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주왕산국립공원 주왕계곡 수달래군락 분포 특성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관리방안 = Distribution States and Management Planning based on the Climate Change of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Juwang Valley, Juwangsan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6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인 수달래군락의 분포 특성과 여름철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수달래군락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달래군락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생육기반, 수변 이격거리, 가지고사율, 수고로 구분하여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각 항목별 개체수 측정 후 생육기반과 수변 이격거리, 생육기반과 가지고사율, 생육기반과 수고, 수변 이격거리와 가지고사율, 수변 이격거리와 수고의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분포 특성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달래군락 주요 분포지의 하천 단면구조를 조사한 결과 수면 폭 4.8m로 넓지 않았다. 7월과 8월 집중호우로 계곡 내 불어나는 유량과 빠른 유속은 하천 단면 구조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불규칙성과 비예측적 특성을 가진 기후변화는 연구대상지의 수달래 생육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보전 가치가 높은 수달래 식물군락지 특별보호구역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인 수달래군락의 분포 특성과 여름철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수달래군락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달래군락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인 수달래군락의 분포 특성과 여름철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수달래군락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달래군락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생육기반, 수변 이격거리, 가지고사율, 수고로 구분하여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각 항목별 개체수 측정 후 생육기반과 수변 이격거리, 생육기반과 가지고사율, 생육기반과 수고, 수변 이격거리와 가지고사율, 수변 이격거리와 수고의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분포 특성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달래군락 주요 분포지의 하천 단면구조를 조사한 결과 수면 폭 4.8m로 넓지 않았다. 7월과 8월 집중호우로 계곡 내 불어나는 유량과 빠른 유속은 하천 단면 구조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불규칙성과 비예측적 특성을 가진 기후변화는 연구대상지의 수달래 생육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보전 가치가 높은 수달래 식물군락지 특별보호구역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a special protected area of Juwangsan National Park, and whether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n summer, affect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order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 population was measured by dividing it based on growth base, waterfront sparation distance, branching rate, and labor. After measuring the population for each, there were significant diefferences betwee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one-way distribution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 separation distance and branching rate, as well as the separation distance and labor of the waterfront, were discovered to be factor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ive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ajor distribution area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t was not wide, at 4.8 m. It was judged that the high flow rate in the valley due to torrential rains in July and August affect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iver. Climate change with irregular and non-predictable characteristics was judged to affect the aquatic growth environment of the study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special protected area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plant colony, where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s of high conservational valu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a special protected area of Juwangsan National Park, and whether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n summer, affect the grow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a special protected area of Juwangsan National Park, and whether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n summer, affect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order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 population was measured by dividing it based on growth base, waterfront sparation distance, branching rate, and labor. After measuring the population for each, there were significant diefferences betwee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one-way distribution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 separation distance and branching rate, as well as the separation distance and labor of the waterfront, were discovered to be factor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ive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ajor distribution area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t was not wide, at 4.8 m. It was judged that the high flow rate in the valley due to torrential rains in July and August affect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iver. Climate change with irregular and non-predictable characteristics was judged to affect the aquatic growth environment of the study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special protected area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plant colony, where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s of high conservational valu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