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스칸데르 미사일 대응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of Iskan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9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orth's short-range projectiles and missiles are the Iskander-class missiles of the S-300 series, with a range of 2 70-420 kilometers and an altitude of 40-50 kilometer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respond with South Korea's detection ra dar or striking weapons. The North's handling of the Seoul sea of fire also makes it very urgent for the South to deploy the weapons to power or introduce them as soon as possible, as it can identify its intention to strike the Seoul metropolita n area by equipping such short-range rockets and missiles with nuclear or chemical weapons. We will be prepared to prep are for reckless provocations by securing our own technology by continuously developing the Korean missile defense syste m and striking system, Kill Chain, which is designed to defend short-range missiles in the long-term, and securing our o wn technology.
      번역하기

      The North's short-range projectiles and missiles are the Iskander-class missiles of the S-300 series, with a range of 2 70-420 kilometers and an altitude of 40-50 kilometer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respond with South Korea's detection ra dar or s...

      The North's short-range projectiles and missiles are the Iskander-class missiles of the S-300 series, with a range of 2 70-420 kilometers and an altitude of 40-50 kilometer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respond with South Korea's detection ra dar or striking weapons. The North's handling of the Seoul sea of fire also makes it very urgent for the South to deploy the weapons to power or introduce them as soon as possible, as it can identify its intention to strike the Seoul metropolita n area by equipping such short-range rockets and missiles with nuclear or chemical weapons. We will be prepared to prep are for reckless provocations by securing our own technology by continuously developing the Korean missile defense syste m and striking system, Kill Chain, which is designed to defend short-range missiles in the long-term, and securing our o wn techn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의 단거리 발사체 및 미사일은 S-300 계열 이스칸데르급으로 사거리는 270-420㎞, 고도는 40-50㎞ 내에서 타격이 가능 한 무기체계로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탐지레이더나 타격무기로는 대응이 매우 어렵다. 북이 서울 불바다를 운운하는 것도 이 러한 단거리 로켓과 미사일에 핵이나 화학무기를 장착하여 수도권을 타격하겠다는 의도를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빨리 대응무기의 전력화나 도입이 매우 시급하다. 북의 단거리 미사일 방어에 즉각 대응하기 위한 무기체계로 이스라엘에서 운용하 고 있는 아이언 돔 및 아이언 빔 체계가 적합함으로 조기 도입하고 장기적으로 국내 자체적으로 단거리 미사일 방어를 위한 한국형 미사일방어와 타격체계인 Kill Chain을 지속 개발하고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방산 업체들과 협업하여 자체 기술력 확보로 북의 무모한 도발에 상시 대비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어야 하겠다.
      번역하기

      북의 단거리 발사체 및 미사일은 S-300 계열 이스칸데르급으로 사거리는 270-420㎞, 고도는 40-50㎞ 내에서 타격이 가능 한 무기체계로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탐지레이더나 타격무기로는 대응이 ...

      북의 단거리 발사체 및 미사일은 S-300 계열 이스칸데르급으로 사거리는 270-420㎞, 고도는 40-50㎞ 내에서 타격이 가능 한 무기체계로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탐지레이더나 타격무기로는 대응이 매우 어렵다. 북이 서울 불바다를 운운하는 것도 이 러한 단거리 로켓과 미사일에 핵이나 화학무기를 장착하여 수도권을 타격하겠다는 의도를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빨리 대응무기의 전력화나 도입이 매우 시급하다. 북의 단거리 미사일 방어에 즉각 대응하기 위한 무기체계로 이스라엘에서 운용하 고 있는 아이언 돔 및 아이언 빔 체계가 적합함으로 조기 도입하고 장기적으로 국내 자체적으로 단거리 미사일 방어를 위한 한국형 미사일방어와 타격체계인 Kill Chain을 지속 개발하고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방산 업체들과 협업하여 자체 기술력 확보로 북의 무모한 도발에 상시 대비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어야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우, "자율상상무기(일명 킬러로봇)에 대한 국제법적 문제와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한국방위산업진흥회 (473) : 122-129, 2018

