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양지역으로 본 백제 가마의 운영과 의미 = The Operation and Meanings of Baekje Kiln Sites in the Cheongyang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3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양지역에서는 원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토기와 기와, 불상, 자기 등 다양한 기물들을 생산했던 가마터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청양지역의 유적 중 약 42%를 차지하며, 청양지역에 가마 터가 많이 조성되었던 이유는 생산에 필요한 지리적 요건을 잘갖추었기 때문이다. 또 역사적으로 웅진 및 사비도성과 인접하다는 점도 청양지역 가마 운영에 영향을 주었다.
      이에 백제 가마들은 모두 소부리군의 영현인 정산면 권역(열기 현)에서 확인되고, 도성에 필요한 여러 기물들을 공급하였다. 학암리요지는 의례용 토기들을 주로 공급하였고, 관현리요지에서는 특징적인 제작기법을 바탕으로 기와를 생산하였다. 왕진리요지는 유일하게 금강변에 입지하여 소문수막새와 인장와를 대표로 생산하였고, 본의리요지는 불상대좌와 연화문수막새를 함께 생산한 점이 특징적이다.
      청양지역 백제 가마에서는 크게 와도겸업 생산, 수급관계의 변화, 수막새의 변용의 운영방식이 확인되었다. 와도겸업은 제작집 단의 구성방식 또는 조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또 가마들은 전용공급에서 공용공급으로 변화하여, 기와 수요에 유연 하게 대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리고 수막새들은 각 제작 집단의 대표성을 나타내고, 이를 개범하거나 공인의 이동 등으로그 문양을 변용했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청양지역에 백제 가마들이 집중 조성된 이유는 도성의 역사적인 맥락과 연관된다. 도성 인근의 산지들은 주로 매장공간과 성곽들이 조성되고 내부에도 중요 건물들의 화재 위험을 최소화했기 때문에, 가마터를 조성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였다. 이에 금강 건너편에 가마들이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청양지역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중요 생산지로서 부각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청양지역에서는 원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토기와 기와, 불상, 자기 등 다양한 기물들을 생산했던 가마터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청양지역의 유적 중 약 42%를 차지하며, 청양지역에 가마 ...

      청양지역에서는 원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토기와 기와, 불상, 자기 등 다양한 기물들을 생산했던 가마터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청양지역의 유적 중 약 42%를 차지하며, 청양지역에 가마 터가 많이 조성되었던 이유는 생산에 필요한 지리적 요건을 잘갖추었기 때문이다. 또 역사적으로 웅진 및 사비도성과 인접하다는 점도 청양지역 가마 운영에 영향을 주었다.
      이에 백제 가마들은 모두 소부리군의 영현인 정산면 권역(열기 현)에서 확인되고, 도성에 필요한 여러 기물들을 공급하였다. 학암리요지는 의례용 토기들을 주로 공급하였고, 관현리요지에서는 특징적인 제작기법을 바탕으로 기와를 생산하였다. 왕진리요지는 유일하게 금강변에 입지하여 소문수막새와 인장와를 대표로 생산하였고, 본의리요지는 불상대좌와 연화문수막새를 함께 생산한 점이 특징적이다.
      청양지역 백제 가마에서는 크게 와도겸업 생산, 수급관계의 변화, 수막새의 변용의 운영방식이 확인되었다. 와도겸업은 제작집 단의 구성방식 또는 조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또 가마들은 전용공급에서 공용공급으로 변화하여, 기와 수요에 유연 하게 대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리고 수막새들은 각 제작 집단의 대표성을 나타내고, 이를 개범하거나 공인의 이동 등으로그 문양을 변용했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청양지역에 백제 가마들이 집중 조성된 이유는 도성의 역사적인 맥락과 연관된다. 도성 인근의 산지들은 주로 매장공간과 성곽들이 조성되고 내부에도 중요 건물들의 화재 위험을 최소화했기 때문에, 가마터를 조성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였다. 이에 금강 건너편에 가마들이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청양지역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중요 생산지로서 부각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idence has confirmed the existence of kiln sites that produced a variety of objects in the Cheongyang area over different periods. They are so large in numbers that they account for approximately 42% of the entire relics. There were especially many kiln sites built in the Cheongyang area because of its geographical conditions necessary for production and its historical context close to the capital city.
      All of the Baekje kiln sites were built in “Yeolgi-hyeon” and supplied necessary objects to the capital cities of Woongjin~Sabi. The kiln sites of Hagam-ri made and provided ceremonial pottery needed in the capital cities. Those of Gwanhyeon-ri and Wangjin-ri made and supplied roof-tiles representing each group. Those of Bonui-ri were characteristic in that they produced pedestals for Buddha statues.
      The Baekje kiln sites in the Cheongyang area were managed in three major way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roof-tiles along with pottery, the changing supply-demand relations, and the intentional transformation of roof-end tiles patterns. They were the results of flexible responses to roof-tiles demand in the composition and moving of the production group and the efficiency of kiln operation.
      Baekje built kiln sites in the Cheongyang area because the capital city lacked the conditions to build a production relic. The mountains around the capital city had tombs and fortresses built, and it was important to minimize the fire risk of the major buildings within the capital city walls.
      The opposite side of the Geumgang-River was thu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production site, and the Cheongyang area followed this historical context.
      번역하기

      Evidence has confirmed the existence of kiln sites that produced a variety of objects in the Cheongyang area over different periods. They are so large in numbers that they account for approximately 42% of the entire relics. There were especially many ...

      Evidence has confirmed the existence of kiln sites that produced a variety of objects in the Cheongyang area over different periods. They are so large in numbers that they account for approximately 42% of the entire relics. There were especially many kiln sites built in the Cheongyang area because of its geographical conditions necessary for production and its historical context close to the capital city.
      All of the Baekje kiln sites were built in “Yeolgi-hyeon” and supplied necessary objects to the capital cities of Woongjin~Sabi. The kiln sites of Hagam-ri made and provided ceremonial pottery needed in the capital cities. Those of Gwanhyeon-ri and Wangjin-ri made and supplied roof-tiles representing each group. Those of Bonui-ri were characteristic in that they produced pedestals for Buddha statues.
      The Baekje kiln sites in the Cheongyang area were managed in three major way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roof-tiles along with pottery, the changing supply-demand relations, and the intentional transformation of roof-end tiles patterns. They were the results of flexible responses to roof-tiles demand in the composition and moving of the production group and the efficiency of kiln operation.
      Baekje built kiln sites in the Cheongyang area because the capital city lacked the conditions to build a production relic. The mountains around the capital city had tombs and fortresses built, and it was important to minimize the fire risk of the major buildings within the capital city walls.
      The opposite side of the Geumgang-River was thu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production site, and the Cheongyang area followed this historical contex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