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불안정애착과 분리개별화의 불안정경험에 관한 기독상담신학적 성찰 = christian counseling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instability experience of unstable attachment and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78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vides insight into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ow unstable experiences affect an individual's life, and studies how to deal with unstabl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ology. For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instability, we examined the instability of separation and the ambivalent tendency of infants in Mahler's theory, focusing on insecure attachment among Bolby's theories. And for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Christian counseling theological implications of instability experiences were examined, focusing on Tillich's existential theology and Lim Kyung-soo's Christian counseling theological method.
      Bolby believes that all environments that an infant meets after birth are subject to instability, and seeks proximity toward the main caregiver who instinctively provides care and protection. Infants form an attachment to the main caregiver, and the existence and availability of the attachment object provides a basic sense of stability and forms a secure attachment by experiencing trust and support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 attachment object.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pursuit of stability is the subject of attach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ibutor to the greatest instability formation is also the subject of attachment. Since the attachment theory sees the external influence of caregivers as the biggest factor in stability and instability formation, the parenting's heteronomy is emphasized and the awareness of infant autonomy is insufficient.
      Mahler gives important meaning to the psychological birth of infants, focusing on the autonomy of infants through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The convergence experience of autism and symbiotic stage is actually formed by heteronomy, but infants themselves are mistaken for pursuing their own autonomy. And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paration begins, and in the process, infants experience their own incompetence and failure and frustration. Adequate distancing and permission of caregivers is a positive sign to move on to the next stage of development, and infants experience intermediate phenomena and emotional object homeostasis. However, focusing on infant autonomy has positive meaning, bu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heteronomy.
      Tillich believes that the tension between heteronomy that absoluteizes external influences and autonomy that absoluteizes internal influences is the same as fate due to human ambiguity. Therefore, the tension between heteronomy and autonomy was not an object to be removed, synthesized, or completed, but an object to be included and transcended. Unless heteronomy and autonomy are distorted, Theonomy perspective is needed to recognize and accept its existence itself and aim for transcendence into a new self.
      The Theonom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the finite nature of humans living in unstable experiences in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pursues a union with Christ, a new being,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the instability experienced in daily life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onomy perspective. The heteronomy and autonomy itself are not negative, but it becomes a problem if it is too distorted. Therefore, autonomy must grow on the trust of heteronomy, and autonomy must accept the norms and forms of heteronomy and maintain tension, not conflict. In this way, the view of Theonomy, which includes everyone as it is,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the Christian faith, and the same should be applied to Christian counselors. I think the view of Theonomy, which is centered on my relationship and accepted as a bigger source, is necessary for Christian counseling, not a blind faith without one's life by heteronomy, nor an autonomy to pursue a tendency to non-belief and self-centered idoliz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provides insight into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ow unstable experiences affect an individual's life, and studies how to deal with unstabl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ology. For a psycho...

      This paper provides insight into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ow unstable experiences affect an individual's life, and studies how to deal with unstabl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ology. For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instability, we examined the instability of separation and the ambivalent tendency of infants in Mahler's theory, focusing on insecure attachment among Bolby's theories. And for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Christian counseling theological implications of instability experiences were examined, focusing on Tillich's existential theology and Lim Kyung-soo's Christian counseling theological method.
      Bolby believes that all environments that an infant meets after birth are subject to instability, and seeks proximity toward the main caregiver who instinctively provides care and protection. Infants form an attachment to the main caregiver, and the existence and availability of the attachment object provides a basic sense of stability and forms a secure attachment by experiencing trust and support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 attachment object.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pursuit of stability is the subject of attach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ibutor to the greatest instability formation is also the subject of attachment. Since the attachment theory sees the external influence of caregivers as the biggest factor in stability and instability formation, the parenting's heteronomy is emphasized and the awareness of infant autonomy is insufficient.
