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자질에 관한 연구 : 3선 연임한 시장,군수,구청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eadership Traits of the Local Government Lea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38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이 갖는 역할구조를 정리하고 성공적 리더(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분석 정리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자질 특성을 자치단체별(군수, 시장, 구청장)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삼선에 성공한 기초자치단체장들이 갖는 리더십 자질의 특성을 유형화 하고 이들 유형별로 리더의 자질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들이 갖는 리더십 유형과 자질을 분석하였다.
      성공한 기초자치단체장의 자질분석결과 이들이 중요하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질로는 추진력이 가장 중요한 자질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신뢰성, 공정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외에 친화력, 포용력, 판단력 등으로 분석되었다. 즉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들은 추진력과 신뢰성 그리고 공정성을 기본적 자질로 갖춘 자치단체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외에도 친화력이나 포용력 등이 주요한 자질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을 총괄적으로 정리해보면,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이 되기 위해서는 통합을 위한 설득력을 갖추어야 하며, 이는 주민들의 다양한 의사와 갈등을 봉합하고 이를 포용할 수 있는 자질이다. 또한 주민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책임감이 가장 중요한 자질이다. 이외에 강한 신념을 갖고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리더의 추진력과 일처리의 공정성이나 청렴성이 중요한 자질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이 갖는 역할구조를 정리하고 성공적 리더(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분석 정리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기초자치단...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이 갖는 역할구조를 정리하고 성공적 리더(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분석 정리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자질 특성을 자치단체별(군수, 시장, 구청장)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삼선에 성공한 기초자치단체장들이 갖는 리더십 자질의 특성을 유형화 하고 이들 유형별로 리더의 자질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들이 갖는 리더십 유형과 자질을 분석하였다.
      성공한 기초자치단체장의 자질분석결과 이들이 중요하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질로는 추진력이 가장 중요한 자질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신뢰성, 공정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외에 친화력, 포용력, 판단력 등으로 분석되었다. 즉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들은 추진력과 신뢰성 그리고 공정성을 기본적 자질로 갖춘 자치단체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외에도 친화력이나 포용력 등이 주요한 자질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을 총괄적으로 정리해보면,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이 되기 위해서는 통합을 위한 설득력을 갖추어야 하며, 이는 주민들의 다양한 의사와 갈등을 봉합하고 이를 포용할 수 있는 자질이다. 또한 주민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책임감이 가장 중요한 자질이다. 이외에 강한 신념을 갖고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리더의 추진력과 일처리의 공정성이나 청렴성이 중요한 자질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he meaningful implication in clearing the role structure in head of local government and analyzing and arranging the traits required for successful leader (head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each local government (county commissioner, mayor, and chief of gu distric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quality of successful leaders of local government. For the foregoing purpose, this study aims at formu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with three consecutive terms and at analyzing the qualified characteristics of leaders for each type.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leadership type and qualification of the successful head of local government were interpreted and selcted ou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qualifications of the successful heads of local government, 'the driving force' is the most important trait as the qualification emphasized of its importance, followed by 'the trust' and 'the fairness'. In addition, there are affinity, generosity, discretion and others. In other words, the successful heads of local governments are shown to have the driving force, the reliability and the fairness as the fundamental qualification together with affinity and generosity.
      In comprehensive overview of analysis, in order to be a successful head of local government, the candidates are to be equipped with the persuasive force for integration, and this is the qualification to seal off various opin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local residents and embrace them all. In additio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o bring the reliability to the resident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And it was analyzed to be the important qualification for the driving force to solve the issues with strong conviction as well as the fairness of work process and the integrity thereof.
      번역하기

      This study has the meaningful implication in clearing the role structure in head of local government and analyzing and arranging the traits required for successful leader (head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each loca...

      This study has the meaningful implication in clearing the role structure in head of local government and analyzing and arranging the traits required for successful leader (head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each local government (county commissioner, mayor, and chief of gu distric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quality of successful leaders of local government. For the foregoing purpose, this study aims at formu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of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with three consecutive terms and at analyzing the qualified characteristics of leaders for each type.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leadership type and qualification of the successful head of local government were interpreted and selcted ou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qualifications of the successful heads of local government, 'the driving force' is the most important trait as the qualification emphasized of its importance, followed by 'the trust' and 'the fairness'. In addition, there are affinity, generosity, discretion and others. In other words, the successful heads of local governments are shown to have the driving force, the reliability and the fairness as the fundamental qualification together with affinity and generosity.
      In comprehensive overview of analysis, in order to be a successful head of local government, the candidates are to be equipped with the persuasive force for integration, and this is the qualification to seal off various opin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local residents and embrace them all. In additio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o bring the reliability to the resident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And it was analyzed to be the important qualification for the driving force to solve the issues with strong conviction as well as the fairness of work process and the integrity thereo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3
      • 제2장 지방자치단체장의 자질과 리더십이론고찰 5
      • 제1장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3
      • 제2장 지방자치단체장의 자질과 리더십이론고찰 5
      • 제1절 리더십의 이론적 고찰 5
      • 1. 리더십의 정의 5
      • 2. 신경향 리더십 이론 8
      • 3. 리더십 필요성의 인식 19
      • 제2절 리더십 연구의 이론적 접근방법 21
      • 1. 자질론적 접근방법 21
      • 2. 행태론적 접근방법 23
      • 3. 상황론적 접근방법 25
      • 제3절 지방자치단체장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논의 27
      • 1. 지방자치단체장 지위와 성격 27
      • 2.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30
      • 3. 지방자치단체장의 자질 32
      • 4. 지방자치단체장 리더십의 의의 35
      • 5. 지방자치단체장 리더십의 선행연구고찰 37
      • 6.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고찰 39
      • 제3장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45
      • 1. Quinn의 통합적 관점 모형 45
      • 2. 인구통계학적 및 리더십 유형 분석 48
      • 3. 리더의 자질분석 48
      • 제4장 성공적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 분석 51
      • 제1절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일반적 특성 분석 51
      • 1.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지역별 분석 51
      • 2.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연령별 분석 53
      • 3.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학력별 분석 54
      • 4.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경력별 분석 55
      • 제2절 3선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 유형 분석 57
      • 1. 3선 연임 시장의 리더유형 분석 57
      • 2. 3선 연임 군수의 리더유형 분석 59
      • 3. 3선 연임 구청장의 리더유형 분석 61
      • 4. 3선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 유형분석 63
      • 제3절 3선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 자질 66
      • 1. 3선 연임 시장의 자질 분석 66
      • 2. 3선 연임 군수의 자질 분석 68
      • 3. 3선 연임 구청장의 자질 분석 70
      • 4. 3선 연임 기초자치단체장이 주장하는 자질분석결과 72
      • 5. 기초자치단체장 리더십의 완전성 자질분석 74
      • 제5장 결 론 76
      • 참고문헌 79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