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호텔여성종사원과 남성종사원의 직무만족요인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연구 : 서울소재 특1급 호텔의 남녀종사원 비교를 중심으로 = Study on factor of job satisfaction and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hotel employe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620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호텔의 경영은 숙박시설, 부대시설 등의 편의시설 및 호텔 경영 인력 등 인적 자원들의 노력으로 인해 성장될 수 잇고 그 중에서도 호텔은 특히 인적 서비스를 중요시해야 하는 산업에 속한다.
      최근에는 남성 종사원 위주의 호텔 종사원 구성에서 여성 종사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호텔 종사원이라는 직업적 분류를 통해 하나의 집단으로 나누어 인적 관리를 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보다 세밀한 관리와 서비스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바로 성별 요인에 따른 직무 만족도의 원인을 밝혀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즉, 호텔 종사원 전체의 직무만족 요인과 직무만족도를 분석하는 것 뿐 아니라 남성과 여성의 직무만족 요인 및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남성 종사원의 인적 자원 관리를 위해서 강조해야할 방안을 제시하고, 또한 여성 종사원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직무만족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안을 각기 찾아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므로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남성종사원과 여성종사원간에 임금 및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여성 종사원의 임금 및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의 인사고과만족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종사원에 배해 남성종사원의 인사고과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과 남성의 직무만족도의 차이에 있어서 남성종사원의 직무만족도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금 및 복리후생, 업무만족, 인사고과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금 및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업무만족과 인사고과가 잘 이루어질수록 남성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종사원의 직무만족요인 중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의 만족감', '업무량', '인사관리', '업무특성 및 대인관계'등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여성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종사자의 경우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복리후생, 인사고과, 인간관계 등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호텔의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 목표관리 차원에서 볼 때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호텔 산업의 특성상 많은 인적 자원을 확보하고, 수준 높은 종사원의 질을 유지하려면 회사의 정책과 방향을 공개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의 확보와 종사원들의 의견이 개진될 수 있는 상시적 제도 장치가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둘째, 호텔 경영측은 매년마다 혹은 필요에 따라 종사원들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이의 대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인적 자원관리를 함으로써 이직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직무만족에 미치는 남녀의 특징적인 영향요인들을 정확히 파악, 이를 적절히 이용한다면 극대화된 만족감으로 구성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호텔의 경영은 숙박시설, 부대시설 등의 편의시설 및 호텔 경영 인력 등 인적 자원들의 노력으로 인해 성장될 수 잇고 그 중에서도 호텔은 특히 인적 서비스를 중요시해야 하는 산업에 속한...

      호텔의 경영은 숙박시설, 부대시설 등의 편의시설 및 호텔 경영 인력 등 인적 자원들의 노력으로 인해 성장될 수 잇고 그 중에서도 호텔은 특히 인적 서비스를 중요시해야 하는 산업에 속한다.
      최근에는 남성 종사원 위주의 호텔 종사원 구성에서 여성 종사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호텔 종사원이라는 직업적 분류를 통해 하나의 집단으로 나누어 인적 관리를 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보다 세밀한 관리와 서비스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바로 성별 요인에 따른 직무 만족도의 원인을 밝혀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즉, 호텔 종사원 전체의 직무만족 요인과 직무만족도를 분석하는 것 뿐 아니라 남성과 여성의 직무만족 요인 및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남성 종사원의 인적 자원 관리를 위해서 강조해야할 방안을 제시하고, 또한 여성 종사원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직무만족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안을 각기 찾아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므로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남성종사원과 여성종사원간에 임금 및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여성 종사원의 임금 및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의 인사고과만족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종사원에 배해 남성종사원의 인사고과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과 남성의 직무만족도의 차이에 있어서 남성종사원의 직무만족도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금 및 복리후생, 업무만족, 인사고과의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금 및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업무만족과 인사고과가 잘 이루어질수록 남성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종사원의 직무만족요인 중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의 만족감', '업무량', '인사관리', '업무특성 및 대인관계'등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여성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종사자의 경우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복리후생, 인사고과, 인간관계 등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호텔의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 목표관리 차원에서 볼 때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호텔 산업의 특성상 많은 인적 자원을 확보하고, 수준 높은 종사원의 질을 유지하려면 회사의 정책과 방향을 공개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의 확보와 종사원들의 의견이 개진될 수 있는 상시적 제도 장치가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둘째, 호텔 경영측은 매년마다 혹은 필요에 따라 종사원들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이의 대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인적 자원관리를 함으로써 이직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직무만족에 미치는 남녀의 특징적인 영향요인들을 정확히 파악, 이를 적절히 이용한다면 극대화된 만족감으로 구성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tel management is developed with convenient facility of lodging facility, additional facility, etc. and with effort of human resources such as people of hotel management. Out of these, hotel is an industry where human service is important.
      Most of the hotel employees were male but recently the number of female employees is increasing. It is limited to manage a certain group and we need to observe factor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for fine management and better service. By studying not only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but by studying job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we should exhibit ways for the management of male employees. Also, for better job satisfaction of the female employees, we should observe and improv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s for the result of the study on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wage and welfare, the female employee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male employees. The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on merit rating was generally low but the male employe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female employees.
      Also, the male employees had a littl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female employees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male employees, are wage, welfare, work satisfaction, and merit rating. This means that as satisfaction on wage, welfare, work, and merit rating is high, the male employees show high satisfacti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general satisfaction, are 'satisfaction on work', 'work hour', 'personnel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work and relationship with other employees', etc. As the female employees have high satisfaction on work, the job satisfaction increased. it is shown that wage, welfare, merit rating, relationship, etc. do no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the female employees significant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is, we can summarize suggestions as the following when looking at personnel management and group goal management.
      1. To maintain large number of human resources and high quality of employees, there need to be a system where the company's policy and aim can be expressed publically and a regular policy where the employees can state their opinions.
      2. The hotel should survey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every year or when it is needed and they need to collect the results. They also need to make a counterproposal for these and manage the human resources effectively to prevent loss of employment.
      3. They need to study the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and if they use this well, it will be possible to manage the human resources effectively with high satisfaction.

