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ssence of ‘Light Culture[Sun Culture, Park(밝) Culture]’, ancient culture of East Asia is the discipline aimed to be Chunson(天孫: a descendant of Heaven), the human who recovers their inner light, divinity. So ‘Light Culture’ can be 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73637
2010
-
900
KCI등재
학술저널
63-100(38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ssence of ‘Light Culture[Sun Culture, Park(밝) Culture]’, ancient culture of East Asia is the discipline aimed to be Chunson(天孫: a descendant of Heaven), the human who recovers their inner light, divinity. So ‘Light Culture’ can be c...
The essence of ‘Light Culture[Sun Culture, Park(밝) Culture]’, ancient culture of East Asia is the discipline aimed to be Chunson(天孫: a descendant of Heaven), the human who recovers their inner light, divinity. So ‘Light Culture’ can be called ‘Chunson Culture(天孫文化)’.
The basic theory of ‘Chunson Culture’ is the idea of ‘One-Three-Nine(一․三․九論)’, i.e.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In this theory, it is considered that the substance of being is ‘One Ki氣’(or ‘Three Ki’) and the phenomena of being is ‘Nine Ki’(or ‘Five Ki’).
‘The idea of One-Three-Nine’ is not an empty and vague theory but concrete and practical world view. First, the trainee enlightens his divinity, through disciplines[Sungtong(性通), enlightenment]. Then the trainee embodies his enlightenments practically into the real world. [Kongwan(功完), social practice] Finally the trainee recurs to cosmic divinity(cosmic origin)[Jochun(朝天), recurrence to cosmic divinity or origin]
During Hankook(桓國), Baedalkook(倍達國) and Dangun Chosun(檀君朝鮮) period, ‘Chunson Culture’ had been developed gradually. In these process, the original form of ‘Chunson Culture’ had been formed in Baedalkook period.
The center areas of ‘Chunson Culture realm’ in Baedalkook period were about Manchuria, the Korean Peninsula, and Inner Mongolia. Especially the west areas of Ryo(遼) River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of Baedalkook. The archeological designation of these areas in Baedalkook period is ‘Late Hungshan Culture(B.C.3500~B.C.3000)’.
In Baedalkook period, jade tools were the most important holy ritual tools. Many jade tools were made to symbolize ‘the idea of One-Three-Nine’ and to instruct ‘Sungtong→Kongwan→Jochun’ process of Chunson Culture.
In this thesis, ‘Five Ki(5氣)-shaped’ and ‘Nine Ki(9氣)-shaped’ jade tools among many kinds of jade tools were tooked out and analyzed. Also Yin and Yang Two Ki(2氣)-shaped’ jade tools were analyzed because the phenomena of being is just a interaction process of Yin and Yang Two Ki(2氣).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희,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에 나타난 존재의 생성·회귀론 -한국선도의 수행 이론-" 한국동서철학회 (53) : 277-307, 2009
2 정경희,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에 나타난 존재의 생성·회귀론 -한국선도의 수행 이론-" 한국동서철학회 (53) : 277-307, 2009
3 정경희, "한국선도의 '삼원오행론' - ‘음양오행론’의 포괄 -" 한국동서철학회 (48) : 325-348, 2008
4 이건무, "한국 청동의기의 연구-이형동기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28 : 1992
5 이하우, "한국 윷판형 바위그림 연구-방위각,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암각화학회 5 : 2008
6 정경희, "중국의 ‘陰陽五行論’과 韓國仙道의 ‘三元五行論’" 한국동서철학회 (49) : 61-90, 2008
7 鄭景姬, "인간성 회복(復本)의 상징물, ‘천부삼인’"
8 이건무, "선사유물과 유적" 솔 174-175, 2003
9 김일권, "별자리형 바위구멍에 대한 고찰" 51 : 1998
10 정경희, "배달국 말기 ‘天孫文化’의 재정립과 ‘치우천왕’" 국학연구원 9 : 221-261, 2010
1 정경희,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에 나타난 존재의 생성·회귀론 -한국선도의 수행 이론-" 한국동서철학회 (53) : 277-307, 2009
2 정경희,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에 나타난 존재의 생성·회귀론 -한국선도의 수행 이론-" 한국동서철학회 (53) : 277-307, 2009
3 정경희, "한국선도의 '삼원오행론' - ‘음양오행론’의 포괄 -" 한국동서철학회 (48) : 325-348, 2008
4 이건무, "한국 청동의기의 연구-이형동기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28 : 1992
5 이하우, "한국 윷판형 바위그림 연구-방위각,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암각화학회 5 : 2008
6 정경희, "중국의 ‘陰陽五行論’과 韓國仙道의 ‘三元五行論’" 한국동서철학회 (49) : 61-90, 2008
7 鄭景姬, "인간성 회복(復本)의 상징물, ‘천부삼인’"
8 이건무, "선사유물과 유적" 솔 174-175, 2003
9 김일권, "별자리형 바위구멍에 대한 고찰" 51 : 1998
10 정경희, "배달국 말기 ‘天孫文化’의 재정립과 ‘치우천왕’" 국학연구원 9 : 221-261, 2010
11 대성동고분박물관, "금관가야의 대외교류" 61-, 2005
12 정경희, "韓國仙道의 ‘삼신하느님’" 한국도교문화학회 (26) : 27-68, 2007
13 鄭景姬,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 사상" 2010
14 郭大順, "紅山文化" 文物出版社(東北亞歷史財團) 179-, 2005
15 趙賓福, "中國東北 新石器文化" 集文堂 131-133, 1996
16 "三國遺事"
17 정경희, "『천부경』?『삼일신고』를 통해 본 한국선도의 '일?삼?구론'" 범한철학회 44 (44): 25-59, 2007
18 정경희, "『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국학연구원 2 : 167-207, 2007
19 정경희, "『天符經』의 圖象化 -『천부경』에 의한 伏羲 八卦·河圖의 해석 -" 국학연구원 3 : 107-140, 2007
20 "2010년 1월 12일자 조유전의 문화재 다시 보기(17)- 화순 대곡리 출토 청동유물"
燕나라 遼東郡과 東遼河 流域 土着 集團의 독특한 交流 方式, 二龍湖 城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9 | 1.72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