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평호 수산자원의 특성 및 관리방안 = The characteristics of fishery resources for management strategies in Cheonpyeong La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93306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수산과학과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39.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213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한경호

      • UCI식별코드

        I804:24010-000000063841

      • 소장기관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April, June, August and October(or November) 2016 and 2017, and in March to December 2018 and 2019, and in March to August 2020.
      In the study, a total of 46 species in 11 families were collected in the period. And 36 species in 9 families were identified in 2016, 30 species of 8 families in 2017, 27 species of 7 families in 2018, 36 species of 8 families in 2019, and 32 species of 9 families in 2020.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Cyprinidae with 60.6% of the total, and sub-dominant was Centrarchidae with 38.4%. The dominant species of the highest frequency was Lepomis macrochirus with 36.0%, followed by Squalidus japonicus Koreanus and Zacco platypus.
      In the frequency of individuals by fishing gears, the fyke net occupied 89.3% of the total and the other was 10.7% by the gill net. In the case of biomass, the fyke net and gill net occupied 60.8% and 39.2% of the total. The fish composition showed the difference at the fishing gear, and individuals and biomass of species indicated the increase as the mesh size decreased. The fish collected in the fyke net had 11 families and 42 species of 23,331 individuals and 486,855.4g in a biomass, of which 10 families and 30 species of 7,098 individuals appeared in the fyke net (25 mm), with a biomass of 326,874.2g. In the fyke net (10 mm), 11 families and 40 species of 16,233 individuals appeared, and their biomass was 159,981.2g.
      The fish collected in the gill net were 7 families and 32 species of 2,789 individuals and 314,260.7g in the biomass, of which the largest mesh size(75 mm) net had 5 families and 14 species of 553 individuals, and 148,233.3g in the biomass. The second one(50 mm) had 6 families and 18 species of 533 individuals, and 121,313.1g. The last one(27 mm) had 6 families and 26 species of 1,568 individuals and 44,714.2g. Being based on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 to mesh size of fishing gear, the result of similarity analysis was divided into 6 groups(0.5 at the level of similarity). The number of total individuals among the 6 group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Group C with 23,079, and the lowest in Group A.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fishery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conduct the research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that forms a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TL) and body weight(BW) of Carassius carassius, Pseudogobio esocinus and Micropterus salmoides, regression coefficient α was estimated at 0.000005, 0.000002 and 0.000005. And the parameter β was estimated at 3.2394, 3.2912 and 3.1652, respectively. The stomach contents of Carassius carassius and Pseudogobio esocinus contained preys of 15 and 14 species, with the ratio of zooplankton being 68.6% and 77.8%. Carassius carassius and Pseudogobio esocinus mainly feed on Copepoda(59.0%) and Diptera(42.9%), repectively.
      Of the 232 Micropterus salmoides collected from April to December in 2017, the average TL for 125 females was 303.1 mm, with a range of 96.0 to 476.0 mm. The average TL for 107 males was 301.9 mm, with a range of 145.0~419.0 mm. The monthly change in the marginal index(MI) was examined to check the formative period of a ring, and MI of Micropterus salmoides showed that a ring was formed in August.
      The observed age range of samples was 1 to 6 years old, and the most number of 138 individuals was found in 3 years old group. The average radius at age of both female and male was r1 = 1288.33 ㎛ and r7 = 5488.85.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olith radius(R) and TL, the results indicated TL = 0.0845R-56.926 (r2 = 0.90) in female group, and TL = 0.0715R-4.84 (r2 = 0.70) in male group. The growth parameters for both female and male were 632.5 mm in theoretical maximum length(L∞), 0.18/year in growth coefficient(K), and theoretical age(t0) was 0.36 years, assuming that the length was 0.