      Mahler gives important meaning to the psychological birth of infants, focusing on the autonomy of infants through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The convergence experience of autism and symbiotic stage is actually formed by heteronomy, but infants themselves are mistaken for pursuing their own autonomy. And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paration begins, and in the process, infants experience their own incompetence and failure and frustration. Adequate distancing and permission of caregivers is a positive sign to move on to the next stage of development, and infants experience intermediate phenomena and emotional object homeostasis. However, focusing on infant autonomy has positive meaning, bu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heteronomy.
      Tillich believes that the tension between heteronomy that absoluteizes external influences and autonomy that absoluteizes internal influences is the same as fate due to human ambiguity. Therefore, the tension between heteronomy and autonomy was not an object to be removed, synthesized, or completed, but an object to be included and transcended. Unless heteronomy and autonomy are distorted, Theonomy perspective is needed to recognize and accept its existence itself and aim for transcendence into a new self.
      The Theonom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the finite nature of humans living in unstable experiences in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pursues a union with Christ, a new being,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the instability experienced in daily life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onomy perspective. The heteronomy and autonomy itself are not negative, but it becomes a problem if it is too distorted. Therefore, autonomy must grow on the trust of heteronomy, and autonomy must accept the norms and forms of heteronomy and maintain tension, not conflict. In this way, the view of Theonomy, which includes everyone as it is,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the Christian faith, and the same should be applied to Christian counselors. I think the view of Theonomy, which is centered on my relationship and accepted as a bigger source, is necessary for Christian counseling, not a blind faith without one's life by heteronomy, nor an autonomy to pursue a tendency to non-belief and self-centered ido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불안정경험이 한 개인의 삶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심리학적인 이해와 신학적인 이해의 통찰을 하며, 기독교상담신학의 관점에서 불안정경험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연구이다. 불안정에 대한 심리학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볼비의 이론중 불안정애착을 중심으로, 말러의 이론중 분리개별화의 불안정과 유아의 양가적 경향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학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틸리히의 실존주의 신학과 임경수의 기독상담신학적방법을 중심으로 불안정경험에 대한 기독상담신학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볼비는 유아가 출생한 이후 만나는 모든 환경은 불안정의 대상이라고 보고, 생존본능적으로 돌봄과 보호를 제공하는 주 양육자를 향해 근접성 추구를 한다고 본다. 유아는 주 양육자에게 애착을 형성하는데, 애착대상의 현존과 가용성은 기본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며 애착대상과 상호적인 관계성을 통해 신뢰와 지지를 경험하며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다.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서 안정감 추구의 가장 큰 기여자는 애착대상이 되고, 동시에 가장 큰 불안정형성의 기여자도 애착대상이 된다. 애착이론은 양육자라는 외부의 영향을 안정과 불안정 형성의 가장 큰 요인으로 보기 때문에, 양육자의 타율성이 강조되고 유아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말러는 유아의 심리적 탄생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데, 분리개별화를 통한 유아의 자율성에 초점을 둔다. 자폐와 공생단계의 융합경험은 실제로 타율에 의해 안정감이 형성되나, 유아 자신은 자신의 자율성에 의한 추구라고 착각한다. 그리고 이동능력의 발달과 함께 분리가 시작이 되고, 그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의 무능을 경험하며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양육자의 적절한 거리두기와 허용은 다음 발달의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긍정적인 신호이고, 유아는 중간현상과 정서적 대상항상성의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유아의 자율성에 대해 초점을 두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가 있으나, 타율성에 대해서는 인식이 부족하다.