      번역하기

      Hotel management is developed with convenient facility of lodging facility, additional facility, etc. and with effort of human resources such as people of hotel management. Out of these, hotel is an industry where human service is important. Most of ...

      Hotel management is developed with convenient facility of lodging facility, additional facility, etc. and with effort of human resources such as people of hotel management. Out of these, hotel is an industry where human service is important.
      Most of the hotel employees were male but recently the number of female employees is increasing. It is limited to manage a certain group and we need to observe factor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for fine management and better service. By studying not only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but by studying job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we should exhibit ways for the management of male employees. Also, for better job satisfaction of the female employees, we should observe and improv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s for the result of the study on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wage and welfare, the female employee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male employees. The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on merit rating was generally low but the male employe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female employees.
      Also, the male employees had a littl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female employees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male employees, are wage, welfare, work satisfaction, and merit rating. This means that as satisfaction on wage, welfare, work, and merit rating is high, the male employees show high satisfacti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general satisfaction, are 'satisfaction on work', 'work hour', 'personnel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work and relationship with other employees', etc. As the female employees have high satisfaction on work, the job satisfaction increased. it is shown that wage, welfare, merit rating, relationship, etc. do no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the female employees significant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is, we can summarize suggestions as the following when looking at personnel management and group goal management.
      1. To maintain large number of human resources and high quality of employees, there need to be a system where the company's policy and aim can be expressed publically and a regular policy where the employees can state their opinions.
      2. The hotel should survey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every year or when it is needed and they need to collect the results. They also need to make a counterproposal for these and manage the human resources effectively to prevent loss of employment.
      3. They need to study the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and if they use this well, it will be possible to manage the human resources effectively with high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차례=iii
      • 그림차례=iv
      • 논문개요=v
      • 제1장 서론=1
      • 목차
      • 표차례=iii
      • 그림차례=iv
      • 논문개요=v
      • 제1장 서론=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1
      •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3
      •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5
      • 제2장 이론적 배경=6
      • 제1절 호텔의 정의=6
      • 1. 호텔의 정의=6
      • 2. 호텔의 기업적 특성=7
      • 제2절 직무만족도 이론=10
      • 1. 직무만족의 정의=10
      • 2.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12
      • 3.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4
      • 4. 직무만족도의 측정=31
      • 제3절 호텔 종사원의 직업 의식=33
      • 1. 남녀의 직업에 대한 의식=33
      • 2. 호텔 남녀 종사원의 직업의식=34
      • 제4절 직무만족관련 선행연구 고찰=37
      • 1. Sounders의 연구=37
      • 2. Pizam & Chandrasekar의 연구=38
      • 3. Holt의 연구=40
      • 4. 퀸의 연구=42
      • 5. 스질라지와 헨리의 연구=43
      • 6. 취티리스의 연구=43
      • 7. 국내 선행연구=45
      • 8. 선행연구의 종합=46
      • 제3장 연구 방법=47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47
      • 제2절 연구대상 =49
      • 제3절 연구도구=49
      • 제4절 설문지의 구성=50
      • 제5절 신뢰도 검증=52
      • 제6절 연구의 절차=53
      • 제7절 자료의 분석방법=53
      • 제4장 실증분석=55
      • 제1절 분석자료의 기술 조사=55
      • 1. 종사원의 인구통계적 특성=55
      • 제2절 가설의 검증=56
      • 1. 가설 I 의 검증=56
      • 2. 가설 II 의 검증=60
      • 3. 가설 III 의 검증=61
      • 4. 가설 IV 의 검증=62
      • 5. 가설 V 의 검증=63
      • 6. 가설 VI 의 검증=65
      • 7. 가설 검증 결과 요약=66
      • 제5장 결론=67
      • 제1절 연구의 요약=67
      • 제2절 연구의 한계점=71
      • 참고문헌=72
      • 부록(설문지)=77
      • ABSTRACT=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