      Of the total biomass in the survey period with 484.2 kg, the biomass in 2016 was 170.4kg, the highest catch. Annual catch had fluctuated in the period. The catch of 2020 being the latest survey, increased to 123.9kg, compared to that of 2019. The result of analysis for monthly catch data collected by fishermen showed that the catch of September and October was steadily increased. However, the catch in winter season dropped to 213.8 kg in November and 71.5 kg in December.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tch per unit effort(CPUE) at a fishing gear in 2019, the direct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the data collected by fishermen.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CPUE of fyke net was the highest at 7.7 kg/day and 6.9 kg/day in April and May, and the lowest at 1.3 kg/day in September and December. CPUE of gill net was the lowest at 12.4 kg/day in April, while the highest was 22.4 kg/day and 21.3 kg/day in September and October, respectively. In the direct survey, the catch of fyke net was the highest at 5.3 kg/day, and the lowest at 0.3 kg/day in November and December. In the case of gill net, the lowest catch was 3.0 kg/day and 2.7 kg/day in March and December, while the highest catch was 17.5 kg/day and 16.0 kg/day in September and October.
      Among the species with a high catch, the catch of Carassius carassius which occupied the highest value had decreased from 3.5 kg in 2017 to 2.6 kg in 2020. The catch of Lepomis macrochirus highly increased 28.2 kg in 2020. The catch of Micropterus salmoides had steadily increased from 1.7 kg in 2017 to 3.3 kg in 2020.
      Inland fishery in Cheongpyeong lake showed the catch of commercial fishery resources gradually decreased and more systematic management through exotic species management was needed. In particular, long-term statistical data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inland fishery if reports on catch by fishing gear as well as catch at species are collected by fishermen community.
      번역하기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April, June, August and October(or November) 2016 and 2017, and in March to December 2018 and 2019, and in March to August 2020. In the study, a total of 46 species in 11 families were collected in the period. And ...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April, June, August and October(or November) 2016 and 2017, and in March to December 2018 and 2019, and in March to August 2020.
      In the study, a total of 46 species in 11 families were collected in the period. And 36 species in 9 families were identified in 2016, 30 species of 8 families in 2017, 27 species of 7 families in 2018, 36 species of 8 families in 2019, and 32 species of 9 families in 2020.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Cyprinidae with 60.6% of the total, and sub-dominant was Centrarchidae with 38.4%. The dominant species of the highest frequency was Lepomis macrochirus with 36.0%, followed by Squalidus japonicus Koreanus and Zacco platypus.
      In the frequency of individuals by fishing gears, the fyke net occupied 89.3% of the total and the other was 10.7% by the gill net. In the case of biomass, the fyke net and gill net occupied 60.8% and 39.2% of the total. The fish composition showed the difference at the fishing gear, and individuals and biomass of species indicated the increase as the mesh size decreased. The fish collected in the fyke net had 11 families and 42 species of 23,331 individuals and 486,855.4g in a biomass, of which 10 families and 30 species of 7,098 individuals appeared in the fyke net (25 mm), with a biomass of 326,874.2g. In the fyke net (10 mm), 11 families and 40 species of 16,233 individuals appeared, and their biomass was 159,981.2g.
      The fish collected in the gill net were 7 families and 32 species of 2,789 individuals and 314,260.7g in the biomass, of which the largest mesh size(75 mm) net had 5 families and 14 species of 553 individuals, and 148,233.3g in the biomass. The second one(50 mm) had 6 families and 18 species of 533 individuals, and 121,313.1g. The last one(27 mm) had 6 families and 26 species of 1,568 individuals and 44,714.2g. Being based on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 to mesh size of fishing gear, the result of similarity analysis was divided into 6 groups(0.5 at the level of similarity). The number of total individuals among the 6 group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Group C with 23,079, and the lowest in Group A.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fishery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conduct the research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that forms a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TL) and body weight(BW) of Carassius carassius, Pseudogobio esocinus and Micropterus salmoides, regression coefficient α was estimated at 0.000005, 0.000002 and 0.000005. And the parameter β was estimated at 3.2394, 3.2912 and 3.1652, respectively. The stomach contents of Carassius carassius and Pseudogobio esocinus contained preys of 15 and 14 species, with the ratio of zooplankton being 68.6% and 77.8%. Carassius carassius and Pseudogobio esocinus mainly feed on Copepoda(59.0%) and Diptera(42.9%), repectively.
