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read of Hangul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0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pread and utilization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unminjeongeum (訓民正音), the name of Korean unique alphabet, shows the purpose of its creation was educational from the origin, as the name literally means ‘Proper sound to Instruct the People’. Contrary to the perception of general public that only lower classes and women used Hangeul until modern times, Hangeul was a character used by every class of the society through the Joseon Dynasty. And Hangeul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the educational cognition, by being used for different purposes in various fields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through the period.
      In Chapter II,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issemination of Hangeul, focusing on textbooks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review lead us to a conclusion that 「Yeui」(例義) and 「Haerye」(解例)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textbooks of the new character, for which describes the principle of letter design and explains how people can combine each phonemic symbols to syllable unit(letter). 『Yongbieocheonga』 showed the practical usage of the new created character and took an important roll for Hangle distribution as a high quality literature written in Hangeul for the first time, even considering its experimental trait. 「Hunminjeongeum Eonhae」, which is included at the beginning of 『Wolinseokbo』(月印釋譜), is a Korean translation of 「Yeui」 of 『Hunminjeongeum』'. This was a good model presenting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order how to teach Hangeul first and then reading books based on the knowledge of Hangeul.. 「Eonmunjamo」(諺文字母), which is recorded after the legends of 「Hunmongjahoe」(訓蒙字會), is evaluated as a textbook with unique value that standardized the contents and format of Hangeul learning.
      In Chapter III the researcher examines the aspects of Hangeul usage through various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classified into Chinese character study books, unseo(Chinese character rhyme reference book), literary books, Buddhist scriptures, enlightenment books, Confucian scriptures, and practical books, and for each books and work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were inventoried under the index of main target reader(learner), purpose of writing,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works. Through this analysis, the fact was confirmed that Hangeul was used,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social status, for various purposes and fields such as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tudying poetry and classics, studying scriptures, and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Moreover, in most of Hangeul documents of this period, more exactly Chinese and Korean bilingual texts except unseo, 『Dusieonhae』, and some Confucian scriptures, Hangeul gradually replaced Chinese character, so the proportion of the use of the two characters was reversed and Hangeul became more dominant.
      In Chapter IV, the researcher demonstrated how the spread and dissemination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fluenced the change of education, and so how 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in 4 perspectives; diversif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by class, expansion of learner group, changes in education format, and differentiation of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s. Firstly, the literacy education had been diversified by social classes. 15th and 16th centuries' literacy education can be classifed for its learning object as Chinese character monolingual literacy, Chinese character-oriented bilingual literacy, Hangeul-oriented bilingual literacy, and Hangeul monolinugal literacy, and this led to the explosive rise of literacy rate. Secondly, education target group was expanded. By the 16th century, the dissemination of Hangeul was expanded to all classes of the society, so even the lower classes and women who were previously excluded from educational opportunities became eligible for education. Thirdly, there was a change in the educational formats. While apprentice system was dominant in education in the previous period, the new generations were able to study by themselves with Hangeul documents and books, for Korean translations let anyone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o be a subject and obeject of teaching and learning fields. Fourthly,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were differentiated. Canons inherited only in Chinese Classic types were edited and revised into Hangle(Korean) translations, commentary editions, Hangle-original creations, anthologies, and conveniently used for various purposes of education.
      In short, Hunminjeongeum [Hangeul] was a character that was spread to all classes, from the royal family, the nobles, the commoners, to the ordinary people, and was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from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o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widespread dissemination of Hangeul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such as the differentiation of literacy education by class, expansion of learner group, changes in education format, and diversification of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pread and utilization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unminjeongeum (訓民正音), the name of Korean unique alphabet, shows the purpose of its creation was educational from the orig...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pread and utilization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unminjeongeum (訓民正音), the name of Korean unique alphabet, shows the purpose of its creation was educational from the origin, as the name literally means ‘Proper sound to Instruct the People’. Contrary to the perception of general public that only lower classes and women used Hangeul until modern times, Hangeul was a character used by every class of the society through the Joseon Dynasty. And Hangeul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the educational cognition, by being used for different purposes in various fields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through the period.
