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냉전기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과 對日라디오방송: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과 수렴 = ‘Voice of Free Korea’ Japan-targeted Radio Broadcasting in the Period of Cold War: Ruptures and Convergence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ld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7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oice of Free Korea’ broadcasting of Japanese language by KBS constitutes a historical example of the cultural aspect of the East Asian Cold War that “did not exist as a single conflict” of “Communist vs. Freedom”. While KBS, which was in...

      ‘Voice of Free Korea’ broadcasting of Japanese language by KBS constitutes a historical example of the cultural aspect of the East Asian Cold War that “did not exist as a single conflict” of “Communist vs. Freedom”. While KBS, which was in charge of one of the pillars of the East Asian radio war, had a ruptured sound in the U.S-led Cold War radio war through its broadcast to Japan, it had shown a very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aiwan, which was the first country in whic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take a look at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and transformation of KBS's Japan-tarketed broadcas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pture and convergence’ of the East Asia Cold War, focusing on the early 1960s when KBS's international broadcasting was strengthened from around the time of its launch in 1955.
      The beginning of the rupture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ld War was given from the colonial period, but the rupture began in earnest through the Korean War. NHK's broadcasting power could be boosted by the use of NHK network by the UN Command for broadcasting of VOA and VUNC, which were psychological warfare media during the Korean War, which inadvertently led to the Korean Peninsula being included in the de facto Japanese broadcasting zone. This has clouded the cultural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Japan under the geopolitical conditions of the Cold War order, which allows them to listen to Japanese broadcasts on a daily basis even after the war. Amid this blurring cultural boundaries with Japan, the ‘Voice of Free Korea’ broadcasting of Japanese language by KBS was launched around 1955, when the diplomatic row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the maritime border intensified, at the instruction of President Syngman Rhee, who wanted to intensify the propaganda campaign by sending broadcasts into the territory of the other country. However, as the 4.19 revolution raised social expectations for the free press, broadcasting to Japan also showed signs of gradually converging the rupture of the cultural Cold War created by the diplomatic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s was removed from the conventional one-sided propaganda-oriented method.
      The launch of the independent broadcasting station “Seoul International Broadcasting Station” on July 1, 1961, shortly after the 5.16 military coup, was the first starting point for the reconvening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ld War, which was ruptured in terms of the birth of the cradle of psychological warfare, a step taken from the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previous period'. Most of all, it was because the model of the Seoul International Broadcasting Station was a psychological warfare broadcast by Taiwan, which was an anti-communist country in the same situation. It was also the result of a policy aimed at enhancing the anti-Japanese character by preventing ideological departures and treason of ethnic Koreans in Japa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Japan, which ostensibly sought to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for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the rupture line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ld War in the 1950s changed in the 1960s to converge into the original principle of the Cultural Cold W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냉전기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일본어방송은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적 양상이 ‘공산 vs 자유’라는 ‘하나의 충돌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역사적 사례에 해당한다. 본 연구...

      냉전기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일본어방송은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적 양상이 ‘공산 vs 자유’라는 ‘하나의 충돌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역사적 사례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일본어방송이 개시된 1955년 전후 시점부터 KBS의 대외방송이 강화되는 1960년대 초반기를 중심으로 하여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시각에서 KBS의 대일(對日)방송이 등장, 변용되어가는 과정을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과 수렴’이라는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문화냉전이 파열되는 시초는 식민지 시기로부터 주어졌지만 파열은 6.25전쟁기를 거치며 본격화되었다. 6.25전쟁기 사상심리전 매체였던 VOA와 VUNC의 중계를 위해 유엔사령부가 NHK네트워크를 활용하게 됨으로써 NHK의 방송출력은 증강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의도치 않게 한반도가 사실상의 일본방송 권역에 포함되는 상황이 연출되었던 것이다. 이로써 한국과 일본 간의 문화적 경계는 냉전질서라는 지정학적 조건에 의해 흐려지게 되었고, 이는 전쟁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일상적으로 일본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과의 문화적 경계가 흐려지는 1950년대 초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해양의 국가경계를 둘러싼 한일 간의 외교적 마찰이 격화되는 1955년 무렵, 상대 국가의 영토로 방송전파를 보냄으로써 선전전을 강화하고자 한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자유대한의 소리 일본어방송’은 개시되었다.
      그러나 4.19 혁명으로 인해 자유언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감이 컸던 만큼, 대일방송 또한 일정정도 기존의 일방적인 선전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게 됨으로써 한일 간의 외교적 대립이 만들어내는 문화냉전의 파열은 점차 수렴되는 징후를 보였다. 5.16군사쿠데타 직후인 1961년 7월 1일에 단행된 독립방송국 ‘서울국제방송국’의 출범은 이전 시기의 ‘2중방송’의 기술적․제도적 틀에서 한 단계 도약한‘심리전의 요람’의 탄생이라는 측면에서 파열되었던 동아시아 문화냉전이 다시 수렴되는 첫 출발점이었다. 무엇보다 서울국제방송국의 모델이 같은 처지의 반공국가였던 대만의 심리전 방송이었다는 점에서 그러했다. 또한 1961년 7월‘서울국제방송국’의 발족 이후 표면적으로는 대일방송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갔지만, 경제개발을 위해 일본과의 국교정상화를 추진했던 박정희 정부의 대일정책 변화에 대응하여 재일교포의 사상적 이탈과 반역을 예방하는 방식으로 대일방송의 성격을 대공적 성격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전환시키고자 한 정책이 낳은 결과였다. 이로써 1950년대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선은 1960년대에 들어 본래 문화냉전의 기조로 수렴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영민, "해방 후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1945~1950)"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200-240, 2009

