상(經學思想)을 특히 ‘『논어(論語)』의 주요개념에 대한 독자적 해석’과 ‘『논어사변록』에 나타난 경전해...

      이 논문은 『논어사변록(論語思辨錄)』에서 표명된 박세당(朴世堂)의 경학사상(經學思想)을 특히 ‘『논어(論語)』의 주요개념에 대한 독자적 해석’과 ‘『논어사변록』에 나타난 경전해석태도’를 중심으로 일별하였다.
      이를 전제로 『논어사변록』에서 박세당이 보여주고 있는 경학사상의 특징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학문방법론과 관련하여 수사학(洙泗學) 본연의 ‘구체적 실천성’과 ‘능동적 작위성’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특히 ‘『논어』의 주요개념’, 즉 ‘인(仁)’, ‘경(敬)’, ‘중(中)·용(庸)’, ‘학(學)’ 및 ‘정(政)’ 개념에 대한 독자적 해석에서 공통적으로 관철되고 있는바, 이는 곧 당시 조선 학계가 어느덧 노정하기 시작했던 하나의 경향성, 즉 비근하고 절실한 실천은 외면한 채 멀고 심오한 논리에만 매달리는 ‘엽등(躐等)의 폐단’과 아울러 한편으로 인간의 내면적 수양의 문제에다 일차적으로 초점을 맞춤으로써 은연중 이러한 경향성을 조장했던 정주성리학(程朱性理學)에 대한 비판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②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내용구성과 관련하여 자신의 ‘경전해석태도’를 개진·천명하는 데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곧 ㉠ 그의 경학사상이 정주성리학의 세계관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적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서 ‘대안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단계에까지는 여전히 진전되지 못하고 있었음을 함축하고 있다. ㉡ 그럼에도 그가 자신의 경학세계의 기본방향을 ‘수사학의 지향’으로 정립하는 가운데 일련의 독자적인 경전해석태도를 천명·실천함으로써 당시 조선사회에서 어느덧 교조화의 양상을 보이던 노론(老論)의 주자도통주의(朱子道統主義)에 심대한 균열을 야기했다는 맥락에서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이단적 사상가의 한 명이었음을 증언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③ 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자신의 경학적 입장과 관련하여 무조건 주자학을 비판·거부하는 것으로 일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경학적 입장은 결코 ‘반주자학(反朱子學)’에 있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요(堯)·순(舜) 이래 전수된바 ‘수사(洙泗)의 가르침’, 즉 ‘공맹(孔孟)의 본지’을 추구한다는 나름의 학문적 문제의식을 수미일관 견지함으로써 특히 정주성리학 역시 상대화하는 가운데 이를 독자적 입장에서 취사선택하는 안목과 역량을 보여준 바 있다. 이로써 그는 조선후기 ‘탈주자학적(脫朱子學的) 경학’의 흐름을 선도했던 실로 예외적인 사상적 거장 가운데 한 명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Park Se-dang’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are examined briefly, centering around ‘his original interpretations of the main concep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is hermeneutic attitudes toward Confucia...

