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러티브 모형에 기반한 유아 놀이·활동 중심 단원 개발 =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activities-centered unit based on narrative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7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2019 revised Nuri course emphasizes the support of pla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play led by early childhood. Eve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is a value or belief in education through play, but it is a part where we have to think about how to actually implement it. In order to practice this play-centered curriculum, we propose a narrative. This is because in most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countless conversations and stories coexist during the day. As a story or narrative, a narrative is a frame of perception that gives order to an event and places it in the context of an experience, acting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human worl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 unit of narrative-based play and activities, Laurizen and Jaeger’s narrative model was investigated for the foundation and relevance of unit development centered on early childhood play and activities, and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unit centered on early childhood play and activities. We examined the methods and evaluations, differences from existing play activities, and point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suggest a direction for play and activities pursued in the current curriculum, this study developed a narrative model-based unit centered on early childhood play and activities to show how field teachers can reorganize and act on the curriculum.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nderstood and applied as a single method.
      번역하기

      The current 2019 revised Nuri course emphasizes the support of pla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play led by early childhood. Eve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is a value or belief in education th...

      The current 2019 revised Nuri course emphasizes the support of pla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play led by early childhood. Eve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is a value or belief in education through play, but it is a part where we have to think about how to actually implement it. In order to practice this play-centered curriculum, we propose a narrative. This is because in most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countless conversations and stories coexist during the day. As a story or narrative, a narrative is a frame of perception that gives order to an event and places it in the context of an experience, acting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human worl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 unit of narrative-based play and activities, Laurizen and Jaeger’s narrative model was investigated for the foundation and relevance of unit development centered on early childhood play and activities, and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unit centered on early childhood play and activities. We examined the methods and evaluations, differences from existing play activities, and point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suggest a direction for play and activities pursued in the current curriculum, this study developed a narrative model-based unit centered on early childhood play and activities to show how field teachers can reorganize and act on the curriculum.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nderstood and applied as a single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행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에서 배움이 일어나는 것에 주목하고 놀이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놀이를 통한 교육에 대한 가치나 믿음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이러한 놀이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해서 내러티브를 제안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하루일과 중 수없이 많은 대화와 이야기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내러티브는 이야기, 서사(체)로서 어떠한 사건에 질서를 부여해주고 경험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 위치시키는 인식의 틀로서 인간의 세계를 이해하는 매개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기반의 놀이·활동의 단원을 개발하기 위해서 Lauri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모형을 유아 놀이·활동 중심의 단원개발 토대와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 놀이·활동 중심의 단원의 개발 과정과 이에 대한 방법 및 평가, 기존 놀이활동과의 차별성과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놀이와 활동에 대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기 위해 내러티브 모형에 기반한 유아 놀이·활동 중심의 단원을 시론적으로 개발하여 현장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활동할 수 있는지 하나의 방안으로 이해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현행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에서 배움이 일어나는 것에 주목하고 놀이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놀이를 통한 교육에 대한 가치나 믿음을 가지...

      현행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에서 배움이 일어나는 것에 주목하고 놀이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놀이를 통한 교육에 대한 가치나 믿음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이러한 놀이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해서 내러티브를 제안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하루일과 중 수없이 많은 대화와 이야기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내러티브는 이야기, 서사(체)로서 어떠한 사건에 질서를 부여해주고 경험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 위치시키는 인식의 틀로서 인간의 세계를 이해하는 매개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기반의 놀이·활동의 단원을 개발하기 위해서 Lauri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모형을 유아 놀이·활동 중심의 단원개발 토대와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 놀이·활동 중심의 단원의 개발 과정과 이에 대한 방법 및 평가, 기존 놀이활동과의 차별성과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놀이와 활동에 대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기 위해 내러티브 모형에 기반한 유아 놀이·활동 중심의 단원을 시론적으로 개발하여 현장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활동할 수 있는지 하나의 방안으로 이해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부연, "후기구조주의 교육과정의 미학: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비평과 지평 넓히기"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6 (6): 49-77, 2016

      2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1993

      3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4 이경숙, "프레이리의 배움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철학회 (61) : 51-78, 2016

      5 이승하 ; 민가혜 ; 연규승,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인지처리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89-115, 2019

      6 장현진, "코로나-19 시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3-138, 2021

      7 이조은,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우스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379-401, 2016

      8 이미정, "직장어린이집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5 (5): 15-34, 2020

