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뉴스 리터러시의 개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497949
2021
Korean
569
KCI등재
학술저널
23-30(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선,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2 이재원,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이화사회과학원 32 (32): 171-206, 2016
3 박재현, "성인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한국작문학회 (35) : 7-38, 2017
4 김용덕,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델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85-908, 2020
5 정혜승,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49-172, 2008
6 양길석,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639-664, 2020
7 원숙경, "디지털 시대의 뉴스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1 (11): 101-111, 2016
8 김학실,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0 (30): 153-180, 2020
9 옥현진, "국제 문식성 평가 분석을 통한 문식성 교육 시사점 탐색-PIRLS, PISA, PIAAC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49) : 73-103, 2014
10 이정미, "가짜뉴스의 시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보편적 리터러시의 구축 및 제공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5 (55): 85-106, 2021
1 정현선,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2 이재원,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이화사회과학원 32 (32): 171-206, 2016
3 박재현, "성인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한국작문학회 (35) : 7-38, 2017
4 김용덕,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델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85-908, 2020
5 정혜승,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49-172, 2008
6 양길석, "디지털 활동 양상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관계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639-664, 2020
7 원숙경, "디지털 시대의 뉴스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1 (11): 101-111, 2016
8 김학실,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0 (30): 153-180, 2020
9 옥현진, "국제 문식성 평가 분석을 통한 문식성 교육 시사점 탐색-PIRLS, PISA, PIAAC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49) : 73-103, 2014
10 이정미, "가짜뉴스의 시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보편적 리터러시의 구축 및 제공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5 (55): 85-106, 2021
11 임상수, "‘가짜 뉴스’와 팩트체크 문제에서 정보윤리 책무성 강화의 필요성과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127-154, 2020
12 Statistics Korea, "Registration status of periodicals"
13 Joint of related ministries of Korea, "Press release: ‘Digital world without exclusion’ blueprint confirmed" South Korea Policy
14 OECD, "OECD skills outlook: First resul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OECD Publishing 2013
15 J. Yang, "News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support system" Communication Books 2015
16 Korea Press Foundation, "Media users in Korea 2020" Korea Press Foundation 2020
17 S. Yang, "Digital society a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ooks 2014
18 K. Kim, "Digital media literacy" Hanulmplus 2018
사회복지 이용시설의 서비스 질이 시설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 시설 이미지, 이용자 충성도, 시설만족도 병렬 삼중매개 효과분석
개방형 혁신이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3단계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추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2-06-01 | 평가 | 등재학술지 취소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3-2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9 | 1.59 | 1.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5 | 1.34 | 1.61 | 0.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