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수한 인재가 교직에 유입됨에도 교직 입문 이후 교사들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고, 교사 전문성 개발정책의 변화 방향성을 제시하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64876
2019
-
370
KCI등재
학술저널
211-239(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수한 인재가 교직에 유입됨에도 교직 입문 이후 교사들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고, 교사 전문성 개발정책의 변화 방향성을 제시하기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수한 인재가 교직에 유입됨에도 교직 입문 이후 교사들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고, 교사 전문성 개발정책의 변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가 그간 부족했다는 인식하에, 면밀한 이론적 탐색과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평생학습 시대 교원 전문성 개발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ay & Gu(2007)의 관점을 중심으로한 교사 경력주기 이론을 탐색하고, 이를 적용하여 신규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한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원 전문성 개발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과정에는 ‘개인적 요인’, ‘학교 상황적 요인’, 국가 수준의 교사 정책 및 관점 등 ‘전문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모두 필요하며, 우리나라의 교사 전문성 개발과정은 이 세 가지 요인 모두에 대한 고려가 싱가포르에 비해 다소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두 나라 간 비교를 통해 도출한 요인별 주요 세부 준거는 개인적 요인의 경우 ‘재정적 지원, 개인적 특성과 자질을 고려한 경력발달 루트 제공 여부, 가정-직장 내 균형 고려 여부’였으며, 학교 상황적 요인의 경우는 ‘현장 내 동료들의 지원 여부’와 ‘교사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기관의 역할’과 관련된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전문적 요인의 경우 ‘교사의 주체적 참여 여부’와 ‘교원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사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었다. [결론] 이를 통해, 교사 전문성 개발 실패의 원인이 교사 개인적 능력이나 인성적 결함으로 귀결되는 현상이나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교원들의 부정적 인식 및 낮은 만족도는 제고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정책이 일종의 ‘사회적 통제’로 인식지 않도록 교사의 성장과 발달을 조력하고 지원하는 정책적 배려와 인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applicable to teacher policies in Korean context, which are particularly related to promoting teachers’ continual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To achieve this end, the theory of ca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applicable to teacher policies in Korean context, which are particularly related to promoting teachers’ continual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To achieve this end, the theory of career phase has been employed as the analytical tool to compare teacher policies of two ‘so-called educationally top performing’ countries, Korea and Singapore.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gaporean teachers tend to be more supported in ‘personal, situated, and professional’ dimensions as addressed in the theory of Day & Gu(2007). Second, the specific criteria for comparison are ‘financial support, work-life balance, officially presented different routes for career development’ in ‘personal dimension’, ‘in-school support, institutional factors limiting the autonomy of teachers’ in ‘situated dimens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teacher education programs, social expectations of what a good teacher is’ in ‘professional dimension’. [Conclusion] ‘Cooperative accountability’ is called for in Korean context, and ‘institutional factors’ need to be shed more light 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Hargreaves, A., "학교교육 제4의 길 2[The Global Fourth Way]" 21세기교육연구소 2015
2 장경숙, "초임 교사 멘토링을 통한 영어교사 심화연수 후 지속적 전문성 신장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7 (17): 219-245, 2011
3 김남지, "초등학교 담임교사 역할수행의 성차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1-76, 2011
4 장경숙, "초등 영어교사 심화연수 후 지속적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9 (19): 345-370, 2012
5 송신철, "초·중등 교사들의 학교급 및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17-141, 2017
6 최연철,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 생애주기별 연수모형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379-407, 2018
7 정영수, "중등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63-82, 2002
8 이효신, "중등 신규임용교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9-312, 2017
9 정성수, "전국 시 · 도교육연수원의 교원연수과정 실태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29-51, 2017
10 서경혜,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33-161, 2011
1 Hargreaves, A., "학교교육 제4의 길 2[The Global Fourth Way]" 21세기교육연구소 2015
2 장경숙, "초임 교사 멘토링을 통한 영어교사 심화연수 후 지속적 전문성 신장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7 (17): 219-245, 2011
3 김남지, "초등학교 담임교사 역할수행의 성차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1-76, 2011
4 장경숙, "초등 영어교사 심화연수 후 지속적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9 (19): 345-370, 2012
5 송신철, "초·중등 교사들의 학교급 및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17-141, 2017
6 최연철,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 생애주기별 연수모형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379-407, 2018
7 정영수, "중등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63-82, 2002
