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현정, "태장리고분군 3-1호분 출토 마구의 검토, 영주 순흥 태장리고분군3" (재)세종문화재연구원 2013
2 여호규,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2019
3 임기환, "충주고구려비의 고려 태왕과 신라 매금" 2019
4 이성제, "충주고구려비의 건립 목적과 배경" 2019
5 고광희, "충주고구려비 판독문 재검토" 2019
6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탑평리유적(중원경추정지) 발굴조사보고서(본문)"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7
7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장미산성 시굴조사보고서" 2014
8 김창호, "중원고구려비의 재검토" (47) : 1987
9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10 蓧原啓方, "중원고구려비의 석독과 내용의 의의" 51 : 2000
1 이현정, "태장리고분군 3-1호분 출토 마구의 검토, 영주 순흥 태장리고분군3" (재)세종문화재연구원 2013
2 여호규,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2019
3 임기환, "충주고구려비의 고려 태왕과 신라 매금" 2019
4 이성제, "충주고구려비의 건립 목적과 배경" 2019
5 고광희, "충주고구려비 판독문 재검토" 2019
6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탑평리유적(중원경추정지) 발굴조사보고서(본문)"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7
7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장미산성 시굴조사보고서" 2014
8 김창호, "중원고구려비의 재검토" (47) : 1987
9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10 蓧原啓方, "중원고구려비의 석독과 내용의 의의" 51 : 2000
11 김정배, "중원고구려비의 몇 가지 문제" 13 : 1979
12 변태섭, "중원고구려비의 내용과 연대에 대한 검토" 13 : 1979
13 김창호, "중원고구려비의 건립연대" 10 : 2000
14 이도학, "중원고구려비의 건립 목적" 10 : 2000
15 손영종, "중원고구려비에 대하여" 85 (85): 1985
16 이병도, "중원고구려비에 대하여" 13 : 1979
17 서영일, "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난 고구려성과 관방체계-우벌성과 고모루성을 중심으로-" 10 : 2000
18 임기환, "중원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10 : 2010
19 정운용, "중원고구려비 연구의 몇 가지 문제" 6 : 2006
20 고구려연구회, "중원고구려비 비면 사진 탁본" 10 : 2000
21 주보돈, "울진봉평리신라비와 한국고대금석문" 울진군ㆍ한국고대사학회 2011
22 박성현, "신라의 거점성 축조와 지방 제도의 정비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3 전덕재, "신라의 北進과 서북 경계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173) : 85-126, 2016
24 장창은, "신라 상고기 정치변동과 고구려 관계" 신서원 2008
25 이도학, "손보기박사정년기념한국사학논총" 1988
26 전덕재, "상고기 신라의 동해안지역 경영" 역사문화연구소 (45) : 3-42, 2013
27 김창석, "사회적 네트워크와 공간" 태학사 2009
28 국립중앙박물관, "법천리Ⅰ" 2000
29 남상준, "고대 한국의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 32 : 1985
30 양기석, "고구려의 충주지역 진출과 경영" 6 : 2002
31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32 이도학, "고구려에서의 국원성" (67) : 2003
33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34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35 이도학, "고구려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서경 2006
36 임기환,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28 : 5-42, 2002
37 서용일, "漢城 百濟의 南漢江水路 開拓과 經營" 한국문화사학회 (20) : 15-50, 2003
38 최종택, "湖西地域 高句麗遺蹟의 調査現況과 歷史的 性格" 백제연구소 (63) : 1-38, 2016
39 김창석, "古代 嶺西地域의 種族과 文化變遷" 한국고대사학회 (51) : 5-49, 2008
40 노태돈, "5세기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인의 천하관" 서울대 국사학과 19 : 1988
41 심정현, "5세기 고구려 남방의 범위와 지배형태" 한국역사연구회 (108) : 277-307, 2018
42 서지영, "5세기 羅・麗 관계변화와 中原高句麗碑의 建立" 한국고대사학회 (68) : 101-13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