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세초 西日本 지역 ‘조선인 집단거주지’ = Villages of Joseon residents of western Japan in early Tokugawa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01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re were many daimyos in the western parts of Japan, there were also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Korean war prisoners taken from Joseon as well as those who chose to move to Japan permanently. In fact, touzinmachi and kouraichyou--villages where...

      As there were many daimyos in the western parts of Japan, there were also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Korean war prisoners taken from Joseon as well as those who chose to move to Japan permanently. In fact, touzinmachi and kouraichyou--villages where war prisoners from Joseon resided in communities--were formed, scattered throughout western Japan.

      The villages of Joseon residents which this paper examines are divided into the ones where Joseon people happened to live together and others where Joseon people of a particular profession collectively resided. Not all of those residential areas or villages were investigated in this essay; I do not propose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stily. However, as far as the author's research comprehended, these collective residential areas did not seem to have been established arbitrarily, or coercively, by forces of the Clan.

      The first-generation war prisoners from Joseon shared a sense of solidarity out of their national or professional identity, and naturally formed a community by gathering to live in close proximity. In the process, they were recognized as groups of specialized workmen or craftsmen by the Clan authorities in the context of the latter's promotion of commerce and industry. These groups included potters, bean curd makers, and tradesmen. As experts in their specialized trades, they were endowed with certain public status and treated honorably. Even in the Nagasaki area where Joseon residents were not characterized by particular skills, no legal sanctions are found which targeted only the Joseon residents.

      The legal and social status of Joseon immigrants or Joseon-Japanese residents in Japanese society, as well as any discriminatory practices against them, can be further illuminated with a more sustained comprehensive research of historical materials regarding the policies of the Clan of the region. Such is the continuing interest of this author, which should come to fruition in a future proje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용이, "「‘陶瓷器의 길’(朝鮮陶工에 의한 日本陶에의 영향)" 16 : 1994

      2 "조선왕조실록 선조32년(1599) 4월15일(갑자)"

      3 윤유숙, "전국시대 일본적 세계관과 신국사상, In 동아시아 세계의 일본사상—일본 중심적 세계관 생성의 시대별 고찰—" 동북아역사재단 121-122, 2009

      4 민덕기, "임진왜란에 납치된 조선인의 일본생활—왜 납치되었고 어떻게 살았을까—" 36 : 2003

      5 민덕기, "임진왜란에 납치된 조선인의 일본생활—왜 납치되었고 어떻게 살았을까—" 36 : 2003

      6 민덕기, "임진왜란에 납치된 조선인의 귀환과 잔류로의 길" 한일관계사학회 (20) : 2004

      7 민덕기, "임진왜란 중에 납치된 조선인 문제,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8 박화진, "일본 그리스챤 시대 규슈지역에 대한 고찰" 부산경남사학회 (54) : 191-226, 2005

      9 민덕기, "납치된 조선인들은 일본에서 어떻게 살았을까, In 한일관계2천년 보이는 역사, 보이지 않는 역사 근세" 경인문화사 2006

      10 高知縣, "高知縣史要" 濱田印刷所 606-, 1924

      1 윤용이, "「‘陶瓷器의 길’(朝鮮陶工에 의한 日本陶에의 영향)" 16 : 1994

      2 "조선왕조실록 선조32년(1599) 4월15일(갑자)"

      3 윤유숙, "전국시대 일본적 세계관과 신국사상, In 동아시아 세계의 일본사상—일본 중심적 세계관 생성의 시대별 고찰—" 동북아역사재단 121-122, 2009

      4 민덕기, "임진왜란에 납치된 조선인의 일본생활—왜 납치되었고 어떻게 살았을까—" 36 : 2003

      5 민덕기, "임진왜란에 납치된 조선인의 일본생활—왜 납치되었고 어떻게 살았을까—" 36 : 2003

      6 민덕기, "임진왜란에 납치된 조선인의 귀환과 잔류로의 길" 한일관계사학회 (20) : 2004

      7 민덕기, "임진왜란 중에 납치된 조선인 문제,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8 박화진, "일본 그리스챤 시대 규슈지역에 대한 고찰" 부산경남사학회 (54) : 191-226, 2005