      In Chapter II,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issemination of Hangeul, focusing on textbooks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review lead us to a conclusion that 「Yeui」(例義) and 「Haerye」(解例)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textbooks of the new character, for which describes the principle of letter design and explains how people can combine each phonemic symbols to syllable unit(letter). 『Yongbieocheonga』 showed the practical usage of the new created character and took an important roll for Hangle distribution as a high quality literature written in Hangeul for the first time, even considering its experimental trait. 「Hunminjeongeum Eonhae」, which is included at the beginning of 『Wolinseokbo』(月印釋譜), is a Korean translation of 「Yeui」 of 『Hunminjeongeum』'. This was a good model presenting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order how to teach Hangeul first and then reading books based on the knowledge of Hangeul.. 「Eonmunjamo」(諺文字母), which is recorded after the legends of 「Hunmongjahoe」(訓蒙字會), is evaluated as a textbook with unique value that standardized the contents and format of Hangeul learning.
      In Chapter III the researcher examines the aspects of Hangeul usage through various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classified into Chinese character study books, unseo(Chinese character rhyme reference book), literary books, Buddhist scriptures, enlightenment books, Confucian scriptures, and practical books, and for each books and work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were inventoried under the index of main target reader(learner), purpose of writing,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works. Through this analysis, the fact was confirmed that Hangeul was used,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social status, for various purposes and fields such as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tudying poetry and classics, studying scriptures, and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Moreover, in most of Hangeul documents of this period, more exactly Chinese and Korean bilingual texts except unseo, 『Dusieonhae』, and some Confucian scriptures, Hangeul gradually replaced Chinese character, so the proportion of the use of the two characters was reversed and Hangeul became more dominant.
      In Chapter IV, the researcher demonstrated how the spread and dissemination of Hangeu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fluenced the change of education, and so how 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in 4 perspectives; diversif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by class, expansion of learner group, changes in education format, and differentiation of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s. Firstly, the literacy education had been diversified by social classes. 15th and 16th centuries' literacy education can be classifed for its learning object as Chinese character monolingual literacy, Chinese character-oriented bilingual literacy, Hangeul-oriented bilingual literacy, and Hangeul monolinugal literacy, and this led to the explosive rise of literacy rate. Secondly, education target group was expanded. By the 16th century, the dissemination of Hangeul was expanded to all classes of the society, so even the lower classes and women who were previously excluded from educational opportunities became eligible for education. Thirdly, there was a change in the educational formats. While apprentice system was dominant in education in the previous period, the new generations were able to study by themselves with Hangeul documents and books, for Korean translations let anyone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o be a subject and obeject of teaching and learning fields. Fourthly,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were differentiated. Canons inherited only in Chinese Classic types were edited and revised into Hangle(Korean) translations, commentary editions, Hangle-original creations, anthologies, and conveniently used for various purposes of education.
      In short, Hunminjeongeum [Hangeul] was a character that was spread to all classes, from the royal family, the nobles, the commoners, to the ordinary people, and was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from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o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widespread dissemination of Hangeul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such as the differentiation of literacy education by class, expansion of learner group, changes in education format, and diversification of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이 갖고 있는 교육적 의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리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 즉 한글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말뜻 그대로 창제 목적 자체가 교육적이었다. 근대 이전까지 한글이 하층민과 부녀자들의 문자였다는 세간의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한글은 조선시대에 모든 계층이 사용하던 문자였다. 그리고 한글은 여러 방면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당시 교육의 변화와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조선전기의 한글 학습용 교재를 중심으로 한글의 보급 상황을 검토하였다.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문자의 제자 원리와 실제 표기 용례를 제시한『훈민정음』의 「예의」와 「해례」는 최초의 한글교재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글의 실제 사용례를 보여준『용비어천가』는 실험적인 성격을 띄고 있었지만 완성도 높은 최초의 한글 문학작품으로서 한글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월인석보』의 권두에 수록된「훈민정음 언해」는 『훈민정음』의 예의편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 한글을 익힌 다음에 한글을 활용하여 편찬한 책을 읽어 나가게 하는 교육 순서와 절차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훈몽자회』의 범례 뒤에 수록된「언문자모」는 한글 학습의 내용과 형식을 규범화한 독보적인 가치를 가진 한글교재로 평가된다.
      제Ⅲ장에서는 조선전기 다양한 방면의 한글 문헌을 통해 한글 활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전기 한글 문헌을 한자 학습서, 운서, 문학서, 불교서, 교화서, 유교 경서, 실용서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주대상 계층과 목적, 특징,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글이 계층에 따라 한자 학습, 시문 공부, 경서 학습, 실용 지식 습득 등의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자와 한글 이중 언어 텍스트라 할 수 있는 이 시기의 한글 문헌들 가운데 운서류, 『두시언해』, 일부 유교 경서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문헌들에서 점차 한글의 비중이 한자보다 높아지는 문자의 치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이 당시의 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계층별 문해교육의 분화, 교육대상의 확대, 교육방식[형태]의 변화, 교재 종류의 다양화라는 네 가지 주제로 논하였다. 첫째, 계층별 문해교육의 분화이다. 15-16세기 문해교육은 한자 단일문해, 한자의 비중이 높은 한자·한글 이중문해, 한글의 비중이 높은 한자·한글 이중문해, 한글 단일문해 등 계층별로 다양화하여 이전 시기에 비해 식자층이 크게 늘어났다. 둘째, 교육 대상의 확대이다. 16세기에 이르러 한글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전까지 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되었던 하층민과 부녀자들까지 교육의 수혜자가 되었다. 셋째, 학습 방식[형태]의 변화이다. 이전에는 사제 관계에 의한 도제식 교육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제는 한글 문헌을 통해 자학 또는 자습이 가능해지고, 한글 문헌만 있으면 시공간의 제약없이 누구나 가르치고 배우는 주체가 될 수 있었다. 넷째, 교재 종류의 다양화이다. 이전 시대에는 한문원전류 단일교재에서 한자와 한글 조합방식에 따라 언해서류, 주해서류, 한글창작서류, 발췌편집서류 등으로 교재 유형이 다양화하여 여러 목적으로 교육에 활용되었다.
      요컨대 훈민정음[한글]은 양반 사대부는 물론 여성, 하층민에 이르기까지 전 계층에 보급된 문자였고, 한자 학습에서부터 실용 지식의 습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즉, 한글은 계층별 문해 교육의 분화, 교육대상의 확대, 학습방식의 변화, 교재 종류의 다양화 등 조선전기 교육의 변화와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이 갖고 있는 교육적 의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리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 즉 한글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말뜻 그대로 창제 목적 자...