      Of the 232 Micropterus salmoides collected from April to December in 2017, the average TL for 125 females was 303.1 mm, with a range of 96.0 to 476.0 mm. The average TL for 107 males was 301.9 mm, with a range of 145.0~419.0 mm. The monthly change in the marginal index(MI) was examined to check the formative period of a ring, and MI of Micropterus salmoides showed that a ring was formed in August.
      The observed age range of samples was 1 to 6 years old, and the most number of 138 individuals was found in 3 years old group. The average radius at age of both female and male was r1 = 1288.33 ㎛ and r7 = 5488.85.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olith radius(R) and TL, the results indicated TL = 0.0845R-56.926 (r2 = 0.90) in female group, and TL = 0.0715R-4.84 (r2 = 0.70) in male group. The growth parameters for both female and male were 632.5 mm in theoretical maximum length(L∞), 0.18/year in growth coefficient(K), and theoretical age(t0) was 0.36 years, assuming that the length was 0.
      Of the total biomass in the survey period with 484.2 kg, the biomass in 2016 was 170.4kg, the highest catch. Annual catch had fluctuated in the period. The catch of 2020 being the latest survey, increased to 123.9kg, compared to that of 2019. The result of analysis for monthly catch data collected by fishermen showed that the catch of September and October was steadily increased. However, the catch in winter season dropped to 213.8 kg in November and 71.5 kg in December.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tch per unit effort(CPUE) at a fishing gear in 2019, the direct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the data collected by fishermen.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CPUE of fyke net was the highest at 7.7 kg/day and 6.9 kg/day in April and May, and the lowest at 1.3 kg/day in September and December. CPUE of gill net was the lowest at 12.4 kg/day in April, while the highest was 22.4 kg/day and 21.3 kg/day in September and October, respectively. In the direct survey, the catch of fyke net was the highest at 5.3 kg/day, and the lowest at 0.3 kg/day in November and December. In the case of gill net, the lowest catch was 3.0 kg/day and 2.7 kg/day in March and December, while the highest catch was 17.5 kg/day and 16.0 kg/day in September and October.
      Among the species with a high catch, the catch of Carassius carassius which occupied the highest value had decreased from 3.5 kg in 2017 to 2.6 kg in 2020. The catch of Lepomis macrochirus highly increased 28.2 kg in 2020. The catch of Micropterus salmoides had steadily increased from 1.7 kg in 2017 to 3.3 kg in 2020.
      Inland fishery in Cheongpyeong lake showed the catch of commercial fishery resources gradually decreased and more systematic management through exotic species management was needed. In particular, long-term statistical data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inland fishery if reports on catch by fishing gear as well as catch at species are collected by fishermen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6년, 2017년 4월, 6월, 8월, 10월(11월)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2019년에는 3월부터 12월까지, 그리고 2020년에는 3월에서 8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11과 46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2016년에 9과 36종, 2017년에 8과 30종, 2018년에 7과 27종, 2019년에 8과 36종, 2020년도에 9과 32종이 확인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잉어과 어류가 60.6%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검정우럭과 어류가 38.4%가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우점종은 블루길로 36.0%가 출현하였고, 몰개, 피라미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았다.
      어구에 따른 어획비율을 살펴보면, 삼각망이 전체 개체수의 89.3%, 삼중자망이 10.7%로 나타났고, 생체량은 삼각망이 60.8%, 삼중자망이 39.2%로 삼각망에서 높게 나타났다. 출현종은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각망에 채집된 어류는 11과 42종 23,331개체, 생체량은 486,855.4g이었고, 그 중 붕어망에서 10과 30종 7,09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326,874.2g이었다. 빙어망에서는 11과 40종 16,233개체, 생체량은 159,981.2g이었다.