      9 강현석, "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16 (16): 105-128, 1998

      10 윤은영,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6 (6): 19-41, 2008

      1 임부연, "후기구조주의 교육과정의 미학: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비평과 지평 넓히기"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6 (6): 49-77, 2016

      2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1993

      3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4 이경숙, "프레이리의 배움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철학회 (61) : 51-78, 2016

      5 이승하 ; 민가혜 ; 연규승,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인지처리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89-115, 2019

      6 장현진, "코로나-19 시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3-138, 2021

      7 이조은,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우스운 이야기’: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379-401, 2016

      8 이미정, "직장어린이집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5 (5): 15-34, 2020

      9 강현석, "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16 (16): 105-128, 1998

      10 윤은영,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6 (6): 19-41, 2008

      11 윤향미 ; 장영희,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67-289, 2013

      12 유구종 ; 최승연,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커뮤니티 활용에 따른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유아-교사 상호작용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91-513, 2013

      13 오아름,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의도(Intention)의 탐색" 유아교육연구소 17 (17): 45-76, 2015

      14 김순환 ; 오현주,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7-1298, 2019

      15 지성애, "유아놀이의 재조명, 그리고 교육적 함의"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예음홀 17-40, 2019

      16 Cannella, G. S.,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유아교육의 재개념화 4)" 창지사 2002

      17 임부연 ; 류미향,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35-158, 2010

      18 정인선 ; 김보림 ; 박지선,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특별활동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72-384, 2019

      19 강현석 ; 이현경 ; 황윤세, "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적 적합성을 고려한 ‘자유놀이시간’의 교수학습모형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37-170, 2004

      20 윤민아,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5-30, 2019

      21 김은영, "우리나라 영유아의 사교육 참여 실태 및 문제점" 22 : 25-47, 2019

      22 엄정애, "영유아의 놀이: 재조명에 대한 반성과 비판, 그리고 도전" 29-48, 2019

      23 이영자 ; 오진희, "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개인적가상적 내러티브와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07-133, 2006

      24 엄나현 ; 강현석,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에 기반한 유아 교육과정 설계 방향의 탐색적 논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171-199, 2020

      25 이미선, "보육현장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마음의 틀 깨기" 인문사회 21 11 (11): 561-576, 2020

      26 설희정 ; 송하나, "만 3세, 4세 유아의 내러티브 구성능력의 발달 경향 분석: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89-207, 2015

      27 오채선,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79-305, 2019

      28 신지연,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노력과 변화과정" 한국보육학회 21 (21): 17-33, 2021

      29 정주인 ; 권귀염,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93-118, 2020

      30 이순복,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과 과제에 대한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30 (30): 139-155, 2021

      31 경기도교육청, "놀이 2017"놀이로 유아교육의 본질 찾기"" 경기도교육청 2017

      32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33 최윤경, "내러티브에 기반한 기독교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2019

      34 강문숙,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에 기초한 미학교육의 질적 사례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14 (14): 1-23, 2018

      35 한승희, "내러티브 사고양식의 교육적 의미" 15 (15): 400-423, 1997

      36 Lauritzen, C.,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학이당 2007

      37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38 황윤세, "교사 협력을 통한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실행 경험과 언어 발달 효과 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7 (7): 123-140, 2019

      39 Baldock, P, "The place of narrative in the early years curriculum" Taylor & Francis Group 2006

      40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 1996

      41 Egan, K., "Teaching as story tell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42 Connelly, M. F.,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19 (19): 2-14, 1990

      43 Winner, E, "Point of wor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metaphor and irony" Harvard 1997

      44 Kieff, J., "Peer relationship in child development" Wiley 95-131, 2000

      45 Polkinghorne, D,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SUNY Press 1988

      46 엄나현 ; 강현석,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에 기반한 유아·놀이 중심 활동의 재개념화 탐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9 (39): 45-74, 2021

      47 강현석, "Bruner의 내러티브 의미의 다층성과 교육이론 형성에의 시사점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213-255, 2020

      48 MacIntyre, A.,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1

      49 Bruner, J. S, "Acts of meaning" Harvard Univ. Press 1990

      50 강주리, "5월 20일 꿀벌의날 아시나요... ‘꿀벌 귀환 캠페인’ 벌이는 농어촌공사 눈길"

      51 채미영 ; 김경철, "4세, 5세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과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01-420, 2008

      52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