      2 이강근, "이스라엘은 진정 전쟁을 원하는가?" 대한기독교서회 42-51, 2014

      3 박휘락, "이스라엘, 일본, 한국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비교와 한국에 대한 함의" 국제지역연구센터 20 (20): 195-224, 2016

      4 이대식, "유럽 미사일방어망을 둘러싼 미러 갈등 분석" 러시아연구소 25 (25): 181-202, 2015

      5 정종문, "영상정보용 공용데이터링크 표준화 발전방향" 한국통신학회 28 (28): 41-50, 2011

      6 조경근, "신무기 체계와 한국의 군사·안보전략" 한국통일전략학회 18 (18): 287-319, 2018

      7 김동엽, "사드 한반도 배치의 군사적 효용성과 한반도 미래" 한국국제정치학회 57 (57): 291-327, 2017

      8 박휘락, "북핵 고도화에 따른 한국의 총력대비 필요성과 실태 분석" 화랑대연구소 74 (74): 165-188, 2018

      9 박창권, "북한의 핵운용 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 억제 전략" 75-101, 2014

      10 권혁철, "북한의 최종상태 핵 위협 평가와 한국의 군사대비태세 보완"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1 (1): 1-38, 2017

      1 김광우, "자율상상무기(일명 킬러로봇)에 대한 국제법적 문제와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한국방위산업진흥회 (473) : 122-129, 2018

      2 이강근, "이스라엘은 진정 전쟁을 원하는가?" 대한기독교서회 42-51, 2014

      3 박휘락, "이스라엘, 일본, 한국의 탄도미사일 방어(BMD) 비교와 한국에 대한 함의" 국제지역연구센터 20 (20): 195-224, 2016

      4 이대식, "유럽 미사일방어망을 둘러싼 미러 갈등 분석" 러시아연구소 25 (25): 181-202, 2015

      5 정종문, "영상정보용 공용데이터링크 표준화 발전방향" 한국통신학회 28 (28): 41-50, 2011

      6 조경근, "신무기 체계와 한국의 군사·안보전략" 한국통일전략학회 18 (18): 287-319, 2018

      7 김동엽, "사드 한반도 배치의 군사적 효용성과 한반도 미래" 한국국제정치학회 57 (57): 291-327, 2017

      8 박휘락, "북핵 고도화에 따른 한국의 총력대비 필요성과 실태 분석" 화랑대연구소 74 (74): 165-188, 2018

      9 박창권, "북한의 핵운용 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 억제 전략" 75-101, 2014

      10 권혁철, "북한의 최종상태 핵 위협 평가와 한국의 군사대비태세 보완"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1 (1): 1-38, 2017

      11 미국의 소리,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 최다 200대"

      12 최현호, "북한군 무기체계 변화 동향" 한국방위산업진흥회 (431) : 22-29, 2015

      13 신동아, "북한, 2억 명 살상분 화학무기 보유 세계 3위"

      14 정경영, "북한 핵·미사일 위협의 무력화(無力化)전략"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1 : 75-114, 2017

      15 미국의 소리, "북한 미사일 요격 준비 시간 턱 없이 부족…미한 미사일 방어 체계 통합이 최선"

      16 중앙일보, "미도 요격 불가능…북한판 이스칸데르 추정 발사체 의문점"

      17 김재철, "남북한의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 : 근본요인과 촉발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20 (20): 121-140, 2015

      18 연합뉴스, "군, 한국형 미사일 핵심무기 M-SAM 개발 완료"

      19 정광용, "교전용 장거리 다기능 레이다 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 한국전자파학회 25 (25): 27-28, 2014

      20 매일경제,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 비행고도 45∼50㎞…요격 가능할까?"

      21 Jonathan Marcus, "Is Israel's missile defence a conflict game-changer?"

      22 국방부, "2016 국방백서" 2016

      23 SBS 뉴스, "'창조국방' 레이저 빔, 이스라엘에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 한국융합보안학회
      영문명 : Korea Information Assurance Society -> Korea Convergence Security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2-07-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안논문지 -> 융합보안 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convergence security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The Information and Secur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5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