      삼중자망에 채집된 어류는 7과 32종 2,789개체, 314,260.7g이었고, 그 중 가장 큰 망목인 5절(75 mm)에서 5과 14종 553개체, 148,233.3g이었고, 두 번째로 큰 망목인 7절(50 mm)에서는 6과 18종 668개체, 생체량은 121,313.1g이고, 마지막으로 12절(27 mm) 삼중자망에서는 6과 26종 1,568개체, 44,714.2g이었다. 조사시기에 따른 어구의 망목별 어류 군집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사도 0.5 수준에서 여섯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6개의 그룹들 간의 총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3,079개체로 그룹 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A에서 개체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어류군집을 이루고 있는 각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치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붕어, 모래무지, 배스의 전장에 대한 체중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각각의 어종들의 회기계수 α는 0.000005(붕어), 0.000002(모래무지), 0.000005(배스), β는 3.2394(붕어), 3.2912(모래무지), 3.1652(배스)로 추정되었다. 붕어와 모래무지의 위 내용물은 각각 15종, 14종이 출현하였고, 두 종 모두 동물성플랑크톤의 섭식 비율이 68.6%, 77.8%를 차지하였다. 모래무지의 주요 먹이생물은 파리목(42.9%), 붕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59.0%)로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청평호에서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채집된 배스 232개체 중 암컷 125개체의 평균 전장은 303.1 mm이였으며, 전장범위는 96.0~476.0 mm이었다. 수컷 107개체의 평균 전장은 301.9 mm이었으며, 전장범위는 145.0~419.0 mm이었다. 윤문의 주기성 출현 여부 및 형성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연역지수(MI)의 월별 변화를 살펴보았고, 윤문 연역지수를 통해 배스 이석의 윤문은 8월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된 표본의 연령은 1세에서 6세로, 3세가 138 개체로 가장 많았다. 암∙수 전체에 대한 윤문별 평균 윤경은 r1 = 1288.33 ㎛에서 r7 = 5488.85로 나타났고, 이석반경(R)과 전장(TL)의 관계식은 암컷은 TL = 0.0845R-56.926 (r2 = 0.90), 수컷은 TL = 0.0715R-4.84 (r2 = 0.70)로 나타났으며, 암·수 전체의 관계식은 TL = 0.0797R-38.349 (r2 = 0.90) 이었다. 암·수 전체에 대한 성장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 전장(L∞)이 632.5 mm, 성장계수(K)는 0.18/year, 체장이 0일 때의 이론적 연령(t0)은 0.36 years이었다.
      청평호에서 수산자원조사를 이용한 직접자원조사 생산량을 살펴보면 484.2 kg의 총 생산량 중 2016년에 가장 많은 어획량을 보였고, 170.4 kg의 생산량을 보였다. 연도별 생산량은 매년 증감이 있었고, 최근 조사인 2020년 123.9 kg으로 2019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어업인을 통해 어획실태조사 자료를 작성하여 월별로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 9월, 10월로 갈수록 어획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동절기로 들어가는 11월에 213.8 kg, 12월에 71.5 kg으로 감소하였다. 청평호에서 어법별 단위노력당 어획량을 알아보기 위해 2019년에 청평호에서 어업을 하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어업실태조사표를 작성하였고, 직접자원조사와 비교를 하였다. 어업실태조사표를 분석한 결과 삼각망어업은 4월과 5월에 각각 7.7 kg/day, 6.9 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월과 12월에 1.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은 4월에 12.4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각각 22.4 kg/day, 21.3 kg/day으로 가장 높았다. 직접자원조사에서 삼각망 어업은 5.3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1월과 12월에 0.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의 경우 3월과 12월에 3.0 kg/day, 2.7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17.5 kg/day, 16.0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수산생물의 어획량의 경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붕어의 어획량이 2017년도 3.5 kg에서 2020년 2.6 kg으로 감소하였다. 블루길의 경우 2017년도 이후 감소하다가 2020년도에 28.2 kg으로 증가하였고, 배스는 2017년 1.7 kg에서 2020년 3.3 kg으로 꾸준하게 증가하였다.
      청평호 내수면어업은 경제성 어종의 자원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종 관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내수면어업 관리가 필요하였다. 특히 자율관리공동체 또는 내수면 어업계별로 어획실태조사표, 어업별 조업량 및 생산실적 현황을 보고 받아 장기간의 통계자료를 확보한다면 내수면어업의 자원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6년, 2017년 4월, 6월, 8월, 10월(11월)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2019년에는 3월부터 12월까지, 그리고 2020년에는 3월에서 8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조사기간 동안 ...