      2 장영민, "한국전쟁기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와 지원" 한국언론학회 56 (56): 441-464, 2012

      3 장영민,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90) : 257-308, 2014

      4 김영희, "한국전쟁 기간 미국의 대한(對韓) 방송활동 : VOA 한국어방송과 VUNC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40-160, 2009

      5 외교부, "한국외교 30년, 1948~1978" 외교부 1979

      6 최준, "한국방송사업의 실태" 4-6, 1957

      7 김일동, "청취자 투고는 상승일로" 18-, 1958

      8 박진희, "제1공화국의 대일정책과 한일회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9 이원희, "자유중국의 심리전방송"

      10 김성민, "일본을 禁하다: 금제와 욕망의 한국대중문화사, 1945-2004" 글항아리 2017

      1 장영민, "해방 후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1945~1950)"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200-240, 2009

      2 장영민, "한국전쟁기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와 지원" 한국언론학회 56 (56): 441-464, 2012

      3 장영민,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90) : 257-308, 2014

      4 김영희, "한국전쟁 기간 미국의 대한(對韓) 방송활동 : VOA 한국어방송과 VUNC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40-160, 2009

      5 외교부, "한국외교 30년, 1948~1978" 외교부 1979

      6 최준, "한국방송사업의 실태" 4-6, 1957

      7 김일동, "청취자 투고는 상승일로" 18-, 1958

      8 박진희, "제1공화국의 대일정책과 한일회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9 이원희, "자유중국의 심리전방송"

      10 김성민, "일본을 禁하다: 금제와 욕망의 한국대중문화사, 1945-2004" 글항아리 2017

      11 주간방송, "일본에서 온 편지, 강력한 PR을 전개해야 하겠다"

      12 박태균,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 창비 2006

      13 정순일, "시험기는 지났다: 대일방송" 32-33, 1961

      14 주간방송, "서울국제방송국 호출부호, HLCA로 지정, 주파수는970KC"

      15 목동 방송박물관, "방송관계법률 심의요강"

      16 김을한, "방송계에 바란다" 24-25, 1971

      17 貴志俊彦, "문화냉전과 아시아" 소명출판 2012

      18 주간방송, "메아리져 증가되는 반응, 온 세계에 울려 퍼지는 자유대한의 방송"

      19 Kwon, H., "또 하나의냉전: 인류학적으로 본 냉전의 역사" 민음사 2013

      20 주간방송, "대일방송을 더한층 강화, 부산·강릉국서도 전파를 발사"

      21 주간방송, "대일방송 구체적 강화책을 수립"

      22 "대일방송 10년 회고"

      23 이인선, "대일방송" 12-13, 1957

      24 주간방송, "대북․대일방송프로를 강화"

      25 丸川哲史, "냉전문화론: 1945년 이후 일본의 영화와 문학은 냉전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너머북스 2010

      26 주간방송, "나는 이렇게 하겠다: 각 방송국 편성담당자의 새해포부"

      27 주간방송, "금년도 상반기 모니타 종합보고(하) : CA 대일방송에눈부신 발전"

      28 李在武, "韓國の對日放送の變遷と現狀" (16) : 63-72, 1981

      29 최준, "放送春秋: 국제방송국의 발족"

      30 小林總明, "占領する眼․占領する声" 東京大学出版会 2012

      31 주간방송, "‘서울국제방송국’을 신설, 직제개편에 따른 방송국기구 발표"

      32 小林總明, "VOA 施設移転をめぐる韓米交渉, 1972~1973" (75) : 129-147, 2009

      33 Cummings. B, "The End of the Cold War: its meaning and im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4 KBS연감편찬위원회, "KBS연감 창간호" 삼화인쇄주식회사 1961

      35 정량, "KBS국제방송30년의 발자취" 58-62, 1983

      36 KBS日本語放送, "KBS日本語半世紀の物語" 韓國放送公社 2005

      37 장영민, "6ㆍ25전쟁기 ‘유엔군총사령부의 소리(VUNC)’ 라디오 방송에 관한 고찰" 한국근현대사학회 (47) : 280-325, 2008

      38 박용규, "2공화국 시기 방송제도 개혁과 방송법 제정 시도" 한국방송공사 17 (17): 147-172, 2005

      39 김영희, "1960년대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의 운영과 폐쇄" 한국언론학회 56 (56): 244-269, 2012

      40 김영희, "1960년대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 프로그램과 청취 양상" 언론정보연구소 51 (51): 180-213, 2014

      41 장영민, "1952년 ‘미국의 소리 한국어방송’의 부산정치파동 보도와 KBS 중계방송의 중단" 부산경남사학회 (80) : 59-109, 2011

      42 윤상길,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 대외방송의 전개과정" 언론정보연구소 56 (56): 5-51,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6 1.36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46 2.108 0.7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