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 사고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메이커스페이스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충남 소재 디자인대학 내 메이커스페이스 교육프로그램 개발 - = A Study on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Makerspace Based on Digital Thinking and Digital Technology-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makerspace within design college located in Chungn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8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maker space focused on design in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and progressed with the program by applying thought education to computational thinking, design thinking, and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branding and fuses technology. CT education implemented program education for production and graphic program education for the expression of creative work. DT education implemented basic training with sympathy through research, idea conception, prototyping, and testing stages and it was conducted as in-depth education such as product planning. MT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education that uses knowledge delivery methods regarding material properties and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technology and expanded thinking methods that search for ways to fuse and use various materials based on these. Surveys on these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and trainers and trainees all responded that their abilities had become enhanced, during training processes or with relation to creative thinking, technical capabilities, or problem-solving abilities. Unlike existing design education or technical training, education was conducted on design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related to materials in one educational program and evaluations showe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trainees improved.
      번역하기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maker space focused on design in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and progressed with the program by applying thought education to computational thinking, design thinking, and material for the developmen...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maker space focused on design in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and progressed with the program by applying thought education to computational thinking, design thinking, and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branding and fuses technology. CT education implemented program education for production and graphic program education for the expression of creative work. DT education implemented basic training with sympathy through research, idea conception, prototyping, and testing stages and it was conducted as in-depth education such as product planning. MT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education that uses knowledge delivery methods regarding material properties and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technology and expanded thinking methods that search for ways to fuse and use various materials based on these. Surveys on these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and trainers and trainees all responded that their abilities had become enhanced, during training processes or with relation to creative thinking, technical capabilities, or problem-solving abilities. Unlike existing design education or technical training, education was conducted on design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related to materials in one educational program and evaluations showe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trainees impro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충남소재 대학의 디자인 중점의 메이커스페이스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로 디자인과 브랜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술을 융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컴퓨테이셔날 사고, 디자인사고, 재료에 대한 사고 교육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CT교육에서는 제조를 위한 프로그램 교육과 창작물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프로그램 교육을 시행하였다. DT교육에서는 리서치를 통한 공감, 아이디어 발상, 프로토타입, 테스트 단계의 기초교육을 시행하며 제품기획과 같은 심화교육으로 진행되었다. MT교육에서는 재료의 특성과 디지털기술에 적용 가능한 재료에 대해 지식전달방식의 교육과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를 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확장된 사고방식으로 교육이 이루어 졌다.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교육자와 교육대상자 모두 교육과정이나 창의적사고, 기술적 능력향상, 문제해결능력 등 본인의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하였다. 기존의 디자인교육이나 기술교육과 다르게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디자인사고, 컴퓨테이셔날 사고, 재료에 대한 사고 교육이 진행되어 교육대상자의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충남소재 대학의 디자인 중점의 메이커스페이스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로 디자인과 브랜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술을 융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컴퓨테...

      본 연구는 충남소재 대학의 디자인 중점의 메이커스페이스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로 디자인과 브랜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술을 융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컴퓨테이셔날 사고, 디자인사고, 재료에 대한 사고 교육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CT교육에서는 제조를 위한 프로그램 교육과 창작물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프로그램 교육을 시행하였다. DT교육에서는 리서치를 통한 공감, 아이디어 발상, 프로토타입, 테스트 단계의 기초교육을 시행하며 제품기획과 같은 심화교육으로 진행되었다. MT교육에서는 재료의 특성과 디지털기술에 적용 가능한 재료에 대해 지식전달방식의 교육과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를 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확장된 사고방식으로 교육이 이루어 졌다.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교육자와 교육대상자 모두 교육과정이나 창의적사고, 기술적 능력향상, 문제해결능력 등 본인의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하였다. 기존의 디자인교육이나 기술교육과 다르게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디자인사고, 컴퓨테이셔날 사고, 재료에 대한 사고 교육이 진행되어 교육대상자의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조, "초등정보융합영재의 창의성향상을 위한 Computational Thinking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 개발 및 적용" 교육연구원 32 (32): 159-186, 2016

      2 김효일, "철학적 사유로서 상상력과 디자인사고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6 (16): 209-218, 2018

      3 Dale Dougherty, "우리는모두가 메이커다" 인사이트 2018

      4 리팅이, "스탠퍼드 대학의디자인씽킹 강의노트" 인서트 2014

      5 김상균,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 홍릉과학출판사 2015

      6 이지선, "메이커 교육에 디자인 사고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4) : 225-234, 2017

      7 강인애,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50-267, 2017

      8 송미연,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241-265, 2020

      9 장윤금,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289-306, 2017

      10 여문주, "‘메이커 무브먼트’의 새로운 제작도구로서 3D 프린팅 기술의 역설" 한국미학회 84 (84): 195-227, 2018

      1 김병조, "초등정보융합영재의 창의성향상을 위한 Computational Thinking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 개발 및 적용" 교육연구원 32 (32): 159-186, 2016

      2 김효일, "철학적 사유로서 상상력과 디자인사고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6 (16): 209-218, 2018

      3 Dale Dougherty, "우리는모두가 메이커다" 인사이트 2018

      4 리팅이, "스탠퍼드 대학의디자인씽킹 강의노트" 인서트 2014

      5 김상균,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 홍릉과학출판사 2015

      6 이지선, "메이커 교육에 디자인 사고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4) : 225-234, 2017

      7 강인애,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50-267, 2017

      8 송미연,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241-265, 2020

      9 장윤금,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289-306, 2017

      10 여문주, "‘메이커 무브먼트’의 새로운 제작도구로서 3D 프린팅 기술의 역설" 한국미학회 84 (84): 195-227, 2018

      11 T. Mingjie, "The influence of the maker movement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14 (14): 2016

      12 "Make all"

      13 "K-Startup"

      14 M. Mason, "Digital Technology and Information Design in The Museum: Research Guidelines and Consideration" 2 (2): 2009

      15 Riverdale, IDEO,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MYSC 2012

      16 "D. schoo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0.77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