      이 연구는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이 갖고 있는 교육적 의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리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 즉 한글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말뜻 그대로 창제 목적 자체가 교육적이었다. 근대 이전까지 한글이 하층민과 부녀자들의 문자였다는 세간의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한글은 조선시대에 모든 계층이 사용하던 문자였다. 그리고 한글은 여러 방면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당시 교육의 변화와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조선전기의 한글 학습용 교재를 중심으로 한글의 보급 상황을 검토하였다.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문자의 제자 원리와 실제 표기 용례를 제시한『훈민정음』의 「예의」와 「해례」는 최초의 한글교재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글의 실제 사용례를 보여준『용비어천가』는 실험적인 성격을 띄고 있었지만 완성도 높은 최초의 한글 문학작품으로서 한글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월인석보』의 권두에 수록된「훈민정음 언해」는 『훈민정음』의 예의편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 한글을 익힌 다음에 한글을 활용하여 편찬한 책을 읽어 나가게 하는 교육 순서와 절차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훈몽자회』의 범례 뒤에 수록된「언문자모」는 한글 학습의 내용과 형식을 규범화한 독보적인 가치를 가진 한글교재로 평가된다.
      제Ⅲ장에서는 조선전기 다양한 방면의 한글 문헌을 통해 한글 활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전기 한글 문헌을 한자 학습서, 운서, 문학서, 불교서, 교화서, 유교 경서, 실용서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주대상 계층과 목적, 특징,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글이 계층에 따라 한자 학습, 시문 공부, 경서 학습, 실용 지식 습득 등의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자와 한글 이중 언어 텍스트라 할 수 있는 이 시기의 한글 문헌들 가운데 운서류, 『두시언해』, 일부 유교 경서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문헌들에서 점차 한글의 비중이 한자보다 높아지는 문자의 치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이 당시의 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계층별 문해교육의 분화, 교육대상의 확대, 교육방식[형태]의 변화, 교재 종류의 다양화라는 네 가지 주제로 논하였다. 첫째, 계층별 문해교육의 분화이다. 15-16세기 문해교육은 한자 단일문해, 한자의 비중이 높은 한자·한글 이중문해, 한글의 비중이 높은 한자·한글 이중문해, 한글 단일문해 등 계층별로 다양화하여 이전 시기에 비해 식자층이 크게 늘어났다. 둘째, 교육 대상의 확대이다. 16세기에 이르러 한글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전까지 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되었던 하층민과 부녀자들까지 교육의 수혜자가 되었다. 셋째, 학습 방식[형태]의 변화이다. 이전에는 사제 관계에 의한 도제식 교육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제는 한글 문헌을 통해 자학 또는 자습이 가능해지고, 한글 문헌만 있으면 시공간의 제약없이 누구나 가르치고 배우는 주체가 될 수 있었다. 넷째, 교재 종류의 다양화이다. 이전 시대에는 한문원전류 단일교재에서 한자와 한글 조합방식에 따라 언해서류, 주해서류, 한글창작서류, 발췌편집서류 등으로 교재 유형이 다양화하여 여러 목적으로 교육에 활용되었다.
