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기호, "六頂山 古墳群의 성격과 발해 건국집단" 8 : 1998
2 송기호,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 니키틴 Yu.G, "한국사속에서 발해의 역사와 그 위상" 동북아역사재단 2014
4 국립문화재연구소, "트로이츠코예 고분군" 2008
5 홍형우, "토기를 통해 본 동(東)아무르 지역 중세문화의 전개" 고구려발해학회 42 : 111-138, 2012
6 국립문화재연구소, "오시노보예 오제로 유적" 2010
7 양시은, "연해주지역 발해의 지방지배 방식 연구" 호서고고학회 (33) : 104-133, 2015
8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 시넬니코보-1 산성" 2018
9 끄라진 N.N, "연해주 북부지역의 중세시대 고고학 유적들" 고구려발해학회 61 : 159-187, 2018
10 홍형우, "연해주 북부와 아무르강 하류의 발해 시기 토기문화 고찰 - 포크로프카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 한국-시베리아센터 21 (21): 185-214, 2017
1 송기호, "六頂山 古墳群의 성격과 발해 건국집단" 8 : 1998
2 송기호,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 니키틴 Yu.G, "한국사속에서 발해의 역사와 그 위상" 동북아역사재단 2014
4 국립문화재연구소, "트로이츠코예 고분군" 2008
5 홍형우, "토기를 통해 본 동(東)아무르 지역 중세문화의 전개" 고구려발해학회 42 : 111-138, 2012
6 국립문화재연구소, "오시노보예 오제로 유적" 2010
7 양시은, "연해주지역 발해의 지방지배 방식 연구" 호서고고학회 (33) : 104-133, 2015
8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 시넬니코보-1 산성" 2018
9 끄라진 N.N, "연해주 북부지역의 중세시대 고고학 유적들" 고구려발해학회 61 : 159-187, 2018
10 홍형우, "연해주 북부와 아무르강 하류의 발해 시기 토기문화 고찰 - 포크로프카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 한국-시베리아센터 21 (21): 185-214, 2017
11 스토야킨 막심, "연해주 말갈성곽에 대한 연구"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4) : 283-327, 2016
12 끄리불랴 Yu.V., "연해주 남서부 지역 말갈유적들의 토기" 12 : 2013
13 정석배, "아무르·연해주 지역의 말갈-연구현황과 과제-" 고구려발해학회 35 : 73-126, 2009
14 스토야킨 막심, "아무르-연해주 지역의 중세시대 성곽 연구" 고려대 2015
15 이종수, "속말말갈의 문화적 특징과 형성과정 고찰" 동북아역사재단 (61) : 133-171, 2018
16 S. 네스테로프, "서아무르 발해시기 트로이츠코예 말갈 문화의 양상과 새로운 지평, 러시아 극동의 선사-중세시대 고고문화연구, 그 성과와 전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17 네스쩨로프 세르게이, "서부 아무르유적 초기중세 토기" 38 : 2005
18 홍형우, "서(西)아무르 지역 말갈(靺鞨)토기의 특성과 그 전개 –최근 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4 (74): 45-80, 2011
19 김진광, "발해와 말갈 관계의 연구현황과 과제" 민족문화연구소 (60) : 59-90, 2015
20 김하늘, "발해 고분의 지역성 연구" 충북대학교 2019
21 안재필, "만주ㆍ연해주지역 “말갈관(靺鞨罐)” 검토" 경희대학교 2019
22 디야꼬바 O.V, "러시아 연해주 동부 및 동북부의 중세 고고학" 고구려발해학회 61 : 189-217, 2018
23 국립문화재연구소, "돌고예 오제로 유적" 2009
24 정영진, "고분으로 본 발해 문화의 성격" 고구려연구재단 2006
25 강인욱,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동북아역사재단 (61) : 43-79, 2018
26 黑龙江省文物考古研究所, "黑龙江省萝北县团结墓葬发掘" 8 : 1989
27 黑龙江省文物考古硏究所, "黑龙江海林市渡口遗址的发掘" 7 : 1997
28 冯恩学, "黑龙江中游地区靺鞨文化的区域性及族属探讨" 3 : 2005
29 冯恩学, "黑龙江中流沿岸地区的靺鞨房屋" 6 : 2007
30 乔梁, "靺鞨陶器分期初探" 2 : 1994
31 강인욱, "靺鞨文化의 形成과 2~4세기 挹婁ㆍ鮮卑ㆍ夫餘系文化의 관계" 고구려발해학회 33 : 9-42, 2009
32 林栋, "靺鞨文化陶器的区系探索" 吉林大学 2008
33 刘晓东, "靺鞨文化硏究" 吉林大学 2007
34 刘晓东, "靺鞨文化的考古学硏究" 吉林大学 2014
35 므일니꼬바 L.N., "西아무르 유역의 말갈 뜨로이쯔꼬예 그룹 토기와 민족문화사" 고구려발해학회 32 : 205-282, 2008
36 冯恩学, "特罗伊茨基靺鞨墓地的陶器来源" 4 : 2006
37 胡秀杰, "渤海陶器類型学传承渊源的初步探索" 4 : 2001
38 黑龙江省文物考古硏究所, "河口与振兴 -牧丹江莲花水库发掘报告" 科学出版社 2009
39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楡樹老河深" 文物出版社 1987
40 王樂文, "挹娄勿吉靺鞨三族关系的古学观察" 4 : 2009
41 乔梁, "关于靺鞨族源的考古学观察与思考" 2 : 2014
42 이종수, "三江平原地域초기철기문화의 특징과 사용집단 분석- 挹婁·勿吉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고구려발해학회 41 : 9-36, 2011
43 강인욱, "三江平原 滾兎嶺·鳳林문화의 형성과 勿吉·豆莫婁·靺鞨의 출현" 고구려발해학회 52 : 107-147, 2015
44 네스테로프 S.P., "2011~2016년 아무르주 말갈 문화유적 조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