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것은 변화하고 그 변화 속에서 성장한다. 인간의 사고방식과 사회적·문화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변화의 정도를 느끼는 데에는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한글도 창제되고부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139158
서울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 산업디자인전공 광고디자인 세부전공 , 2004. 2
2003
한국어
658 판사항(4)
686.22 판사항(20)
서울
iii, 115p. : 삽도 ; 27cm
참고문헌: p. 107-10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상의 모든 것은 변화하고 그 변화 속에서 성장한다. 인간의 사고방식과 사회적·문화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변화의 정도를 느끼는 데에는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한글도 창제되고부터 ...
세상의 모든 것은 변화하고 그 변화 속에서 성장한다. 인간의 사고방식과 사회적·문화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변화의 정도를 느끼는 데에는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한글도 창제되고부터 현재에 이르는 동안 변화되었고, 더욱이 600년 전과 현재 우리들의 인식의 변화로 이에 맞는 재해석의 필요성이 있다.
의미는 물론이고 형태도 창제 당시와 현재는 확연히 차이가 나고, 심지어 자형자체가 없어지기도 한다.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 중에는 사회적·문화적인 환경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중국과 떨어질 수 없는 관계 속에서, 한글이 한문과는 전혀 다른 극단적인 기하학적 모양으로 창제 된 사실은 엄청난 사건일 것이다.
여러 가지 외부의 요인에 의한 변화는 물론, 한글의 특수한 자형결합의 원리인 모아쓰기로 인해, 한 글자 내에서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즉 자음의 공간과 모음의 공간이 모아져 한 낱자에서 제2의 공간을 다시 만들면서, 서로 적응하고 조화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인 영향으로 변화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새로운 비교기준을 세울 필요가 있었다. 연구자는 닿자는 홀자를 기준으로, 홀자는 닿자를 기준으로 비교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훈민정음체를 모든 자형의 기본적인 기준으로 만들었고, 닿자는 홀자의 세로기둥의 길이를 고정하고 홀자는 닿자의 가로폭을 고정하여 시대별로 변화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시대별 변천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겹쳐 보고,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인 3가지를 다시 뽑아 최종적으로 겹쳐보았다.
이러한 구체적인 시각화를 통하여, 닿자는 홀자의 관계로 나타나는 형태 크기 위치의 유기적이고 구체적인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1장 (한글 창제의 디자인 원리)에서는 창제 당시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글의 조형적인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한글은 우주적인 철학의 바탕에서 천지인의 원리로 창제되었다. 기하학적 조형원리로 만들어진 닿자와 홀자는 한 글자를 만들면서 첫닿자·홀자·받침닿자가 모아쓰기 원리로 결합된 우리말에 꼭 맞는 글자이다.
2장 (한글 자형의 시대적 변천)에서는 한글이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과정을 특정한 개인의 글씨체보다는 전반적으로 통용되었던 활자체를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였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새활자인 납활자가 처음 등장한 19세기까지를 창제 초기, 창제 후기, 인경기, 경서기, 난후복구기, 교서관기, 정형기, 옛활자 말기, 새활자 도입기의 총 9시대로 구분하였고, 각 시대에서 대표적인 활자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3장 (새로운 비교방법에 의한 한글 자형의 변천)에서는 2장에서 구분한 9시기에서 각각 대표적 활자체를 뽑고, 그 활자체로 인쇄하여 현재에 전해지는 고서에서 자형의 상태가 좋은 것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고서에서 3.1장에서 세운 기준에 의해 닿자 14개와 홀자 6개를 각각 추출하였다. 3.2.1장과 3.3.1장에서 자형의 변화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3.2.2장과 3.3.2장에서 닿자와 홀자의 전체적인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각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체적이고 관계적인 변천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3장에서 시도한 훈민정음체를 기준으로 만든 새로운 비교방법에 의한 공시적 표현을 통하여 닿자는 홀자의 영향으로, 홀자는 닿자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를 일반화시켰다. 이를 통하여 형태의 변화는 물론이고 상대적인 크기와 위치의 뚜렷한 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닿자는 후기로 가면서 홀자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졌고, 윗선을 기준으로 점점 내려갔다. 홀자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뉘는데 ㅏ, ㅓ, ㅣ 와 같은 가로모임자에서는 후기로 가면서 닿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지고 닿자와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는 반면에 ㅗ,ㅜ,ㅡ와 같은 세로모임자에서는 공통적으로 붓의 흔적에 의한 형태상의 변화외에는 초기와 비슷한 크기와 위치를 보인다.