      요컨대 훈민정음[한글]은 양반 사대부는 물론 여성, 하층민에 이르기까지 전 계층에 보급된 문자였고, 한자 학습에서부터 실용 지식의 습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즉, 한글은 계층별 문해 교육의 분화, 교육대상의 확대, 학습방식의 변화, 교재 종류의 다양화 등 조선전기 교육의 변화와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론 1
      • 제Ⅱ장 조선전기 한글 학습용 교재와 한글 보급 13
      • 제1절 최초의 한글교재, 훈민정음예의와 해례 13
      • 1. 훈민정음예의와 해례의 구성 및 특징 14
      • 가. 예의편 :세종어제서문과 예의 14
      • 제Ⅰ장 서론 1
      • 제Ⅱ장 조선전기 한글 학습용 교재와 한글 보급 13
      • 제1절 최초의 한글교재, 훈민정음예의와 해례 13
      • 1. 훈민정음예의와 해례의 구성 및 특징 14
      • 가. 예의편 :세종어제서문과 예의 14
      • 나. 해례편 :해례와 정인지 서 17
      • 2. 한글교재로서 예의와 해례의 관계성 22
      • 제2절 최초의 한글 실용 예, 용비어천가 26
      • 1.용비어천가의 출현 배경 26
      • 2.용비어천가의 특징과 유통 29
      • 제3절 월인석보내 훈민정음 언해 33
      • 1. 훈민정음 언해의 성격 35
      • 2. 훈민정음 언해의 구성 및 특징 38
      • 제4절 훈몽자회내언문자모 43
      • 1. 언문자모의 성격과 유통 양상 43
      • 2. 언문자모의 내용 체제 47
      • 3. 언문자모의 한글교재로서의 특징 49
      • 제Ⅲ장 조선전기 한글문헌에 나타난 한글 활용 양상 60
      • 제1절 한자 학습서류 63
      • 1. 유합 64
      • 2. 훈몽자회 68
      • 3. 신증유합 72
      • 제2절 운서류와 두시언해 78
      • 1. 운서류 78
      • 가. 동국정운 78
      • 나. 홍무정운역훈 83
      • 다. 사성통해 86
      • 2. 두시언해 89
      • 제3절 불교서류 93
      • 1. 정음 불교문헌의 출현 93
      • 가.석보상절 94
      • 나.월인천강지곡 97
      • 2. 간경도감판 불경 언해 99
      • 가. 능엄경언해 105
      • 나. 금강경언해 109
      • 제4절 교화서와 유교 경서류 112
      • 1. 교화서 언해 112
      • 가. 삼강행실도언해 114
      • 나. 정속언해 121
      • 2. 유교 경전 언해 125
      • 가. 효경언해 128
      • 나. 소학언해서 130
      • 다. 사서삼경언해서 136
      • 제5절 실용서류 140
      • 1. 병서류:무예제보 141
      • 2. 농서류:금양잡록 145
      • 3. 의서류:구급방과 구급간이방 149
      • 제Ⅳ장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활용의 교육적 의의 155
      • 1. 계층별 문해교육의 분화 155
      • 2. 교육 대상의 확대 162
      • 3. 학습 방식[형태]의 변화 168
      • 4. 교재 종류의 다양화 174
      • 제Ⅴ장 요약 및 결론 178
      • 참 고 문 헌 184
      • ABSTRACT 19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문환, "『언간』", 역락, 2015