8 이효신, "중등 신규임용교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9-312, 2017
9 정성수, "전국 시 · 도교육연수원의 교원연수과정 실태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29-51, 2017
10 서경혜,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33-161, 2011
11 김희규, "신규교사 추수 직무연수 개선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28 (28): 151-178, 2015
12 박철희, "생애단계별 교사연수 모형 개발: 강원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01-121, 2017
13 김병찬, "교원연수제도의 발전방향과 과제" 49 : 105-130, 2007
14 신현석,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2) : 167-192, 2008
15 홍후조,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류와 교원의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57-180, 2018
16 진동섭, "교원 승진과 학교장 임용" 79-95, 2003
17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3-276, 2009
18 김정원, "교사 생애 단계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2011
19 이민희, "교내장학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33 : 1-22, 2010
20 전상훈, "「한국에서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및 성찰」에 대한 토론" 131-135, 2013
21 Garet, M. S., "What make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ive? Results from a national sample of teachers" 38 (38): 915-945, 2001
22 Day, C., "Variations in the conditions for teachers’profess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 sustaining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over a career" 33 (33): 423-443, 2007
23 Hanushek, E. A., "Universal basic skills: What countries stand to gai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5
24 Low, E. L., "Towards evidencebased initial teacher education in Singapore :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37 (37): 65-77, 2012
25 Huberman, M.,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91 (91): 31-57, 1989
26 Conway, P. F., "The journey inward and outward : A re-examination of Fuller’s concerns-based model of teacher development" 19 (19): 465-482, 2003
27 Zeichner, K. M., "The development of teacher perspectives : social strategies and institutional control in the socialization of beginning teachers 1" 11 (11): 1-25, 1985
28 Eros, J., "The career cycle and the second stage of teaching :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112 (112): 65-70, 2011
29 강호수,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Qualit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1-52, 2015
30 Seng, S., "Teaching thinking skill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Singapore" 23-26, 1998
3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5
32 Coolahan, J, "Teacher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reer in an era of lifelong learning" OECD Publishing 2002
33 Withall, J., "Taking the threat out of classroom observation and feedback" 30 (30): 55-58, 1979
34 Tan, O., "Singapore’s holistic approach to teacher development" 94 (94): 76-77, 2012
35 Sclafani, S., "Singapore chooses teachers carefully" 97 (97): 8-13, 2015
36 McNally, J., "Right at the start : an agenda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acher induction" 7 (7): 59-74, 2003
37 Kagan, D. M.,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62 (62): 129-169, 1992
38 Huberman, 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New paradigms and practices" Teachers College Press 193-224, 1995
39 Dymoke, 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beginning teacher : Issues of teacher autonomy and institutional conformity in the performance review process" 32 (32): 71-92, 2006
40 Borko, 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learning : Mapping the terrain" 33 (33): 3-15, 2004
41 Kyriacou, C., "Primary newly qualified teachers’experience of the induction year in its first year of implementation in england" 29 (29): 185-200, 2003
42 Veenman, S.,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54 (54): 143-178, 1984
43 김이경, "OECD 한국 교원정책 검토 결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44 구자옥, "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상위국 성취특성 및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45 Schleicher, A., "International Summit on the Teaching Profession" OECD Publishing 2015
46 Williams, A., "Individualism to collaboration : The significance of teacher culture to the induction of newly qualified teachers" 27 (27): 253-267, 2001
47 Wilson, V., "Developing teachers:A review of early professional learning, The SCRE Centre, 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Glasgow 2006
48 Lim, L. H., "Developing teachers at the pinnacle of profession : the Singapore practice" 58 (58): 121-127, 2010
49 Fullan, M., "Changing forces. Probing the Depths of Education Reform" Falmer 1993
50 교육부, "2017년도 교원연수 중점 추진 방향" 교육부 2016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국경을 넘는 고등교육 질 보장체제 비교 분석: 영국, 호주,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신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94 | 1.28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