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창원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방도시의 경우 도시공원에 있어서 도시자연공원의 비중이 높은 것을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도시민이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도시자연녹지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47859
진주 :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경상대학교 대학원 , 도시공학과 도시계획 , 2010. 2
2010
한국어
경상남도
viii, 75 p. ; 26 cm
지도교수: 김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창원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방도시의 경우 도시공원에 있어서 도시자연공원의 비중이 높은 것을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도시민이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도시자연녹지에 ...
현재 창원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방도시의 경우 도시공원에 있어서 도시자연공원의 비중이 높은 것을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도시민이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도시자연녹지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도시민이 일상생활에서 영위하는 근린공원, 주제공원 등에 대한 정비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도시공원에 대한 정책은 시정부차원의 마스터플랜(기본계획)의 수립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창원시를 비롯해서 지자체를 쾌적하고, 특성화 시키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도시공원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이는 도시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생활의 영위와 지역경제를 이끌어가는 기업 모두를 위한 전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국내외 도시공원의 사례와 현황을 바탕으로 도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물리적 환경측면의 계획 및 정책이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삶의 질을 충족하기 위한 수단인 도시공원정비는 매우 중요한 입지에 있다고 하겠다.
물론 양적으로 풍부한 도시공원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특색을 반영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함으로서 도시민이 자주 이용하고 즐길 수 있는 공원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 살펴본 다양한 주제공원의 특색을 지자체에 적용한다면 도시공원으로 인한 파급효과가 클 것을 보인다.
특히, 다양한 주제공원의 조성은 도시를 살아가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도시정책의 일환이며 이에 대한 수요파악이 중요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한계적으로 사례와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쳐 실질적으로 주민이 원하는 도시공원의 상과 개발 방향에 대한 모색이 부족하였으며, 향후 정책반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선행 작업을 실시하여 보다 실질적인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또한 기본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물리적인 측면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논문이 진행이 되어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는 녹색성장과 지자체별로 많?관심을 두고 있는 도시재생과 건강도시 등의 새로운 개념의 도입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점이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도시환경 요인으로서의 도시공원을 접근하였다는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주민조사를 통한 계획의 신뢰도를 높이고 국내 도시공원과 관련된 정책의 모색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park-green in Changwon, searches for the problems and gropes the green policy for a sustainable urban park. The problems of urban park-green in Changwon is greatly two. The first, those of production,...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park-green in Changwon, searches for the problems and gropes the green policy for a sustainable urban park. The problems of urban park-green in Changwon is greatly two. The first, those of production, use of urban park-green. The second, those of the policy(management) of urban park-gree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green policy for a sustainable urban park. The enlargement of total amount of urban park-green. The establishment of urban park-green network. The improvement of necessary law and institution for these. The green insurance through a citizen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the open space policy which has focused on official urban parks under the urban planing law and the urban park law. First, they recognize the roles of open spaces as residents' emotion purification(psychologistic utility)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Secondly, they have used the open spaces for psychologistic, emotional consolation, such as, liberation sentiments, clear airs and natural scenes, rather than a social purpose, such as, sports, recreations, games and friendly relations. Finally, they prefers near community open spaces, though a small, natural and naive one to remote huge ones with many artificial facilities. Hence, th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a sustainable open space policy based on the residents' cognitions and needs with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e, history and cul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