      2 홍윤표, "『한글』", 세창출판사, 2016

      3 박종배, 조화태,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0

      4 이호권, "『금양잡록』", 「규장각소장어문자료 어학편 해설」, 서울 대 규장각, 2001

      5 이상규, "『직서기언』", 경진출판, 2018

      6 방종현, "「훈몽자회고」", 『동방학지』1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 원, 1954

      7 안병희, "『최세진연구』", 국어학회, 2007

      8 백두현, "『한글문헌학』", 태학사, 2015

      9 김기종, "『불교와 한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10 김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1996

      1 황문환, "『언간』", 역락, 2015

      2 홍윤표, "『한글』", 세창출판사, 2016

      3 박종배, 조화태,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0

      4 이호권, "『금양잡록』", 「규장각소장어문자료 어학편 해설」, 서울 대 규장각, 2001

      5 이상규, "『직서기언』", 경진출판, 2018

      6 방종현, "「훈몽자회고」", 『동방학지』1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 원, 1954

      7 안병희, "『최세진연구』", 국어학회, 2007

      8 백두현, "『한글문헌학』", 태학사, 2015

      9 김기종, "『불교와 한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10 김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1996

      11 강신항, "『한국의 운서』", 태학사, 2000

      12 홍윤표, "『한글이야기 1』", 태학사, 2013

      13 신나민, "『원격교육입문』", 서현사, 2007

      14 김무림, "『홍무정운역훈』", 신구문화사, 2006

      15 이기문, "『훈몽자회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1

      16 강신항, "『훈몽자회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3

      17 안병희,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7

      18 정순우, "『서당의 사회사』", 태학사, 2012

      19 나찬연, "『언어 국어 문화』", 월인, 2010

      20 김성주, "2인, 『금강경언해』", 신구문화사, 2005

      21 손인수, "『한국교육사연구』", 문음사, 1998

      22 이상규, "『한글고문서연구』", 경진, 2011

      23 매체철학연구회, "『매체철학의 이해』", 인간사랑, 2005

      24 시정곤, 최경봉, "『한글과 과학문명』", 들녘, 2018

      25 정광, "「세종의 한글 창제」", 『한국학연구』51권. 고려대학교 한 국학연구소, 2004

      26 이기문, "『국어 음운사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3

      27 안병희, "『국어사 문헌 연구』", 신구문화사, 2009

      28 윤형두, "『옛 책의 한글판본』", 범우사, 2003

      29 정경일, "『한국 운서의 이해』", 아카넷, 2002

      30 강이경, 이상규, "『한글 고목과 배자』", 경진, 2013

      31 박종국, "『훈민정음종합연구』", 세종학연구원, 2007

      32 강신항, "「최세진의 음운연구」", 『새국어생활』9권 3호, 국립국 어연구원, 1999

      33 민현식, "「한글문화의 정신사」", 『한국언어문화학』13권 3호, 국 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34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35 최영애, "『중국어란 무엇인가』", 통나무, 1988

      36 김무봉, "「석보상절 권 20 연구」", 『불교학연구』34집, 불교학연 구회, 2013

      37 정우상, "「한․중 속자의 비교」", 『국어생활』17권, 국어연구소, 1989

      38 윤인숙, "조선 전기의 사림과 소학", 역사비평사, 2016

      39 김완진, "『국어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1982

      40 나영일, "『조선중기 무예서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41 최종민, "『훈민정음과 세종악보』", 역락, 2013

      42 손보기, "『세종 시대의 인쇄출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6

      43 김슬옹,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의 산업사, 2011

      44 강신항,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45 김주필, "「훈민정음 언해본의 주석」", 『어문학논총』38집, 국민 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19

      46 차익종, "『동국정운식 한자음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4

      47 한가준, "『최세진의 사성통해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8

      48 강신항, "『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 경진, 2010

      49 사재동, "『훈민정음의 창제와 실용』", 역락, 2014

      50 서상규, "편, 『불교와 한글, 한국어』", 한국문화사, 2017

      51 주영하, "4인,『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52 노태조, "「국역 삼강행실도에 대하여」", 『어문연구』12권, 어문연 구학회, 1982

