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2013 개정 지리교육과정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북한에서 지리 교과는 소학교에서 `자연` 과목의 일부로 가르쳐진다. 이후 초급중학교에서는 `조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81846
2017
Korean
북한 ; 교육과정 ; 통일 ; 지리교육 ; North Korea ; curriculum ; unification ; geography edu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69-83(1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2013 개정 지리교육과정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북한에서 지리 교과는 소학교에서 `자연` 과목의 일부로 가르쳐진다. 이후 초급중학교에서는 `조선...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2013 개정 지리교육과정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북한에서 지리 교과는 소학교에서 `자연` 과목의 일부로 가르쳐진다. 이후 초급중학교에서는 `조선지리`, 고급중학교에서는 `지리`라는 독립된 과목으로 교육과정에 포함된다. 교육과정 문서는 머리말, 교수목적과 교수목표, 교수내용, 교과서 집필에서 지켜야 할 원칙, 학과목 교수에서 지켜야 할 원칙, 학업성적평가원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계는 세 학교급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교수목적과 교수목표, 교수내용은 각 학년별로 제시되고 나머지 부분은 학교급별로 공통적으로 한 번씩 제시된다. 이러한 북한 지리교육과정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 특수 내용, 나선형 교육과정, 자연지리적(지구과학적) 내용 강조, 남한 교육과정과의 접점, 교과서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의 최신 지리교육과정을 소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시론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남북한 교육과정 비교 및 통합안 구상 등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2013 revised geography curriculum of North Korea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the subject of geography is taught at the primary school as a part of the `Nature` subject. In the j...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2013 revised geography curriculum of North Korea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the subject of geography is taught at the primary school as a part of the `Nature` subject. In the junior secondary and senior secondary schools, it is included as an independent subject, named as `Joseon Geography` and `Geography`, respectively. The North Korean geography curriculum is composed of the preface, teaching goal and objective, teaching content, principles in writing textbooks, principles in teaching the subject, and principles in assessment. This structure is consistent through the school level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North Korean geography curriculum, this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topics: contents specific to the North Korean geography curriculum, spiral curriculum, emphasis on physical geography (earth science), nexu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curricula, and the necessity of textbook research. This study represents a preliminary attempt to introduce the most recent North Korean geography curriculum an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comparing the curricula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devise integrated curricula between the two.
참고문헌 (Reference)
1 곽병선, "통일대비 교육과정 개발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2 "통일뉴스"
3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5 남상준, "탈북학생 지도용 사회과 교육과정 표준안 개발:초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13
6 남상준, "탈북학생 지도용 사회과 교육과정 표준안 개발: 중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13
7 배선학,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리·환경 교육- 오대천의 수질조사 활동을 사례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81-92, 2013
8 김민성, "지리공간기술 기반 봉사학습 프로젝트: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의 지역사회 참여" 한국지도학회 15 (15): 63-77, 2015
9 조성욱,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211-224, 2009
10 이영하, "지구 과학과 지리 영역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6 (16): 399-419, 2012
1 곽병선, "통일대비 교육과정 개발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2 "통일뉴스"
3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김진숙,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5 남상준, "탈북학생 지도용 사회과 교육과정 표준안 개발:초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13
6 남상준, "탈북학생 지도용 사회과 교육과정 표준안 개발: 중학교" 한국교육개발원 2013
7 배선학,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리·환경 교육- 오대천의 수질조사 활동을 사례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81-92, 2013
8 김민성, "지리공간기술 기반 봉사학습 프로젝트: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의 지역사회 참여" 한국지도학회 15 (15): 63-77, 2015
9 조성욱,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211-224, 2009
10 이영하, "지구 과학과 지리 영역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6 (16): 399-419, 2012
11 교육위원회,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초급중학교), 교육위원회 주체102(2013)년"
12 교육위원회,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소학교), 교육위원회 주체102(2013)년"
13 교육위원회,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고급중학교), 교육위원회 주체102(2013)년"
14 조철기, "비주얼 리터러시에 기반한 사진 활용 지리수업 방법"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13-23, 2013
15 송언근, "비조작 자료의 조작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1-22, 2012
16 이전, "북한의 지리교과서에 대한 일고찰 : 북한의 고등중학교 지리교과서 1990년판과 2000년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607-619, 2005
17 김진숙, "북한의 2013년 개정 교육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49-368, 2016
18 윤옥경, "북한 지역에 대한 초ㆍ중등학교 지리 학습자료 개선 방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327-341, 2004
19 홍정민, "북한 중등과정 지리 교과서 기상학분야 용어에 대한 전남지역 고등학생들의 이해" 한국지구과학회 27 (27): 15-19, 2006
20 이종원, "도해력 다시 보기: 21세기 도해력의 의미와 지리교육의 과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15, 2011
21 김진숙, "남북한의 최근 개정 교육과정 총론 비교"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47-67, 2016
22 오기성, "남북한 통합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 시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2008
23 김정호, "남북한 사회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 통합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24 조정아, "김정은 시대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통일연구원 2015
25 Kim, M., "Project-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
26 Kim, M., "Development of critical spatial thinking through GIS learning" 37 (37): 350-366, 2013
27 Ryser, L.,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of community-based researcher: Tips for undergraduate students" 37 (37): 11-27, 2013
28 Bednarz, S. W., "Community engagement for student learning in geography" 32 (32): 87-100, 2008
대학 환경교육에서 매체비평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영화 < HOME >을 중심으로 -
세계지리 교과서의 `이주` 다시 읽기: 정의로운 글로벌 시민성을 향하여
지리교육에서 역사적 사건의 접근 방법과 의미 -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사례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4 | 1.01 | 1.112 | 0.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