      틸리히는 외부의 영향을 절대화하는 타율성과 내부의 영향을 절대화하는 자율성의 긴장은, 인간의 모호성으로 인한 운명과 같은 것이라 여긴다. 그래서 타율과 자율의 긴장은 제거나 종합, 완성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포함하고 초월해야 하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타율과 자율이 왜곡되지 않는 이상 그 존재자체를 인정하고 수용하며 새로운 자기로의 초월을 지향하는 신율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신율성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속에서 불안정경험을 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유한성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며, 성령의 현존을 통해 새로운 존재이신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일상에서 경험하는 불안정은 신율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타율과 자율 그 자체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지만, 지나치게 왜곡이 되면 문제가 된다. 그래서 타율의 신뢰 위에서 자율이 성장해야 하고, 자율은 타율의 규범과 형식을 수용하며 갈등이 아닌 긴장을 유지해야 한다. 이렇게 모두를 있는 그대로 포함하는 신율성의 관점이 그리스도인의 신앙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어야 하고, 기독상담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타율성에 의해 자신의 삶이 없는 맹신이 아닌, 비신앙적이고 자기중심적 우상화의 경향을 추구하는 자율성도 아닌, 나와 너의 관계성이 중심이 되며 더 큰 근원에게로 수용되는 신율성의 관점이 기독교 상담에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불안정경험이 한 개인의 삶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심리학적인 이해와 신학적인 이해의 통찰을 하며, 기독교상담신학의 관점에서 불안정경험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본 논문은 불안정경험이 한 개인의 삶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심리학적인 이해와 신학적인 이해의 통찰을 하며, 기독교상담신학의 관점에서 불안정경험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연구이다. 불안정에 대한 심리학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볼비의 이론중 불안정애착을 중심으로, 말러의 이론중 분리개별화의 불안정과 유아의 양가적 경향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학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틸리히의 실존주의 신학과 임경수의 기독상담신학적방법을 중심으로 불안정경험에 대한 기독상담신학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볼비는 유아가 출생한 이후 만나는 모든 환경은 불안정의 대상이라고 보고, 생존본능적으로 돌봄과 보호를 제공하는 주 양육자를 향해 근접성 추구를 한다고 본다. 유아는 주 양육자에게 애착을 형성하는데, 애착대상의 현존과 가용성은 기본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며 애착대상과 상호적인 관계성을 통해 신뢰와 지지를 경험하며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다.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서 안정감 추구의 가장 큰 기여자는 애착대상이 되고, 동시에 가장 큰 불안정형성의 기여자도 애착대상이 된다. 애착이론은 양육자라는 외부의 영향을 안정과 불안정 형성의 가장 큰 요인으로 보기 때문에, 양육자의 타율성이 강조되고 유아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말러는 유아의 심리적 탄생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데, 분리개별화를 통한 유아의 자율성에 초점을 둔다. 자폐와 공생단계의 융합경험은 실제로 타율에 의해 안정감이 형성되나, 유아 자신은 자신의 자율성에 의한 추구라고 착각한다. 그리고 이동능력의 발달과 함께 분리가 시작이 되고, 그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의 무능을 경험하며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양육자의 적절한 거리두기와 허용은 다음 발달의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긍정적인 신호이고, 유아는 중간현상과 정서적 대상항상성의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유아의 자율성에 대해 초점을 두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가 있으나, 타율성에 대해서는 인식이 부족하다.