      53 윤용선, "『15세기 언해 자료와 구결문』", 역락, 2003

      54 정호훈, "『조선의 <소학> 주석과 번역』", 소명출판, 2014

      55 김무봉, "『훈민정음 그리고 불경언해』", 역락, 2015

      56 이윤석, "「한글 고소설의 탄생과 유통」", 『인문과학』105집, 연 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57 김완진,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5권, 서울대 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4

      58 신차균,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학지사, 2006

      59 임동석, "「표음 기능 한자에 대한 연구」", 『중국학보』35권, 한국 중국학회, 1995

      60 가타기리 요시오, "이건상 역, 『일본교육의 역사』", 논형., 2011

      61 이문학, "「세종시대 출판문화정책 연구」", 『한국출판학연구』47 권, 한국출판학회, 2021

      62 최경봉, "「전근대시기 한글보급의 동인」", 『동방학지』189권, 연 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63 이정민, "「조선시대 『소학』이해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64 신양선, "「조선초 국내의 서적보급정책」", 『역사와실학』17-18 권. 역사와실학회, 2000

      65 김슬옹,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역락, 2012

      66 김슬옹, "『훈민정음 해례본 입체강독본』", 박이정, 2019

      67 조현진, "『<번역소학>과 <소학언해> 연구』", 박이정, 2015

      68 마샬 맥루한, "임상원 역, 『구텐베르크은하계』",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69 최기표, "「『석보상절』불교 주해의 의의」", 『불교학보』85집,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70 김무봉, "「조선시대 간경도감의 역경사업」", 『전자불전』4권, 동 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2

      71 김경용, "「조선전기 서당교육에 대한 시론」", 『교육사학연구』제 27집 제2호, 교육사학회, 2017

      72 김주필, "「훈민정음 언해본의 내용과 특징」", 『어문학논총』38 집,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19

      73 박종배, "「읍지에 나타난 조선 후기의 무학」", 『교육사학연구』 26집 2호, 교육사학회, 2016

      74 강유주, 박종배, "「조선시대의 한글 교재와 그 특징」", 『교육사학 연구』30집 2호, 교육사학회, 2020

      75 이영경, "「칠서의 언해와 그 국어사적 의의」", 『국학연구』19권, 한국국학진흥원, 2011

      76 백두현, "「한국어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 『문학과 언어』 26권, 문학과 언어학회, 2004

      77 이상규, "주해, 방종현(1947), 『훈민정음통사』", 올재, 2015

      78 김은정, "「세종조 문학 관련 서적 출판 연구」", 『한문고전연구』 37권, 한국한문고전학회, 2018

      79 안귀남, "『조선시대 한글필사본과 문자생활』", 문예원, 2016

      80 정광, "「성삼문의 학문과 조선전기의 역학」", 『어문연구』30권 3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81 시정곤, "「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 『우리어문연 구』29권, 우리어문학회, 2007

      82 김동소, "「『무예제보』의 해제․색인․영인」", 『한글말글학』17권, 한글말글학회, 2000

      83 최영환, "「『훈몽자회』의 한글지도방법연구」", 『독서연구』51 권, 한국독서학회, 2016

      84 박연호, "「조선전기 사대부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 구원 박사학위논문, 1994

      85 김풍기, "「조선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동악어문학』 58권, 동악어문학회, 2012

      86 박광헌, "『간경도감 간행 불서의 서지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8

      87 정진원, "『월인석보, 훈민정음에 날개를 달다』", 조계종 출판사, 2019

      88 김슬옹,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05

      89 김유범, "「한글 고문서 선조국문유서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18호, 국어사학회, 2014

      90 김영국, "「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체계와 방점」", 『동악어문학』 32권, 동악어문학회, 1997

      91 김근영, 박연호, "「기독교 선교사들의 한글교육, 1884-1905」", 『교육사학연구』25권 2호, 교육사학회, 2015

      92 김인회, "「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 사용과 의미」", 『한국학』35 권 4호, 한국학 중앙연구원, 2012

      93 이광호, "「곡식류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어문학』 109집, 한국어문학회, 2010

      94 유명우, "「한국 번역사에서 본 조선조 언해 번역」", 『번역학연 구』5권, 한국번역학회, 2004

      95 옥영정, "「『무예제보』의 간행과 서지학적 가치」", 『서지학연 구』82권, 한국서지학회, 2020

      96 강신항, "「사성통해 권두서문과 자모도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연구』19권, 원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1997

