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 프로브와 코디자인 워크숍을 활용한사용자 중심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 Case study on Design Probe and Co-design Workshops for User-Centered Space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616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spatial class to collect design data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users in a spatial innovation project and applying it to school architecture. The researcher selected M Elementary Scho...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spatial class to collect design data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users in a spatial innovation project and applying it to school architecture. The researcher selected M Elementary School as a participating school, conducted design probes and co-design workshop classes, and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on user needs. The researcher then explored the entire process of building a building that reflects the results as a cas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emerged from the research. First,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co-design workshops, a form of spatial learn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arge number of people in a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multaneous classes, and design probes, an activity that collects in-depth information from individuals, work as a win-win tool that complements both methods. Second, the operation of spatial classes that combine design probes and co-design workshops is feasible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entire school and the active community activities of teachers. Third, the Design Probe is meaningfully utilized as a data collection tool that enables a deeper understanding and empathy with primary school users, and is used as a tool to inspire architects as space designers. Fourth, if the co-design workshops allowed us to see the creative thought processes of students to extract design ideas, the probes allowed us to see the ontological and humanistic thought processes of discovering, understanding, and loving their spac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spatial education in schools should not only focus on the instrumental practicality of design, but also on the philosophical approach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ve activity, and the humanities approach of recognizing ontological aspects and relationshi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공간혁신사업에서 사용자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 수업을 실시하고, 이를 학교 건축에 적용한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자는 M초등학교...

      이 연구는 공간혁신사업에서 사용자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 수업을 실시하고, 이를 학교 건축에 적용한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자는 M초등학교를 참여학교로 선정하고 디자인 프로브와 공동디자인 워크숍 수업을 진행하고, 사용자 요구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자는 그 결과를 반영한 건축을 짓는 전 과정을 사례연구로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학교의 많은 인원과 동시 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 수업의 형태인 코디자인 워크숍과 개인의 심층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인 디자인 프로브의 동시 적용은 두 방법을 서로 보완하는 상생의 도구로 작용하였다. 둘째, 디자인 프로브와 공동디자인 워크숍을 함께 하는 공간 수업의 운영은 학교 전체의 협력과 교사들의 적극적인 공동체 활동을 통해 실행이 가능하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브는 초등학교 사용자를 더 깊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며, 공간 디자이너인 건축사에게 영감을 주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넷째, 공동 디자인 워크숍을 통해 학생들의 디자인 아이디어를 추출하는 창의적인 사고 과정을 볼 수 있었다면 프로브를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이해하고, 자신의 공간에 애정을 갖는 존재론적이고 인문학적인 사고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학교 공간교육은 디자인을 구안하기 위한 도구적 실용성은 물론 미적 체험, 표현활동을 넘어 존재론적인 측면의 철학적 접근과 관계성을 인식하는 인문학적인 접근 또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