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인 수달래군락의 분포 특성과 여름철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수달래군락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달래군락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96724
2024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69-85(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인 수달래군락의 분포 특성과 여름철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수달래군락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달래군락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인 수달래군락의 분포 특성과 여름철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수달래군락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달래군락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생육기반, 수변 이격거리, 가지고사율, 수고로 구분하여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각 항목별 개체수 측정 후 생육기반과 수변 이격거리, 생육기반과 가지고사율, 생육기반과 수고, 수변 이격거리와 가지고사율, 수변 이격거리와 수고의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분포 특성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달래군락 주요 분포지의 하천 단면구조를 조사한 결과 수면 폭 4.8m로 넓지 않았다. 7월과 8월 집중호우로 계곡 내 불어나는 유량과 빠른 유속은 하천 단면 구조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불규칙성과 비예측적 특성을 가진 기후변화는 연구대상지의 수달래 생육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수량 등 기후변화가 보전 가치가 높은 수달래 식물군락지 특별보호구역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a special protected area of Juwangsan National Park, and whether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n summer, affect the grow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a special protected area of Juwangsan National Park, and whether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n summer, affect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n order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 population was measured by dividing it based on growth base, waterfront sparation distance, branching rate, and labor. After measuring the population for each, there were significant diefferences betwee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one-way distribution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the separation distance and branching rate, as well as the separation distance and labor of the waterfront, were discovered to be factor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iver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ajor distribution areas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it was not wide, at 4.8 m. It was judged that the high flow rate in the valley due to torrential rains in July and August affect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iver. Climate change with irregular and non-predictable characteristics was judged to affect the aquatic growth environment of the study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special protected area of th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plant colony, where climate change such as precipitation is of high conservational value.
산림경관 평가를 위한 경관지표 및 요소들 간의 가중치 설정에 관한 연구
Marxan을 이용한 도시 논습지의 적정 생물서식공간 선정 연구 - 부천시 대장동지구를 대상으로 -
반려견을 둘러싼 갈등 완화를 위한 반려견 친화 공원 계획- 구미동 유휴산업시설을 중심으로 -
생물다양성 보전과 관리 방안
국민대학교 이창배정보전자융합공학부 세미나
포항공과대학교 Prof. Ahmed Mehaoua[제1회 에코 사회적 경제 포럼] 국내외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 소개와 환경보전과 관련된 정책 제안
이화여자대학교 전재경2012 제4회 정보전자융합공학부 국제심포지엄
포항공과대학교 Roberto Saracco, Jean-Philippe Baudrey, Bingli Jiao, Thomas G. Dietterich, Guy Pujolle, Sung-Mo“Steve” Kang, Laura M. Roa, Daniel S Yeung, Mahmoud Daneshmand, Alberto Leon-Garcia2011 제3회 정보전자융합공학부 국제심포지엄
포항공과대학교 Kang G. Shin, Sirirurg Songsivilai, Nguyen Dinh Thuc, Yongmin Kim, Nam Thoai, Prasant Mohapa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