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2007
3 김진수,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0 (30): 793-809, 2011
4 이장호,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1 (1): 25-45, 1988
5 박지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229-257, 2011
6 조옥희,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개인, 가족, 직업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29, 2005
7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가족탄력성의 영향력 분석" 8 : 9-40, 2001
8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43-162, 2003
9 김보라,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7-136, 2010
10 최승미, "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PTSD 증상 수준에 따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307-328, 2013
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2007
3 김진수,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0 (30): 793-809, 2011
4 이장호,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1 (1): 25-45, 1988
5 박지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229-257, 2011
6 조옥희,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개인, 가족, 직업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29, 2005
7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가족탄력성의 영향력 분석" 8 : 9-40, 2001
8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43-162, 2003
9 김보라,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7-136, 2010
10 최승미, "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PTSD 증상 수준에 따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307-328, 2013
11 정인명, "의도적 반추와 낙관성이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2009 : 278-279, 2009
12 김희정,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 탐색"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81-799, 2008
13 박혜원,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01-214, 2006
14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2008
15 이수림,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9 (19): 319-341, 2013
16 윤재은, "영재집단의 학교생활 적응과 스트레스 및 그 대처 방법 : 특수목적고교와 인문고교의 비교" 연세대학교 1994
17 한인영,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419-441, 2011
18 이영순, "아버지 실직가정의 가족관계가 중학생 자녀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5 (5): 1247-1265, 2004
19 임상희,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와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5
20 천희영, "실직자의 심리적 특성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 및 행동 변화" 38 (38): 103-116, 2000
21 김유순, "실직자를 위한 위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35 : 263-288, 1998
22 노혜련, "실직자가족 중 해체된 가족과해체되지 않은 가족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욕구에 관란 비교 연구" 5 (5): 155-183, 2000
23 오지수, "실직에 대한 대처반응과 그 관련 요인" 가톨릭대학교 2000
24 조성희, "실직 가장이 인식하는 가족해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13): 139-166, 1999
25 진은영, "실업에 대한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과 자살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2006
26 윤예심,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사건충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2008
27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217-235, 2012
28 신건희, "대량실업에 따른 사회복지정책의 파라다임 전환" 4 : 369-392, 1999
29 이희윤, "기혼중년남성의 가족탄력성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169-192, 2011
30 권석만, "긍정심리학" 학지사 2008
31 김명언, "경제불황의 심리적 영향: 조직감량의 희생자, 생존자 그리고 집행자" 97-148, 1998
32 오경자, "경제불황의 심리적 영향: 실직이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67-95, 1998
33 최희정,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75-194, 2009
34 김안자,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4 (4): 139-170, 2005
35 황철수, "가족레질리언스가 노부모와 성인자녀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36 Tedeschi, R. G.,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Sage Publications 1995
37 Holmes, D. S.,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11 : 213-218, 1967
38 Walsh, F., "The resilience of the field of family therapy" 24 (24): 269-271, 1998
39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2, 1996
40 McMillen, J. C., "The perceived benefit scales : Measuring perceived positive life changes after negative events" 22 : 173-187, 1998
4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 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1 : 1173-1182, 1986
42 Maercker, A.,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 Toward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15 : 41-48, 2004
43 Armeli, S., "Stres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s :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20 : 366-395, 2001
44 Walsh, F.,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The Guildford Press 1998
45 McLoyd, V. C., "Socialization and development in a changing economy" 44 : 293-302, 1989
46 Garmezy, N.,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o adverse developmen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overty" 34 : 416-430, 1991
47 Fontana, Y., "Psychological benefits and liabilities of traumatic exposure in the war zone" 11 : 485-505, 1998
48 Bellizzi, K. M.,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25 : 47-56, 2006
49 Maercker, A., "Posttraumatic personal growth : Validation of german version of 2 questionnaires" 47 : 153-162, 2001
50 Zoellner, T.,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26 (26): 626-653, 2006
51 Milam, J. E., "Posttraumatic growth among HIV/AIDS patients" 34 (34): 2353-2376, 2004
52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53 Linley, P. A.,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17 : 11-21, 2004
54 Pervin, L. A.,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Wiley 2005
55 Schultz, J. M., "Pathways to posttraumatic growth_The contributions of forgiveness and importance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2 : 104-114, 2010
56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57 Conger, R. D., "Linking Economic Hardship to marital Quality and Instability" 52 : 643-656, 1990
58 Folkman, 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48 : 150-170, 1985
59 Calhoun, L. G.,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2006
60 Lazarus, R. S., "Coping theory and research : Past, present, and future" 55 : 234-234, 1993
61 Moore A. D., "Coping and emotional attributions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17 (17): 39-, 1994
62 Evers, A. W. M., "Beyond unfavourable thinking : The illness cognition questionnaire for chronic diseases" 69 : 1026-1036, 2001
63 McMillen, J. C., "Better for it : How People benefit from adversity" 44 : 455-468, 1999
64 Park, C. L.,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64 : 71-106, 1996
65 Calhoun, L. G.,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13 : 521-527, 2000
66 오수성, "5·18 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595-611, 2008
67 오수성,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 25 (25): 59-7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