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지도교사의 인식 조사 = A survey on the realities of underachiever’s education and teachers’ no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0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alities and teachers’ notions of underachiev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objective, sampling was made at 10 elementary schools from each of 16 school districts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of 320 people who were made up of 1 person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work for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and 1 teacher (including part-time teacher) in charge of that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The analysis of the administrators’ replies showed that the rate of occurring underachievers was 2.42%~ 5.05%, and the rate was higher in math than in reading and writing. After diagnostic evaluation, one-to-one teaching in various forms is conducted, but still unsolved problems are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special education under the discretion of homeroom teachers, forming the environment for such education, parents’ objection, lack of operational expense, etc.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replie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The parents’ participation was insufficient in the course of planning the education: The lack of standardized textbooks, the burden of excessive other work, inappropriate work division and deficient teaching time, parents’ lack of concern: Insufficient incentives including insufficient lecture fee. Also the teachers expressed considerabl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for underachievers and various support systems. At the same time, they called upon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more incentives, standardized texts and learning aids, human support including part-time teachers, more intensified teachers training and on-the-job training, etc. The outcom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esent system of underachiever’s teaching need to be reviewed as well as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ppropriate textbooks, participation of parents, the decline of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and various support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alities and teachers’ notions of underachiev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objective, sampling was made at 10 elementary schools from each of 16 school districts nationwide.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alities and teachers’ notions of underachiev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objective, sampling was made at 10 elementary schools from each of 16 school districts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of 320 people who were made up of 1 person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work for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and 1 teacher (including part-time teacher) in charge of that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The analysis of the administrators’ replies showed that the rate of occurring underachievers was 2.42%~ 5.05%, and the rate was higher in math than in reading and writing. After diagnostic evaluation, one-to-one teaching in various forms is conducted, but still unsolved problems are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special education under the discretion of homeroom teachers, forming the environment for such education, parents’ objection, lack of operational expense, etc.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replie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The parents’ participation was insufficient in the course of planning the education: The lack of standardized textbooks, the burden of excessive other work, inappropriate work division and deficient teaching time, parents’ lack of concern: Insufficient incentives including insufficient lecture fee. Also the teachers expressed considerabl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for underachievers and various support systems. At the same time, they called upon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more incentives, standardized texts and learning aids, human support including part-time teachers, more intensified teachers training and on-the-job training, etc. The outcom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esent system of underachiever’s teaching need to be reviewed as well as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ppropriate textbooks, participation of parents, the decline of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and various suppor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별로 각 10개 초등학교를 표집한 후 학교별로 학습부진아 업무 담당교사 1명과 학습부진아 지도 교사(외부강사 포함) 1명씩 총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업무 담당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습부진아의 발생율은 2.42%에서 5.05%까지 나타났고, 읽기, 쓰기에 비해 수학영역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진단평가 후 다양한 특별지도 형태로 일대일 지도가 이뤄지고 있으나, 표준화된 진단평가의 개발과 활용, 담임재량에 의한 특별지도, 여건마련과 학부모 반대, 운영경비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지도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지도계획 수립 시 학부모 참여가 미흡하였다. 실제 지도에 있어 표준화된 교재의 개발과 보급, 업무 부담 및 지도시간 확보, 학부모의 무관심 등에 의해 어려움을 겪는 반면 강사료 등 인센티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교사들은 현행 학습부진아의 지도체제와 각종 지원에 대하여 상당 부분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으며, 업무경감 및 인센티브 제공, 표준화된 교재와 교구의 보급, 보조 강사 등의 인적 지원, 교사 훈련 및 연수의 확충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부진아를 위한 지도체제의 적절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표준화된 진단평가, 지도교재의 개발과 보급, 학부모 참여, 담당교사들의 업무 경감과 다양한 지원 등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별로 각 10개 초등학교를 표집한 후 학교별로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별로 각 10개 초등학교를 표집한 후 학교별로 학습부진아 업무 담당교사 1명과 학습부진아 지도 교사(외부강사 포함) 1명씩 총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업무 담당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습부진아의 발생율은 2.42%에서 5.05%까지 나타났고, 읽기, 쓰기에 비해 수학영역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진단평가 후 다양한 특별지도 형태로 일대일 지도가 이뤄지고 있으나, 표준화된 진단평가의 개발과 활용, 담임재량에 의한 특별지도, 여건마련과 학부모 반대, 운영경비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지도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지도계획 수립 시 학부모 참여가 미흡하였다. 실제 지도에 있어 표준화된 교재의 개발과 보급, 업무 부담 및 지도시간 확보, 학부모의 무관심 등에 의해 어려움을 겪는 반면 강사료 등 인센티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교사들은 현행 학습부진아의 지도체제와 각종 지원에 대하여 상당 부분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으며, 업무경감 및 인센티브 제공, 표준화된 교재와 교구의 보급, 보조 강사 등의 인적 지원, 교사 훈련 및 연수의 확충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부진아를 위한 지도체제의 적절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표준화된 진단평가, 지도교재의 개발과 보급, 학부모 참여, 담당교사들의 업무 경감과 다양한 지원 등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예병오, "학습부진아의 진단 및 지도대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각.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2 윤정로,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기초학력 책임지도 시범학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3 이화진, "저학력 학생의 학력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4 신종호, "수학연산문제 구성형식에 따른 수학부진학생의 수행결과 차이 분석" 1 (1): 115-132, 2004

      5 김고종호, "부진아 교육, 초등에서부터 첫 단추 잘 꿰어야" 우리교육 4-, 2009

      6 양민화, "미국의 학습장애 판별과정과 교육" 2 (2): 103-121, 2005

      7 이명학,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109-124, 2005

      8 박현숙, "기초학력 부진아 지원체계 평가척도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19, 2007

      9 교육과학기술부, "2008학년도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8

      10 정구향, "2005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종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 예병오, "학습부진아의 진단 및 지도대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각.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2 윤정로,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기초학력 책임지도 시범학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3 이화진, "저학력 학생의 학력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4 신종호, "수학연산문제 구성형식에 따른 수학부진학생의 수행결과 차이 분석" 1 (1): 115-132, 2004

      5 김고종호, "부진아 교육, 초등에서부터 첫 단추 잘 꿰어야" 우리교육 4-, 2009

      6 양민화, "미국의 학습장애 판별과정과 교육" 2 (2): 103-121, 2005

      7 이명학,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109-124, 2005

      8 박현숙, "기초학력 부진아 지원체계 평가척도 타당화"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19, 2007

      9 교육과학기술부, "2008학년도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8

      10 정구향, "2005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종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