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문기사에 나타난 자녀교육 인식 변천  :  1920년대~199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The historical change of children's education recognition by Chosun & Donga newspaper articles from 1920s to 199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5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자녀교육에 관한 신문기사의 시기별 강조되는 내용을 통해 20세기 한국사회에서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화과정을 거치...

      이 논문은 자녀교육에 관한 신문기사의 시기별 강조되는 내용을 통해 20세기 한국사회에서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화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나라는 모든 영역이 급격하게 변화되었는데, 신문에서 보도된 자녀교육에 관한 기사의 논조 역시 사회적 분위기와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결론은 다음 4가지이다. 첫째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역할은 더욱 가중되며, 세대간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의 간극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전통시대의 엄부자모(嚴父慈母)의 모 습은 사라지고,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책임이 강조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자녀교육에 함 께 참여하는 아버지 역할의 복권을 촉구하고 있다. 셋째, 지식정보화 사회 속에서 다양한 정 보의 홍수는 오히려 ‘자녀교육 극성’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기에, 올바른 자녀교육관 확립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넷째, 자녀교육의 문제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에서 점차 공적이고 국가적인 영역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 살고 있는 교포 자녀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확대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perception and attitude in children's education have changed over the 20th century in South Korea by searching the newspaper articles. The modernization in 20th century brought radical changes in 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perception and attitude in children's education have changed over the 20th century in South Korea by searching the newspaper articles. The modernization in 20th century brought radical changes in every aspect of Korean society including education. As an educational attitude and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changed, so did the tones reflected in the newspaper articles. To sum up, there were four (4) principal changes found from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parental involvement and role as an educator became more important in Korean society and huge generation gap arose in attitudes towards children's education and custody. Secondly, the traditional gender-based roles of mothers' with image of love and fathers' with strength disappeared and mothers' responsibility of children's education were more emphasized during 20th century. Meanwhile, today's society is calling for an immediate return of fathers' involvement and commitment to children's education in the household. Thirdly, as the overflow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20th society caused an excessive interest in children's education, there were rising demands for establishing proper views and ideas on children's education. Lastly, the responsibilities of children's education which had been laid on household was expanded to public and government, which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an educa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as extended to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 as well as those residing in Ko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