      틸리히는 외부의 영향을 절대화하는 타율성과 내부의 영향을 절대화하는 자율성의 긴장은, 인간의 모호성으로 인한 운명과 같은 것이라 여긴다. 그래서 타율과 자율의 긴장은 제거나 종합, 완성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포함하고 초월해야 하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타율과 자율이 왜곡되지 않는 이상 그 존재자체를 인정하고 수용하며 새로운 자기로의 초월을 지향하는 신율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신율성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속에서 불안정경험을 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유한성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며, 성령의 현존을 통해 새로운 존재이신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일상에서 경험하는 불안정은 신율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타율과 자율 그 자체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지만, 지나치게 왜곡이 되면 문제가 된다. 그래서 타율의 신뢰 위에서 자율이 성장해야 하고, 자율은 타율의 규범과 형식을 수용하며 갈등이 아닌 긴장을 유지해야 한다. 이렇게 모두를 있는 그대로 포함하는 신율성의 관점이 그리스도인의 신앙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어야 하고, 기독상담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타율성에 의해 자신의 삶이 없는 맹신이 아닌, 비신앙적이고 자기중심적 우상화의 경향을 추구하는 자율성도 아닌, 나와 너의 관계성이 중심이 되며 더 큰 근원에게로 수용되는 신율성의 관점이 기독교 상담에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사 6
      • 3. 연구방법과 범위 14
      • 제2장 불안정애착과 안정감 추구의 긴장과 변화 ; 볼비(John Bowlby)의 이론을 중심으로 18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사 6
      • 3. 연구방법과 범위 14
      • 제2장 불안정애착과 안정감 추구의 긴장과 변화 ; 볼비(John Bowlby)의 이론을 중심으로 18
      • 1. 불안정경험과 타율성 18
      • 1) 불안정한 환경과 생존의 불안 18
      • 2) 근접추구와 민감한 반응의 주도권과 불안 25
      • 3) 애착대상의 부재와 분리불안 30
      • 2. 애착에 나타난 갈등과 불안정의 근원 탐색 35
      • 1) 신뢰경험의 반복과 상호작용 경험 36
      • 2) 정서적 가용성에 대한 양극적 긴장 40
      • 3) 애착의 상호적인 적응과정과 긴장 45
      • 3. 애착행동의 변화와 안정감 확보의 변화 49
      • 1) 발달에 따른 애착행동 설정목표와 변화 49
      • 2) 불안정과 애착에 대한 역기능의 문제 55
      • 3) 안전기지로써의 애착대상과 기독상담신학적 상관성 59
      • 제3장 분리개별화의 불안정과 양가적 경향성의 긴장과 변화 ; 말러(Margaret S. Mahler)의 이론을 중심으로 63
      • 1. 불안정한 경험과 자율성 63
      • 1) 공생단계의 융합과 안정경험 63
      • 2) 분리와 거절의 주도권과 불안 69
      • 3) 대상의 부재와 자율성 침해의 불안정 73
      • 2. 대상과의 관계에 나타난 갈등과 불안정의 근원 탐색 77
      • 1) 융합경험과 분리경험의 긴장 77
      • 2) 최적의 관계지향과 양가적 태도 81
      • 3) 대상과의 관계변화 과정과 중간현상 84
      • 3. 대상과의 관계변화와 분리-개별화 88
      • 1) 정서적 대상항상성과 개별성 88
      • 2) 대상과의 관계와 애착에 대한 비평적 관점 94
      • 3) 분리와 거절에 대한 기독상담신학적 상관성 100
      • 제4장 불안정경험에 대한 기독상담신학적 의의 104
      • 1. 실존적 불안과 초월성에 관한 기독상담신학적 관점 104
      • 1) 타율성과 소외된 자기의 불안정과 위협 104
      • 2) 자율성과 비존재의 불안정과 갈등 108
      • 3) 타율성과 자율성의 긴장과 기독상담신학적 관점 113
      • 2. 불안정애착에 관한 기독상담신학적 관점 118
      • 1) 불안정애착과 타율성의 신율적 상관성 118
      • 2) 애착의 양극적 갈등과 존재론적 용기의 상관성 123
      • 3) 애착행동과 안정감 확보에 대한 신율적 상관성 128
      • 3. 분리개별화의 불안정한 양가성에 관한 기독상담신학적 관점 131
      • 1) 대상과의 관계와 자율성의 신율적 상관성 132
      • 2) 양가적 태도의 긴장과 일부로서의 참여와 자기통합 136
      • 3) 정서적 대상항상성과 새로운 존재지향의 상관성 140
      • 4. 기독상담신학적 관점으로 보는 불안정경험 145
      • 1) 존재의 모호성과 새로운 존재지향의 신율성 145
      • 2) 애착과 대상과의 관계에서의 불안정경험과 신율적 성찰 149
      • 3) 불안정경험과 기독교신앙에 대한 신율적 성찰 154
      • 제5장 결론 162
      • 참고문헌 165
      • 국문초록 172
      • 영문초록 1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