      9 민덕기, "납치된 조선인들은 일본에서 어떻게 살았을까, In 한일관계2천년 보이는 역사, 보이지 않는 역사 근세" 경인문화사 2006

      10 高知縣, "高知縣史要" 濱田印刷所 606-, 1924

      11 中村質校訂, "長崎平戶町人別帳" 1965

      12 長崎市役所, "長崎市史 風俗編" 長崎市役所 30-31, 1935

      13 米谷均, "近世日朝関係における戦争捕虜の送還" 595 : 1999

      14 米谷均, "近世日朝関係における戦争捕虜の送還" 595 : 29-, 1999

      15 우관호, "肥前陶磁器硏究" 30 : 40-41, 1998

      16 "筑前国続風土記 1, In 益軒全集 4" 22-,

      17 강항, "看羊錄 賊中封疏, In 국역해행총재Ⅱ"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7

      18 高橋公明, "異民族の人身売買ーヒトの流通ー, In アジアのなかの日本史2" 東京大学出版会 1992

      19 慶暹, "海槎錄, In 국역해행총재Ⅱ"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7

      20 米谷均, "朝鮮通信使と被虜人刷還活動について, In 対馬宗家文書 第Ⅰ期 朝鮮通信使 記録別冊" ゆまに書房 1999

      21 村井早苗, "朝鮮生まれのキリシタン市兵衛の生涯, In 中近世の宗教と国家" 岩田書院 1998

      22 "月峯海上錄"

      23 鶴園裕, "日本近世初期における渡来朝鮮人の研究ー加賀藩を中心にー, In 1990年度科学研究費補助金研究成果報告書" 1991

      24 荒野泰典, "日本型華夷秩序の形成, In 日本の社会史1 列島内外の交通と国家" 岩波書店 1987

      25 "日本地理風俗大系 13卷" 新光社 106-110, 1930

      26 "日本史大事典 5" 平凡社 77-, 1993

      27 內藤雋輔, "文禄慶長における被虜人の研究" 東京大学出版会 1976

      28 丸茂武重, "文禄、慶長の役に於ける朝鮮人抑留に関する資料" 61 : 1953

      29 六反田豊, "文祿․慶長의 역(壬辰倭亂)" 53-54, 2005

      30 嘉村国男, "寫眞集 長崎の母なる川ー中島川と石橋群ー(長崎), In 長崎町尽し" 長崎文献社 1986

      31 中村質, "壬辰丁酉倭亂の被虜人の軌跡ー長崎在住者の場合ー" 22 : 1992

      32 仲尾宏, "壬辰․丁酉倭亂の朝鮮人被虜とその定住․帰国, In 朝鮮通信使と壬辰倭乱" 明石書店 2000

      33 최호균, "壬辰, 丁酉倭亂期 人命被害에 대한 계량적 연구" 89 : 49-, 2000

      34 "國史大辭典" 吉川弘文館 126-, 1979

      35 黑川眞道, "國史叢書 土佐物語2 四國軍記全" 國史硏究會 53-, 1914

      36 尹達世, "四百年の長い道" リーブル出版 2003

      37 大阪朝日新聞通信部, "名城ものがたり" 朝日新聞社 425-, 1937

      38 九州の中の朝鮮文化を考える会, "九州のなかの朝鮮" 明石書店 52-53, 2002

      39 米谷均, "17세기 日․朝관계에서의 피로인의 송환 —惟政의 在日쇄환활동을 중심으로—, In 사명당과 유정" 지식산업사 2000

      40 김문자, "16-17C 朝日관계에 있어서 被虜人 귀환—특히 여성의 경우—" 8‧9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9-01 평가 학술지 통합 (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