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부연, "후기구조주의 교육과정의 미학: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비평과 지평 넓히기"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6 (6): 49-77, 2016
2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1993
3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4 이경숙, "프레이리의 배움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철학회 (61) : 51-78, 2016
5 이승하 ; 민가혜 ; 연규승,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인지처리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89-115, 2019
6 장현진, "코로나-19 시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3-138, 2021
7 이조은,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우스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379-401, 2016
8 이미정, "직장어린이집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5 (5): 15-34, 2020
9 강현석, "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16 (16): 105-128, 1998
10 윤은영,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6 (6): 19-41, 2008
1 임부연, "후기구조주의 교육과정의 미학: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비평과 지평 넓히기"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6 (6): 49-77, 2016
2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1993
3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4 이경숙, "프레이리의 배움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철학회 (61) : 51-78, 2016
5 이승하 ; 민가혜 ; 연규승,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인지처리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89-115, 2019
6 장현진, "코로나-19 시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3-138, 2021
7 이조은,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우스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379-401, 2016
8 이미정, "직장어린이집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5 (5): 15-34, 2020
9 강현석, "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16 (16): 105-128, 1998
10 윤은영,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6 (6): 19-41, 2008
11 윤향미 ; 장영희,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67-289, 2013
12 유구종 ; 최승연,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커뮤니티 활용에 따른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유아-교사 상호작용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91-513, 2013
13 오아름,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의도(Intention)의 탐색" 유아교육연구소 17 (17): 45-76, 2015
14 김순환 ; 오현주,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7-1298, 2019
15 지성애, "유아놀이의 재조명, 그리고 교육적 함의"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예음홀 17-40, 2019
16 Cannella, G. S.,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유아교육의 재개념화 4)" 창지사 2002
17 임부연 ; 류미향,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35-158, 2010
18 정인선 ; 김보림 ; 박지선,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특별활동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72-384, 2019
19 강현석 ; 이현경 ; 황윤세, "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적 적합성을 고려한 ‘자유놀이시간’의 교수학습모형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37-170, 2004
20 윤민아,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5-30, 2019
21 김은영, "우리나라 영유아의 사교육 참여 실태 및 문제점" 22 : 25-47, 2019
22 엄정애, "영유아의 놀이: 재조명에 대한 반성과 비판, 그리고 도전" 29-48, 2019
23 이영자 ; 오진희, "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개인적가상적 내러티브와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07-133, 2006
24 엄나현 ; 강현석,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에 기반한 유아 교육과정 설계 방향의 탐색적 논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171-199, 2020
25 이미선, "보육현장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마음의 틀 깨기" 인문사회 21 11 (11): 561-576, 2020
26 설희정 ; 송하나, "만 3세, 4세 유아의 내러티브 구성능력의 발달 경향 분석: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89-207, 2015
27 오채선,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79-305, 2019
28 신지연,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노력과 변화과정" 한국보육학회 21 (21): 17-33, 2021
29 정주인 ; 권귀염,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93-118, 2020
30 이순복,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과 과제에 대한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30 (30): 139-155, 2021
31 경기도교육청, "놀이 2017"놀이로 유아교육의 본질 찾기"" 경기도교육청 2017
32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33 최윤경, "내러티브에 기반한 기독교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2019
34 강문숙,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에 기초한 미학교육의 질적 사례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14 (14): 1-23, 2018
35 한승희, "내러티브 사고양식의 교육적 의미" 15 (15): 400-423, 1997
36 Lauritzen, C.,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학이당 2007
37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38 황윤세, "교사 협력을 통한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실행 경험과 언어 발달 효과 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7 (7): 123-140, 2019
39 Baldock, P, "The place of narrative in the early years curriculum" Taylor & Francis Group 2006
40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 1996
41 Egan, K., "Teaching as story tell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42 Connelly, M. F.,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19 (19): 2-14, 1990
43 Winner, E, "Point of wor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metaphor and irony" Harvard 1997
44 Kieff, J., "Peer relationship in child development" Wiley 95-131, 2000
45 Polkinghorne, D,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SUNY Press 1988
46 엄나현 ; 강현석,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에 기반한 유아·놀이 중심 활동의 재개념화 탐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9 (39): 45-74, 2021
47 강현석, "Bruner의 내러티브 의미의 다층성과 교육이론 형성에의 시사점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213-255, 2020
48 MacIntyre, A.,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1
49 Bruner, J. S, "Acts of meaning" Harvard Univ. Press 1990
50 강주리, "5월 20일 꿀벌의날 아시나요... ‘꿀벌 귀환 캠페인’ 벌이는 농어촌공사 눈길"
51 채미영 ; 김경철, "4세, 5세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과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01-420, 2008
52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