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6년, 2017년 4월, 6월, 8월, 10월(11월)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2019년에는 3월부터 12월까지, 그리고 2020년에는 3월에서 8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조사기간 동안 ...
본 연구는 2016년, 2017년 4월, 6월, 8월, 10월(11월)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2019년에는 3월부터 12월까지, 그리고 2020년에는 3월에서 8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11과 46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2016년에 9과 36종, 2017년에 8과 30종, 2018년에 7과 27종, 2019년에 8과 36종, 2020년도에 9과 32종이 확인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잉어과 어류가 60.6%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검정우럭과 어류가 38.4%가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우점종은 블루길로 36.0%가 출현하였고, 몰개, 피라미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았다.
어구에 따른 어획비율을 살펴보면, 삼각망이 전체 개체수의 89.3%, 삼중자망이 10.7%로 나타났고, 생체량은 삼각망이 60.8%, 삼중자망이 39.2%로 삼각망에서 높게 나타났다. 출현종은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각망에 채집된 어류는 11과 42종 23,331개체, 생체량은 486,855.4g이었고, 그 중 붕어망에서 10과 30종 7,09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326,874.2g이었다. 빙어망에서는 11과 40종 16,233개체, 생체량은 159,981.2g이었다.
삼중자망에 채집된 어류는 7과 32종 2,789개체, 314,260.7g이었고, 그 중 가장 큰 망목인 5절(75 mm)에서 5과 14종 553개체, 148,233.3g이었고, 두 번째로 큰 망목인 7절(50 mm)에서는 6과 18종 668개체, 생체량은 121,313.1g이고, 마지막으로 12절(27 mm) 삼중자망에서는 6과 26종 1,568개체, 44,714.2g이었다. 조사시기에 따른 어구의 망목별 어류 군집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사도 0.5 수준에서 여섯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6개의 그룹들 간의 총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3,079개체로 그룹 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A에서 개체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어류군집을 이루고 있는 각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치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붕어, 모래무지, 배스의 전장에 대한 체중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각각의 어종들의 회기계수 α는 0.000005(붕어), 0.000002(모래무지), 0.000005(배스), β는 3.2394(붕어), 3.2912(모래무지), 3.1652(배스)로 추정되었다. 붕어와 모래무지의 위 내용물은 각각 15종, 14종이 출현하였고, 두 종 모두 동물성플랑크톤의 섭식 비율이 68.6%, 77.8%를 차지하였다. 모래무지의 주요 먹이생물은 파리목(42.9%), 붕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59.0%)로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청평호에서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채집된 배스 232개체 중 암컷 125개체의 평균 전장은 303.1 mm이였으며, 전장범위는 96.0~476.0 mm이었다. 수컷 107개체의 평균 전장은 301.9 mm이었으며, 전장범위는 145.0~419.0 mm이었다. 윤문의 주기성 출현 여부 및 형성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연역지수(MI)의 월별 변화를 살펴보았고, 윤문 연역지수를 통해 배스 이석의 윤문은 8월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된 표본의 연령은 1세에서 6세로, 3세가 138 개체로 가장 많았다. 암∙수 전체에 대한 윤문별 평균 윤경은 r1 = 1288.33 ㎛에서 r7 = 5488.85로 나타났고, 이석반경(R)과 전장(TL)의 관계식은 암컷은 TL = 0.0845R-56.926 (r2 = 0.90), 수컷은 TL = 0.0715R-4.84 (r2 = 0.70)로 나타났으며, 암·수 전체의 관계식은 TL = 0.0797R-38.349 (r2 = 0.90) 이었다. 암·수 전체에 대한 성장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 전장(L∞)이 632.5 mm, 성장계수(K)는 0.18/year, 체장이 0일 때의 이론적 연령(t0)은 0.36 years이었다.
청평호에서 수산자원조사를 이용한 직접자원조사 생산량을 살펴보면 484.2 kg의 총 생산량 중 2016년에 가장 많은 어획량을 보였고, 170.4 kg의 생산량을 보였다. 연도별 생산량은 매년 증감이 있었고, 최근 조사인 2020년 123.9 kg으로 2019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어업인을 통해 어획실태조사 자료를 작성하여 월별로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 9월, 10월로 갈수록 어획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동절기로 들어가는 11월에 213.8 kg, 12월에 71.5 kg으로 감소하였다. 청평호에서 어법별 단위노력당 어획량을 알아보기 위해 2019년에 청평호에서 어업을 하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어업실태조사표를 작성하였고, 직접자원조사와 비교를 하였다. 어업실태조사표를 분석한 결과 삼각망어업은 4월과 5월에 각각 7.7 kg/day, 6.9 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월과 12월에 1.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은 4월에 12.4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각각 22.4 kg/day, 21.3 kg/day으로 가장 높았다. 직접자원조사에서 삼각망 어업은 5.3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1월과 12월에 0.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의 경우 3월과 12월에 3.0 kg/day, 2.7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17.5 kg/day, 16.0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수산생물의 어획량의 경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붕어의 어획량이 2017년도 3.5 kg에서 2020년 2.6 kg으로 감소하였다. 블루길의 경우 2017년도 이후 감소하다가 2020년도에 28.2 kg으로 증가하였고, 배스는 2017년 1.7 kg에서 2020년 3.3 kg으로 꾸준하게 증가하였다.
청평호 내수면어업은 경제성 어종의 자원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종 관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내수면어업 관리가 필요하였다. 특히 자율관리공동체 또는 내수면 어업계별로 어획실태조사표, 어업별 조업량 및 생산실적 현황을 보고 받아 장기간의 통계자료를 확보한다면 내수면어업의 자원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