      97 강창석, "「언문자모의 작성주체와 시기에 대하여」", 『언어와 정 보사회』22권,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4

      98 서수백, "「훈몽자회와 신증유합의 자석 비교연구」", 『순천향 인 문과학논총』37권 3호,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99 정우영, "「훈민정음과 불교경전의 상관관계 연구」", 『어문연구』 43권 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100 이상혁, "「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 『한국어학』 41, 한국어학회, 2008

      101 이상규, "3인 주해, 홍기문(1946), 『증보정음 발달사』", 역락, 2016

      102 와타나베 마나부, "교육사학회 역, 『와타나베의 한국교육사』", 문음사, 2010

      103 백두현, "「훈민정음을 활용한 조선시대의 인민통치」", 『진단학 보』92권, 진단학회, 2009

      104 윌터 옹, "이기우, 임명진 역,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 판사, 1995

      105 백두현,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 구조 연구」", 『국어 학』54권, 국어학회, 2009

      106 최용기, "「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진흥정책의 미래」", 『국어문 학』49권, 국어문학회, 2010

      107 백두현, "「조선시대의 한글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 『진단학 보』92권, 진단학회, 2001

      108 김주원, "「훈민정음 언해본의 정본 제작에 관한 연구」", 『국어사연구』7호. 국어사학회, 2007

      109 윤용선, "「언해 자료의 역사와 언어 양상에 대한 검토」", 『우리 말글』56권, 우리말글학회, 2012

      110 이영경, "「영조 대의 교화서 간행과 한글 사용의 양상」", 『한국 문화』61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3

      111 이상규, "편, 『한글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사람들의 삶』", 경진출판, 2014

      112 조항범, "「<순천김씨묘 출토 언간>에 대한 몇 가지 문제」", 『개 신어문연구』15권, 개신어문학회, 1998

      113 권화숙,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국어학적비교연구」", 한국외 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14 백두현, "「『주초침저방』의 내용구성과 필사 연대연구」", 『영남 』62권, 영남문화연구원, 2017

      115 최종찬, "『19세기 초학교재에 나타난 아동교육관의 특징』", 공주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16 안대회, "「조선후기 이중언어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대동 한문학』24권, 대동한문학회, 2006

      117 김언순, "「조선시대 교화의 성격과 사대부의 수신서 보급」", 『한 국문화연구』13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2

      118 이호권, "「조선시대 한글문헌 간행의 시기별 경향과 특징」", 『한 국어학』41권, 한국어학회, 2008

      119 김무봉, "「조선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동악어문학』58권, 동악어문학회, 2012

      120 박종배, "「조선전기의 유교 경서 구결과 그 교육사적 의의」", 『교육사학연구』29집 2호, 교육사학회, 2019

      121 김남경, "「구급방류 의서의 언해비교-동일 원문을 대상으로」", 『언어과학연구』32권, 언어과학회, 2005

      122 백두현, "「한국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문자생활」", 『서강인문논총』22권,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123 이영경, "「사서삼경(四書三經)의 언해 양상과 표기상의 특징」", 『우리말글』57권, 우리말글학회, 2013

      124 이상훈, "『『삼강행실도』언해본의 서지학적 국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25 옥영정, "「『월인천강지곡』의 인쇄사적 가치에 대한 재고찰」", 『국어사연구』26권, 국어사학회, 2018

      126 박정민, "「『훈몽자회』의 확장성과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32호, 동방한문학회, 2020

      127 강근우, "「용비어천가 국문 가사와 한시의 성립 순서에 대하여」", 『민족문화』50, 한국고전번역원, 2017

      128 옥영정, "「16세기 조선의 목활자 인쇄와 1577년 조보 인쇄의 가 치」", 『한국출판학연구』46권 3호, 한국출판학회, 2020

      129 전호근, "「유가철학 원전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대 앞의 논 문」", 『시대와 철학』14권 2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130 이은희, "「조선중기 언간(한글편지)을 통한 생활 속의 문해교 육」", 『평생교육학연구』21권 3호, 평생교육학연구, 2015