한글 자형의 형태적 변화는 극단적인 기하학적 창제원리가 후기로 갈수록 조선시대의 필기구였던 유연한 붓과 한자의 필법에 익숙한 필기습관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연구자는 이 사실을 기본으로 닿자와 홀자의 관계속에서 생기는 구체적이고 유기적인 변화를 새로운 비교기준을 세워 연구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앞으로 범위를 넓혀 한글의 성장을 다양하게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한글 타이그라피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ything in the world is changing and growing through the change. People sense changes to different degree according to their way of thinking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Since it was created, Hangeul has been evolving until now. Thus...
Everything in the world is changing and growing through the change. People sense changes to different degree according to their way of thinking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Since it was created, Hangeul has been evolving until now. Thus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Hargeul because our understanding is not the same as that f 6000 years ago. Not only in the meaning but also in the form, contemporary Hangeul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ast one, and even some characters have disappeared.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re the most prominent factors causing such changes. Considering that Korea was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China it is an extraordinary event that Korean characters were created in extremely geometric form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characters. Not only by different external factors is the form of Korean characters influenced also by internal factors because of the Korean-specific writing method, which combines consonants and vowels in a peculiar way. That is, as the space of consonants and that of vowels are combined, they create a secondary space of a character by adjusting themselves to one another in harmon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iablish new criteria for comparison to examine the process of transition by mutual influence. The present researcher chose a method of comparing consonants based on vowels and vowels based on consonants. The Hunminjeongeum Style was taken as the basic criteria of all forms of characters, and consonants were examined diachronically based on the fixed length of vowels and vowels based on the fixed width of consonants. In addition, characters of difierent ages were overlaid to see the process of transition synchronously, and three forms of characters that showed the most remarkable change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y were again overlaid upon the basic module.
Through the visualization, the specific and organic changes in the shape, size and position that re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were examined.
Chapter Ⅰ (Design Principles in Creating Hangeul) review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when it was created. Hangeul was devised on the principle of Heaven-Earth-Man based on the philosophy of the universe. Alphabets design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eometric formation form a character by being combined with one another as an initial consonant a vowel or a consonant placed under a vowel.
Chapter Ⅱ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Form of Korean Characters> divided the process that Hangeul has changed over time due to various factors into several ages based on commonly used printing types rather than individual handwriting styles. Thus the period from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o the first introduction of lead types in the 19^(th) century was divided into nine ages, which were the early days of the creation, the later days of the creation, the age of Ingyeong, the age of Gyeongseo, the age of post-war restoration, the age of Gyoseogwan, the age of Jeonghyeong, the last days of old types, and the age of introduction of new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printing types of each age were examined.
Chapter Ⅲ <The Transition of the Form of Korean Characters by the Introduction of New Modules> selected a representative printing type for each age defined in Chapter Ⅱ and sampled a well-preserved old book printed with the type. Based on criteria established in the introduction, 14 consonants and 6 vowels were sampled from the old book. Section 3.2.1 and 3.3.1 examined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the form of characters by age, and Section 3.2.2 and 3.3.2 tried to visualize the overall change of consonants and vowels in a single figure. All these showed the detailed process of relational transition.
The conclusion generalized the change of consonants influenced by vowels and the change of vowels influenced by consonants through synchronous expression based on the basic module as attempted in Chapter Ⅲ. From the generalization were derived obvious changes not only in form but also in size and position.
As time passed, consonant grew smaller in comparison with vowels and their upper limit gradually went down. Vowel changed largely in two ways. Over time, vertical vowels (ㅏ,ㅓ,ㅣ) grew longer in comparison with consonants and apart longer from the consonant, while horizontal vowels (ㅗ,ㅜ,ㅡ) maintained the size and position similar to those of initial ones except change in the form caused by the different manipulation of the brush.
The formative transition of Korean characters is a process of change in writing practice from the extremely geometric design principle of the original Hangeul to a style fit for brush and ink. Based on the fact, the present researcher studied specific and organic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based on new criteria for comparison Taking this as a starting point, the researcher is going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evolution of Hangeul,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angeul typograph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