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가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른 참여자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 관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454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of participants based on types of the leisure sport participation

      • 형태사항

        iv, 114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영재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figuring out how leisure engagement influences leisure flow in order to find out relat...

      This study is aimed at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figuring out how leisure engagement influences leisure flow in order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and therefore studying for these two factors which a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continuous participations of leisure spo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f leisure sport activit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528 people in total. Method of this study is survey method, based on Young-Jae Kims(2012)’s 15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engagement and Young-Jae Kim’s(2010)’s 30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flow.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using SPSS 20.0 ver programs to analyz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Moreover,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firstly Person correlation were confirmed,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wo factors. The positiv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all interpre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significance level( p value) is p<0.5.
      The conclusion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above procedures is follow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1’s differences i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howed first,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participants’ sex and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males had higher efficacy than females for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by participants’ sex, and differences in sub-factor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rption, dedication, and efficacy, except for vigor.
      In absorption and dedicatio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efficacy,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results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Furthermo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vigor. Giving closer look to the vigor by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higher vigor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had higher vigor than female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males were higher in only 2 sub-factors of leisure flow, which are challenge skill balance and sense of control.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sub-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were higher;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and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teraction effect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clear goals. Looking clear goals specifically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in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clear goals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Second,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leisure sport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individual sports, and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he frequency,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absorption and dedication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 vigo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but in Scheff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1 time/week participant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s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altered sense of time and challenge skill balance than individual sports for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ypes of participations, and vice versa for immediate feedbacks. In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that show hypothesis 2’s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have correlation, the effects of hypothesis 3’s influence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on the leisure flow were studied, and result was that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which are absorption, efficacy, vigor, and dedica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leisure flow.
      The result of figuring out influences of leisure engagement factors on sub-fators of leisure flow was, first, all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absorption, efficacy, vigor, dedi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clear goals, altered sense of time, and autotelic experience. Second, absorption and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challenge skill balance, which are leisure flow’s sub-factors. Third, absorption, vigor, and dedica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altered sense of time,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ourth, absorption, efficacy, and dedicatio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mmediate feedback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ifth, absorption, efficacy, and vigor,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ense of control.
      According to these results,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influenced on leisure flow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most cases.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leisure engagement positively influences on leisure fl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어떠...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여 여가스포츠의 계속적인 참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이 두 가지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서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남, 여 총528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김영재(2012)의 여가열의를 측정하는 15문항, 김영재(2010)의 여가몰입을 측정하는 30문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여가열의 및 여가몰입의 구성요인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두 변인 사이의 관계 형성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Person 적률상관관계(correlation)를 확인한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모두 유의도(확률수준:p value)가 p <.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1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활력을 제외한 몰두, 효능감, 헌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몰두, 헌신에서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상호작용 효과는 활력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활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활력이 더 높고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활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도전과기술의균형, 통제감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몰입의 하위요인 6가지 명확한목표,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 자기목적적경험,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확한목표와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 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고,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 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기목적적경험,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상호작용 효과는 명확한목표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명확한목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고,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으며,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몰두, 헌신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고,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활력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긴 하였지만 사후검증결과(Scheffe)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주4회이상참여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시감감각왜곡,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 보다 높게 나타났고,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6가지요인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 도전과기술의균형, 자의식의상실,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명확한목표,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자기목적적경험과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2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난 결과에 따라, 가설3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가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열의의 하위요인인 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 4개의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열의하위요인 4가지(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모두가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활력,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시간감각왜곡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즉각적인피드백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활력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거의 대부분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가설 5
      •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가설 5
      •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6
      • 5.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여가스포츠 9
      • 2. 여가열의 13
      • 3. 몰입 17
      • 4. 여가활동과 몰입 24
      • 5.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 27
      • Ⅲ. 연구방법 30
      • 1. 연구대상 30
      • 2. 조사도구 31
      • 3. 조사절차 38
      • 4. 자료처리 38
      • Ⅳ. 연구결과 40
      • 1.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 및 여가몰입의 차이 분석 40
      • 2.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과의 상관관계분석 61
      • 3.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가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62
      • Ⅴ. 논의 67
      • 1.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차이 67
      • 2.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가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76
      • Ⅵ. 결론 및 제언 82
      • 1. 결론 82
      • 2. 제언 86
      • 참고문헌 87
      • 부 록 99
      • 국문초록 106
      • Abstract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