      131 로렌스 페넬리, 티모시 크로우 저, "한국셉테드학회편찬위원회 역 , 『셉테드: 범죄예방설계』", 기문당, 2016

      132 사재동, 사진실, "「『월인천강지곡』의 훈민정음 활용과 연행적 유통 양상」", 『어문연구』74권, 어문연구학회, 2012

      133 김무림, "「『사성통해(四聲通解)』자모도(字母圖)에 대한 고찰(考 察)」", 『어문논집』70권, 민족어문학회, 2014

      134 채순옥, "「훈몽자회 이본에 대한 고찰- 서지 및 언어변화를 중심 으로」", 『중국학논총』30호,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14

      135 김유범, "「『훈민정음』<예의>와 《해례》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우리말연구』55집, 우리말학회, 2018

      136 한무선, "「경북대 “가장 오래된 한글 음식조리서 추정 필사본 발견”」", 『연합뉴스』, 2017

      137 강혜란, "「ㅱ, ㆆ, ㆅ …세종의 꿈 담긴 '한글 금속활자' 무더기 첫 발굴」", 『중앙일보』, 2021

      138 안병희, "「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 창제로부터 19세 기까지」", 『동방학지』48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5

      139 강명숙, "「조선중기 초등교육에 관한 시론적 연구-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학연구』8권, 교육사학회, 1998

      140 이영경, "「조선후기 『소학』언해의 활용과 보급에 대한 국어학 적 연구」", 『진단학보』120권, 진단학회, 2014

      141 노형석, "「피맛골 땅 속에서 ‘훈민정음’ 금속활자들이 쏟 아져 나왔다」", 『한겨레』, 2021

      142 옥영정, "「장서각 소장 보물 『능엄경』과 『원각경』의 인쇄문화 적 가치」", 『장서각』20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43 김기영, "「『훈몽자회』를 중심으로 한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44 김남이, "「조선전기 두시 이해의 지평과 『두시언해』간행의 문학 사적 의미」", 『동악어문학』58권, 동악어문학회, 2012

      145 하영삼, "「[하영삼의 한자 키워드로 읽는 동양문화] 옥(玉): 왕(王)이 된 옥(玉)」", 『월간중앙』201906호, 2019

      146 안병희, "「중세국어 연구자료의 성격에 대한 연구- 번역양식을 중심으로 하여」", 『어학연구』9권 1호,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73

      147 정우영, "「《훈민정음》해례본의 ‘예의편’ 구조와 ‘해례편’과의 상 관관계」", 『국어학』제72집, 국어학회, 2014

      148 옥영정, "「『효경간오』, 『효경대의』, 『효경언해』의 간행본과 그 계통 연구」", 『한국학』35권,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149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다 이아글로시아)」", 『진단학보』104권, 진단학회, 2007

      150 신중진, "「곡물명 수록 어휘 자료집의 계보와 그 어휘 목록 분석 을 위한 기초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54권, 한양대학교 동아 시아문화연구소, 2013

      151 이영환, "「이이의 『정언묘선』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 분석-시를 통한 존양과 성찰」", 『교육사학연구』26집 2호, 교육사학회, 2016

      152 장정호, "「조선시대 독자적 동몽교재의 등장과 그 의의-훈몽자회 와 동몽선습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집』10권 1호, 한국영유아 교원교육학회, 2006

      153 지정민, "「조선전기 서민 문자교육에 관한 연구- 모재 김안국의 교화서 언해사업중심으로」", 『교육사학연구』6․7권, 교육사학회, 1996

      154 정광, "「훈민정음의 <언해본> -고려대 도서관 육당문고 소장의 「훈민정음」을 중심으로-」", 『어문논집』88권. 민족어문학회, 2020

      155 이연순, "「미암 유희춘의 『신증유합』의 자학서로서의 의의와 가 치-『유합』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40집, 한국고전연 구학회, 2018

      156 김부연, "『『훈민정음』해례본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국어교육적 연구 : <예의>와 <<해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8

      157 오민석, "「언해본 『삼강행실도』≪효자도≫의 원전과 텍 스트 성립과정에 대하여」, 『국어사연구』30권", 국어사학회, 2020

      158 김성수, "「『직지』와 금속활자 인쇄의 가치와 중요성을 규명하기 위한 조선초기 금속활자 간행도서의 주제 분석 」", 『서지학연구』 28권, 서지학회,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