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학과 성리학의 수련법 비교- 수심정기와 경법(敬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nd Training Method 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and the method to maintain original bright mind of neo-Confucian theory both are regard as very important point to maintain original good mind through the method of sitting in meditation.
      Futhermore Donghak is try to practice In-Yi-Yea-Chi(仁義禮智) belong to confucian virtures. What are the common points 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How we can explain the different points of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I will answer to these questi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mind training method 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These two mind training methods concloud calming state and movement, the principal and its application. These two methods are regard as very important points to recover and to maintain the bright consciousness through the cultivation of concentration power. Donghak trys aiming at the spiritual enlightenment such as attaining the ultimate energy so called SICHEONJU(侍天主). But neo-Confucian theory trys aiming at the state of Saint or heaven-human not-two body(天人合一).
      The method to maintain original bright mind of neo-Confucian theory has very reasonal feature. So this method requests comparatively high intellectual level. But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has the features of loving life, respecting great character, and feeling emotion. So this method has a strong hold on the public.
      The mind training method of Donghak has the feature of community life, but that of neo-Confucian theory has very indivisual character. The method of Donghak represents korean specific character. Donghak always speaks that the ultimate energy-heaven exists in now and here, not in the future or in the past.
      In the future, if more the people, especially modern koreans want to live in spiritual enlightenment, they must utilize the excellent aspects of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번역하기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and the method to maintain original bright mind of neo-Confucian theory both are regard as very important point to maintain original good mind through the method of sitting in meditation. Futhermore ...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and the method to maintain original bright mind of neo-Confucian theory both are regard as very important point to maintain original good mind through the method of sitting in meditation.
      Futhermore Donghak is try to practice In-Yi-Yea-Chi(仁義禮智) belong to confucian virtures. What are the common points 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How we can explain the different points of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I will answer to these questi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mind training method 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These two mind training methods concloud calming state and movement, the principal and its application. These two methods are regard as very important points to recover and to maintain the bright consciousness through the cultivation of concentration power. Donghak trys aiming at the spiritual enlightenment such as attaining the ultimate energy so called SICHEONJU(侍天主). But neo-Confucian theory trys aiming at the state of Saint or heaven-human not-two body(天人合一).
      The method to maintain original bright mind of neo-Confucian theory has very reasonal feature. So this method requests comparatively high intellectual level. But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has the features of loving life, respecting great character, and feeling emotion. So this method has a strong hold on the public.
      The mind training method of Donghak has the feature of community life, but that of neo-Confucian theory has very indivisual character. The method of Donghak represents korean specific character. Donghak always speaks that the ultimate energy-heaven exists in now and here, not in the future or in the past.
      In the future, if more the people, especially modern koreans want to live in spiritual enlightenment, they must utilize the excellent aspects of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과 성리학의 경법(敬法)에서는 다 같이 정좌존심(靜坐存心)을 중요시한다. 그리고 동학에서는 수심정기를 통하여 유교의 덕목으로 알려진인의예지를 실천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두 사유체계의 수련법에 상통점이 있을 것이다. 그 상통점은 무엇이며, 또 서로 다른 특징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인가?이에 동학과 성리학의 수련법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서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구하고자 하였다.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은 성리학의 경법과 마찬가지로 동과 정, 체와 용을 포괄하는 수련법이다. 둘 다 집중력 배양으로 성성적적(惺惺寂寂)한 의식을 회복하고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시 한다. 동학은 수심정기를 통하여 시천주의 깨달음에 이르고자 한다면, 성리학은 경법을 통하여 수기가 완성된 내성(內聖)의 경지, 천인합일에 이르려고 한다.
      성리학의 경법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을 택함으로써 상당한 지적 수준을요구한다. 이에 비해 동학의 수심정기법은 정감적이고 인격적이며 생명적인 방법,달리 말하여 지정의(知情意)의 전방면 중 특히 정적(情的)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친화적인 특성을 갖는다. 지기한울님을 믿고 공경하며 정성을 다하는 그런 마음만 있으면 누구라도 수심정기하여 시천주함으로써 천지의 운절(殞絶)된 기운을 보충받는 삶을 살 수 있고, 나아가 군자가 되어서 인의예지를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학의 수련법은 공동체적인 성격을 지니는데 비해서, 성리학의 수련법은 개인적인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적인 고유성을 잘 대변하는 것은 동학이라고 하겠다.
      동학은 수련을 통해 ‘지금여기’에 항상 이르러 있는 지기한울님을 모시는 시천주를 강조한다. 과거나 미래보다 ‘현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불교, 특히 선불교와 매우 유사하다.
      앞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 특히 현대 한국인들이 깨달음의 삶, 달리 말하여 ‘언제나자기 자리에서 자기 할 일 제대로 할 줄 아는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이 갖는 수월성(秀越性)을 제대로 알고 나아가 이것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과 성리학의 경법(敬法)에서는 다 같이 정좌존심(靜坐存心)을 중요시한다. 그리고 동학에서는 수심정기를 통하여 유교의 덕목으로 알려진인의예지를 실천하려고 한...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과 성리학의 경법(敬法)에서는 다 같이 정좌존심(靜坐存心)을 중요시한다. 그리고 동학에서는 수심정기를 통하여 유교의 덕목으로 알려진인의예지를 실천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두 사유체계의 수련법에 상통점이 있을 것이다. 그 상통점은 무엇이며, 또 서로 다른 특징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인가?이에 동학과 성리학의 수련법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서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구하고자 하였다.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은 성리학의 경법과 마찬가지로 동과 정, 체와 용을 포괄하는 수련법이다. 둘 다 집중력 배양으로 성성적적(惺惺寂寂)한 의식을 회복하고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시 한다. 동학은 수심정기를 통하여 시천주의 깨달음에 이르고자 한다면, 성리학은 경법을 통하여 수기가 완성된 내성(內聖)의 경지, 천인합일에 이르려고 한다.
      성리학의 경법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을 택함으로써 상당한 지적 수준을요구한다. 이에 비해 동학의 수심정기법은 정감적이고 인격적이며 생명적인 방법,달리 말하여 지정의(知情意)의 전방면 중 특히 정적(情的)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친화적인 특성을 갖는다. 지기한울님을 믿고 공경하며 정성을 다하는 그런 마음만 있으면 누구라도 수심정기하여 시천주함으로써 천지의 운절(殞絶)된 기운을 보충받는 삶을 살 수 있고, 나아가 군자가 되어서 인의예지를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학의 수련법은 공동체적인 성격을 지니는데 비해서, 성리학의 수련법은 개인적인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적인 고유성을 잘 대변하는 것은 동학이라고 하겠다.
      동학은 수련을 통해 ‘지금여기’에 항상 이르러 있는 지기한울님을 모시는 시천주를 강조한다. 과거나 미래보다 ‘현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불교, 특히 선불교와 매우 유사하다.
      앞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 특히 현대 한국인들이 깨달음의 삶, 달리 말하여 ‘언제나자기 자리에서 자기 할 일 제대로 할 줄 아는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이 갖는 수월성(秀越性)을 제대로 알고 나아가 이것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臨濟禪師, "臨濟錄"