      In this paper, Park Se-dang’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are examined briefly, centering around ‘his original interpretations of the main concep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is hermeneutic attitudes toward Confucian classics’ which are expressed especially in his Noneosabyeonrok(『論語思辨錄』, the Records of Prudent Meditation and Precise Distinction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On the assumption of thi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Park Se-dang’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appearing in his Noneosabyeonrok are as follows: ①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Confucian learning, Park Se-dang emphasized ‘concrete practice’ and ‘positive action’ which were deemed to be inherent in Susa Learning(洙泗學, the Lear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pre-Qin period) consistently. His stand above mentioned is carried out commonly in his independent interpretations of the main concep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such as ‘In(仁, Ren, humaneness or humanity)’, ‘Gyeong(敬, Jing, reverence)’, ‘Jungyong(中庸, Zhongyong, the mean in common practice)’, ‘Hak(學, Xue, learning)’ and ‘Jeong(政, Zheng, politics)’. And his aforementioned interpretations implied criticisms on the one hand against the tendencies of Confucian learning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toward holding on to esoteric principles whole-heartedly while neglecting familiar and urgent practices, and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 Cheng(程)-Zhu(朱) school which had fostered the above-stated tendencies implicitly through emphasizing the inner cultivation of the mind above all. ② Concerning the contents composition of his Noneosabyeonrok, Park Se-dang layed emphasis on explaining his hermeneutic attitudes toward Confucian classics. This fact does mean not only that hi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was not yet advanced to the phase of building an alternative world view through the full-scale dismantl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that of the Cheng-Zhu school, but also that in spite of this he was one of rare heretical Confucian thinkers at his time because he gave rise to serious damage to orthodox Neo-Confucianism safeguarded dogmatically by Noron(老論, the Old Doctrine faction) through his emphasis on the spirit of Susa Learning(洙泗學, the Lear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pre-Qin period) and his independent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③ In connection with his position to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Park Se-dang didn’t criticize and reject that of the Cheng-Zhu school unconditionally and mechanically in his Noneosabyeonrok. In this sense, he wasn’t an all-out antagonist to the Cheng-Zhu school nor a Confucian scholar insisting upon ‘Anti Neo-Confucianism’ at all. He rather was one of initiative and great Confucian thinkers who had led the way to ‘Post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尹絲淳, "한국의 사상" 열음사 1984

      2 김유곤,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1) - 『대학장구』와 『고본대학』의 체재를 개정한 학자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43) : 165-198, 2011

      3 송석준, "한국 양명학의 초기전개양상: 尹鑴와 朴世堂의 大學 해석을 중심으로" 韓國東西哲學硏究會 13 : 1996

      4 김종수, "텍스트이론으로 본 朴世堂의 人物性異論 형성과정" 한국실학학회 (7) : 1-54, 2004

      5 금장태, "조선 실학의 경전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6 금장태, "조선 실학의 경전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7 금장태, "조선 실학의 경전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8 김만일, "조선 17~18세기 尙書解釋의 새로운 경향" 景仁文化社 2007

      9 장숙필, "실학의철학" 예문서원 1996

      10 박재술,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1996

      1 尹絲淳, "한국의 사상" 열음사 1984

      2 김유곤,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1) - 『대학장구』와 『고본대학』의 체재를 개정한 학자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43) : 165-198, 2011

      3 송석준, "한국 양명학의 초기전개양상: 尹鑴와 朴世堂의 大學 해석을 중심으로" 韓國東西哲學硏究會 13 : 1996

      4 김종수, "텍스트이론으로 본 朴世堂의 人物性異論 형성과정" 한국실학학회 (7) : 1-54, 2004

      5 금장태, "조선 실학의 경전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6 금장태, "조선 실학의 경전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7 금장태, "조선 실학의 경전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8 김만일, "조선 17~18세기 尙書解釋의 새로운 경향" 景仁文化社 2007

      9 장숙필, "실학의철학" 예문서원 1996

      10 박재술,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1996

      11 강지은,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대학사변록(大學思辨錄)에 대한 재검토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의 주자주(朱子註)에 대한 비판적 고찰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3) : 303-331, 2007

      12 이종성,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새한철학회 61 (61): 95-114, 2010

      13 이종성,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한국공자학회 (19) : 13-55, 2010

      14 김종수, "서계 박세당의 상서・우공 편 주해 일고"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 (2): 2009

      15 한국학중앙연구원, "서계 박세당 연구" 집문당 2007

      16 尹絲淳, "서계 박세당 연구" 집문당 2007

      17 김종수, "박세당의 진리론과 사상 체계론" 韓國實學學會 4 : 2002

      18 허종은, "박세당의 주희 이해" 한국철학사연구회 (43) : 55-80, 2014

      19 한정길, "박세당의 주자학 반성과 학문관"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7 : 2014

      20 윤미길, "박세당의 四書註解에 대한 一考察 -茶山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09) : 13-376, 2002

      21 김용재, "박세당의 『思辨錄・論語』에 대한 一考" 유학연구소 29 : 25-60, 2013

      22 김태년,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한국사상문화학회 (51) : 213-238, 2010

      23 이희재, "박세당朴世堂: 탈주자학적 실학사상의 선구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24 김만일, "박세당 경학사상의 성격: 尙書思辨錄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儒敎文化硏究所 6 : 2003

