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이 인지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04155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부산교육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5.3 판사항(4)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 134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105-108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orchestra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by examin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orchestra activity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aims at reminding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of the positive impact that can be earned from participating in orchestra activity and further to promote an active participation of more teachers and students in orchestra activities by providing music educational evidences.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 a literature review abou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orchestra, music educa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a survey analysis that examines the impact of orchestra activity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 consists of sixty students who are playing in a school orchestra in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aewoondae-gu, Busan along with twenty homeroom teachers who are teaching the members of the orchestra.
      For the survey analysis, the cognitive ability was specified in the following five sub domain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behavior, and learning skill. For each domain, four questions were created that were design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of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orchestra activities. Th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with total of twenty questions. After the survey was complet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homeroom teachers who are the members of orchestra, which provided further information that is useful in interpreting and finding out the reasons behind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rchestra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ways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of the students. As for the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the orchestra activity, 100% of teachers and 89.2%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Second,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lps giving learning motivations to the students. As for the provision of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orchestra activity, 100% of teachers and 89.6%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hird,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n influence on positive change in learning attitude. As for the effect of changing learning attitude of the orchestra activity, 97.5% of teachers and 83.6%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ourth,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lps changing their learning behavior. As for the effect of changing learning behavior of the orchestra activity orchestra activity, 100% of teachers and 84.7%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ifth,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learning skills. As for the effect of obtaining learning skill through the orchestra activities, 100% of teachers and 89.1%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Hence, it is important to support orchestra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after school activity hours or other extracurricular activity hours. The elementary schools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wide-open opportunities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orchestra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orchestra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by examin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orchestra activity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aims at rem...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orchestra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by examin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orchestra activity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aims at reminding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of the positive impact that can be earned from participating in orchestra activity and further to promote an active participation of more teachers and students in orchestra activities by providing music educational evidences.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 a literature review abou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orchestra, music educa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a survey analysis that examines the impact of orchestra activity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 consists of sixty students who are playing in a school orchestra in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aewoondae-gu, Busan along with twenty homeroom teachers who are teaching the members of the orchestra.
      For the survey analysis, the cognitive ability was specified in the following five sub domain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behavior, and learning skill. For each domain, four questions were created that were design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of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orchestra activities. Th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with total of twenty questions. After the survey was complet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homeroom teachers who are the members of orchestra, which provided further information that is useful in interpreting and finding out the reasons behind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rchestra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ways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of the students. As for the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the orchestra activity, 100% of teachers and 89.2%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Second,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lps giving learning motivations to the students. As for the provision of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orchestra activity, 100% of teachers and 89.6%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hird,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n influence on positive change in learning attitude. As for the effect of changing learning attitude of the orchestra activity, 97.5% of teachers and 83.6%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ourth,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lps changing their learning behavior. As for the effect of changing learning behavior of the orchestra activity orchestra activity, 100% of teachers and 84.7%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ifth,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learning skills. As for the effect of obtaining learning skill through the orchestra activities, 100% of teachers and 89.1%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Hence, it is important to support orchestra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after school activity hours or other extracurricular activity hours. The elementary schools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wide-open opportunities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orchestra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이 인지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합주 활동의 중요성을 재확인시키고, 초등학생들이 관현악 합주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영향력을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 모두가 인식하여, 보다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합주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음악 교육적 근거를 밝히는 데에 있다.
      연구의 내용은 합주의 교육적 의의, 음악 교육과 인지 발달에 관한 문헌적 고찰과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이 인지능력의 다섯 가지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부산 해운대구에 소재한 ‘B 초등학교’의 교내 관현악단 단원으로 합주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60명, 관현악단 단원을 맡은 담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인지능력 하위 영역을 학업성취, 학습동기, 학습태도, 학습습관, 학습기술 5가지로 세분화한 뒤, 각 영역별로 4가지의 설문 문항을 만들어 관현악 합주 활동을 하기 전과 후를 비교하여 20개의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가 끝난 뒤, 관현악단 단원을 맡고 있는 담임교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하였고, 그것을 통하여 설문조사의 의미를 명료히 하고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업성취 향상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9.2(%)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둘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습동기 부여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동기 부여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9.6(%)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셋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긍정적인 학습태도 변화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태도 변화에 대해 교사 97.5(%), 학생 83.6(%)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넷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습습관 변화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습관 변화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4.7(%)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습기술 발전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기술 습득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9.1(%)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방과 후 활동이나 그 외 특별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 속에서 활발히 전개될 수 있도록 하고, 많은 학생들이 합주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이 인지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합주 활동의 중요성을 재확인시키고, 초등학생들이 관현악 합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이 인지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합주 활동의 중요성을 재확인시키고, 초등학생들이 관현악 합주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영향력을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 모두가 인식하여, 보다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합주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음악 교육적 근거를 밝히는 데에 있다.
      연구의 내용은 합주의 교육적 의의, 음악 교육과 인지 발달에 관한 문헌적 고찰과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이 인지능력의 다섯 가지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부산 해운대구에 소재한 ‘B 초등학교’의 교내 관현악단 단원으로 합주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60명, 관현악단 단원을 맡은 담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인지능력 하위 영역을 학업성취, 학습동기, 학습태도, 학습습관, 학습기술 5가지로 세분화한 뒤, 각 영역별로 4가지의 설문 문항을 만들어 관현악 합주 활동을 하기 전과 후를 비교하여 20개의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가 끝난 뒤, 관현악단 단원을 맡고 있는 담임교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하였고, 그것을 통하여 설문조사의 의미를 명료히 하고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업성취 향상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9.2(%)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둘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습동기 부여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동기 부여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9.6(%)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셋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긍정적인 학습태도 변화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태도 변화에 대해 교사 97.5(%), 학생 83.6(%)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넷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습습관 변화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습관 변화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4.7(%)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학습기술 발전에 도움을 준다. 관현악 합주 활동을 통한 학습기술 습득에 대해 교사 100(%), 학생 89.1(%)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관현악 합주 활동은 방과 후 활동이나 그 외 특별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 속에서 활발히 전개될 수 있도록 하고, 많은 학생들이 합주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