      2 천도교중앙총부, "해월신사법설, In 천도교경전"

      3 손병욱, "함양성찰,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4 길희성, "지눌 선사상의 구조, In 지눌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 천도교중앙총부, "의암성사법설, In 천도교경전"

      6 천도교중앙총부, "용담유사, In 천도교경전"

      7 손병욱, "염불선(念佛禪)을 중심으로 살펴 본 ‘지금여기’의 불교적 함의" 논단 (45) : 2010

      8 손병욱, "선비의 수양과 삶" 사단법인남명학연구원 17 : 2012

      9 손병욱, "동학의 ‘삼칠자 주문’과 ‘다시개벽’의 함의" 동학학회 (18) : 199-231, 2009

      10 손병욱, "동학과 불교 염불선의 수증체계(修證體系) 비교" 동학학회 (23) : 101-145, 2011

      1 臨濟禪師, "臨濟錄"

      2 천도교중앙총부, "해월신사법설, In 천도교경전"

      3 손병욱, "함양성찰,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4 길희성, "지눌 선사상의 구조, In 지눌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 천도교중앙총부, "의암성사법설, In 천도교경전"

      6 천도교중앙총부, "용담유사, In 천도교경전"

      7 손병욱, "염불선(念佛禪)을 중심으로 살펴 본 ‘지금여기’의 불교적 함의" 논단 (45) : 2010

      8 손병욱, "선비의 수양과 삶" 사단법인남명학연구원 17 : 2012

      9 손병욱, "동학의 ‘삼칠자 주문’과 ‘다시개벽’의 함의" 동학학회 (18) : 199-231, 2009

      10 손병욱, "동학과 불교 염불선의 수증체계(修證體系) 비교" 동학학회 (23) : 101-145, 2011

      11 천도교중앙총부, "동경대전, In 천도교경전"

      12 孫炳旭, "韓國儒學之靜坐法, In 東亞的靜坐傳統" 臺大出版中心 2012

      13 李相殷, "退溪의 생애와 학문" 서문문고 1974

      14 程顥, "河南程氏遺書"

      15 최민자, "東西洋의 思想에 나타난 認識과 存在의 辨證法"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1

      16 정혜정, "朱子의 공부방법론과 東學의 영성(靈性)교육: 朱子의 格物致知와 東學의 侍定知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18) : 233-269, 2009

      17 박연호, "朝鮮前期 士大夫敎養에 관한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93

      18 李瀷, "星湖全集"

      19 李珥, "擊蒙要訣"

      20 김승복, "天在何方" 도서출판모시는사람들 2009

      21 曺植, "南冥集"

      22 郭鍾錫, "俛宇集"

      23 최민자,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와 『무체법경(無體法經)』에 나타난 통일사상" 동학학회 (26) : 429-47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