      25 김세정, "명재 윤증과 서계 박세당의 격물 논변" 동양철학연구회 (56) : 7-41, 2008

      26 李乙浩, "韓國改新儒學史試論" 博英社 1980

      27 裵宗鎬, "韓國儒學의 哲學的展開(下)" 延世大學校出版部 1985

      28 "論語集註"

      29 金興圭, "西溪朴世堂의 詩經論: 朝鮮後期詩經論의 전개에 있어 「詩經思辨錄」의 위치" 一志社 20 : 1980

      30 金萬圭, "西溪朴世堂의 政治思想" 延世大學校國學硏究院 19 : 1978

      31 김종수, "西溪朴世堂의 人物性同異論一考(1): 性同論批判" 成均館大學校儒敎文化硏究所 9 : 2007

      32 安秉杰, "西溪朴世堂의 中庸解釋과 朱子學批判" 翰林大學校泰東古典硏究所 10 : 1993

      33 李昤昊, "西溪朴世堂의 思辨錄・大學 에 대한 硏究" 우리한문학회 2 : 2000

      34 김세봉, "西溪 朴世堂의 大學認識과 사회적 反響" 동양고전학회 (34) : 89-112, 2009

      35 신창호, "西溪 朴世堂의 <思辨錄 中庸> 理解와 學問的 特徵" 동양고전학회 (55) : 59-84, 2014

      36 朴天圭, "朴西溪의 「大學」新釋"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17 : 1987

      37 李丙燾, "朴西溪와 反朱子學的思想"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3 : 1966

      38 주영아, "朴世堂의 開放的 學問觀 硏究" 동양고전연구소 (20) : 7-56, 2011

      39 安秉杰, "朴世堂의 獨自的經傳解釋과 그의 現實認識"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28 : 1993

      40 尹絲淳, "朴世堂의 實學思想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亞細亞問題硏究所 46 : 1972

      41 이희재, "朴世堂의 天觀" 汎韓哲學會 9 : 1994

      42 오용원, "朴世堂의 『論語思辨錄』 硏究" 대동문화연구원 (47) : 329-359, 2004

      43 장병한, "朴世堂과 沈大允의 中庸 해석 체계 比考" 한국실학학회 (11) : 269-307, 2006

      44 이희재, "朴世堂 『尙書思辨錄』의 特徵" 한국유교학회 (35) : 53-75, 2009

      45 "朱子全書"

      46 김용흠, "朝鮮後期老・少論分黨의 思想基盤: 朴世堂의 思辨錄 是非를 中心으로" 延世史學硏究會 17 : 1996

      47 金容燮, "朝鮮後期農學史硏究: 農書와 農業관련 文書를 통해 본 農學思潮" 지식산업사 2009

      48 김형찬, "斯文亂賊 論難과 四書의 再解釋 ― 朴世堂의 『思辨錄』과 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63) : 329-351, 2012

      49 "思辨錄 ( 西溪全書(下) )"

      50 강지은, "尹鑴의 『讀書記』와 朴世堂의 『思辨錄』이 朱子學 批判을 위해 저술되었다는 주장의 타당성 검토(Ⅰ) ―『大學』의 ‘格物’ 註釋에 대한 재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22) : 167-200, 2011

      51 김종수, "少論學派의 연원과 전개, 철학과 현실인식" 한국철학사연구회 (32) : 113-159, 2011

      52 裵宗鎬, "實學論叢" 全南大學校出版部 1975

      53 "孟子集註"

      54 "大學章句"

      55 "中庸章句"

      56 송갑준, "『思辨錄』의 朱注批判과 경학사적 위치" 인문과학연구소 24 : 151-179, 2009

      57 이희재, "The philosophy of Park Sedang in the 17th century of Choson" 국제비교한국학회 12 (12): 101-122, 2004

      58 Setton, Mark, "Chŏng Yagyong: Korea’s Challenge to Orthodox Neo-Confucian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59 강지은, "17世紀 經學方法論 硏究 ‐獨創性 및 批判性을 尺度로 한 經學硏究를 대신하여‐" 퇴계학연구원 (128) : 129-18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2 1.92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