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출판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역사성 및 전통성과 밀접하다고 할 수 있는 ‘텍스트 문화의 기호학’과 ‘언설의 기호학적 측면’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79567
2005
-
01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1-156(36쪽)
1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출판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역사성 및 전통성과 밀접하다고 할 수 있는 ‘텍스트 문화의 기호학’과 ‘언설의 기호학적 측면’에...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출판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역사성 및 전통성과 밀접하다고 할 수 있는 ‘텍스트 문화의 기호학’과 ‘언설의 기호학적 측면’에서 담론, 즉 신화·민화·설화를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특히 유비쿼터스 출판 시대를 맞이한 현 시점에서, 출판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예측되는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착안하게 되었으며, 그 기초적 접근 방안의 연구로서 출판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기호학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언설의 기호학과 담론을 통한 기호학의 기초 이론 및 기호학의 구조, 텍스트의 구조분석 방법까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어떠한 현상이나 이야기의 줄거리를 텍스트화 하고, 기호학적으로 <텍스트>와 <맥락>의 구조를 분석하며, 사회의 다양한 현상과 연관시켜 그 현상을 이해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하나의 이야기 또는 문맥, 현상들을 대화적으로 접근하여 텍스화하고 기호화함으로써 기호작용을 통해서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의미를 실현해 나가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이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의 유비쿼터스 출판산업은 물론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발전에 더욱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 유비쿼터스 출판 환경에 모두가 적응 되어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시기를 앞당겼으면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approach with culture text analysis of confabulation(mythology, folktale, tale) on 'text culture semiology' & 'statement semiology' that is close to historicity and tradition of the publication communication industry that has playe...
This study tried to approach with culture text analysis of confabulation(mythology, folktale, tale) on 'text culture semiology' & 'statement semiology' that is close to historicity and tradition of the publication communication industry that has played a key role media industry.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solv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gap on Ubiquitous Publication communication.
I tried to search basic theory of semiology and structure of semiology, a structure analytical method of a text by semiology of a statement and confabulation so that presented that it was possible approach with communication culture semiology by the media including publication communication
A meaning of this study is text a phenomenon or a plot of a story, analyzes structure of <text> and <context> with a semiology, and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a various phenomena related to the society
This study acquired conclusions that approach with a conversation one story or the context, the phenomenon to text and semiology by semiosis, possibility understanding and realizeing meaning overall.
It is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at expected development of the media communication industry including Ubiquitous publication industry. The study which it sees the continuous relation this study becomes accomplished with all to be adapted to Ubiquitous Publication environment, it advances the time which is solved information ga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커뮤니케이션 이론" 나남출판 2004
2 "유비쿼터스 시대의 한국 출판산업 전망 유비쿼터스 시대의 발전 방안" 한국출판연구소ㆍ한국전자출판연구회 2003
3 "유비쿼터스 시대의 전자출판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회 2005
4 "설화의 기호학" 민음사 1999
5 "상징의 과학 기호학" 인간사랑 1991
6 "삼국유사 설화와 기호학" 일조각 1990
7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나남출판 2002
8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 문학과 경계사 2003
9 "The Sign Mechanism of Culture" 1974
10 "The Semiotics of Cultural Texts" 1976
1 "커뮤니케이션 이론" 나남출판 2004
2 "유비쿼터스 시대의 한국 출판산업 전망 유비쿼터스 시대의 발전 방안" 한국출판연구소ㆍ한국전자출판연구회 2003
3 "유비쿼터스 시대의 전자출판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회 2005
4 "설화의 기호학" 민음사 1999
5 "상징의 과학 기호학" 인간사랑 1991
6 "삼국유사 설화와 기호학" 일조각 1990
7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나남출판 2002
8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 문학과 경계사 2003
9 "The Sign Mechanism of Culture" 1974
10 "The Semiotics of Cultural Texts" 1976
11 "La logique des possibles narratifs" Communication 1975
12 "Grammaire du Decameron" Mouton 1969
개화기 출판 활동의 한 징험 - 회동서관의 출판문화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CTS의 새로운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지역신문 뉴스의 다양성(diversity)과 사회후생(social welfare)의 함의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전자책 이용활성화를 위한 이용행태 조사연구 - 수용자 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1 | 0.79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