      본 연구는 2016년, 2017년 4월, 6월, 8월, 10월(11월)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2019년에는 3월부터 12월까지, 그리고 2020년에는 3월에서 8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11과 46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2016년에 9과 36종, 2017년에 8과 30종, 2018년에 7과 27종, 2019년에 8과 36종, 2020년도에 9과 32종이 확인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잉어과 어류가 60.6%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검정우럭과 어류가 38.4%가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우점종은 블루길로 36.0%가 출현하였고, 몰개, 피라미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았다.
      어구에 따른 어획비율을 살펴보면, 삼각망이 전체 개체수의 89.3%, 삼중자망이 10.7%로 나타났고, 생체량은 삼각망이 60.8%, 삼중자망이 39.2%로 삼각망에서 높게 나타났다. 출현종은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각망에 채집된 어류는 11과 42종 23,331개체, 생체량은 486,855.4g이었고, 그 중 붕어망에서 10과 30종 7,09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326,874.2g이었다. 빙어망에서는 11과 40종 16,233개체, 생체량은 159,981.2g이었다.
      삼중자망에 채집된 어류는 7과 32종 2,789개체, 314,260.7g이었고, 그 중 가장 큰 망목인 5절(75 mm)에서 5과 14종 553개체, 148,233.3g이었고, 두 번째로 큰 망목인 7절(50 mm)에서는 6과 18종 668개체, 생체량은 121,313.1g이고, 마지막으로 12절(27 mm) 삼중자망에서는 6과 26종 1,568개체, 44,714.2g이었다. 조사시기에 따른 어구의 망목별 어류 군집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사도 0.5 수준에서 여섯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6개의 그룹들 간의 총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3,079개체로 그룹 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A에서 개체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어류군집을 이루고 있는 각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치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붕어, 모래무지, 배스의 전장에 대한 체중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각각의 어종들의 회기계수 α는 0.000005(붕어), 0.000002(모래무지), 0.000005(배스), β는 3.2394(붕어), 3.2912(모래무지), 3.1652(배스)로 추정되었다. 붕어와 모래무지의 위 내용물은 각각 15종, 14종이 출현하였고, 두 종 모두 동물성플랑크톤의 섭식 비율이 68.6%, 77.8%를 차지하였다. 모래무지의 주요 먹이생물은 파리목(42.9%), 붕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59.0%)로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청평호에서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채집된 배스 232개체 중 암컷 125개체의 평균 전장은 303.1 mm이였으며, 전장범위는 96.0~476.0 mm이었다. 수컷 107개체의 평균 전장은 301.9 mm이었으며, 전장범위는 145.0~419.0 mm이었다. 윤문의 주기성 출현 여부 및 형성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연역지수(MI)의 월별 변화를 살펴보았고, 윤문 연역지수를 통해 배스 이석의 윤문은 8월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된 표본의 연령은 1세에서 6세로, 3세가 138 개체로 가장 많았다. 암∙수 전체에 대한 윤문별 평균 윤경은 r1 = 1288.33 ㎛에서 r7 = 5488.85로 나타났고, 이석반경(R)과 전장(TL)의 관계식은 암컷은 TL = 0.0845R-56.926 (r2 = 0.90), 수컷은 TL = 0.0715R-4.84 (r2 = 0.70)로 나타났으며, 암·수 전체의 관계식은 TL = 0.0797R-38.349 (r2 = 0.90) 이었다. 암·수 전체에 대한 성장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 전장(L∞)이 632.5 mm, 성장계수(K)는 0.18/year, 체장이 0일 때의 이론적 연령(t0)은 0.36 years이었다.
      청평호에서 수산자원조사를 이용한 직접자원조사 생산량을 살펴보면 484.2 kg의 총 생산량 중 2016년에 가장 많은 어획량을 보였고, 170.4 kg의 생산량을 보였다. 연도별 생산량은 매년 증감이 있었고, 최근 조사인 2020년 123.9 kg으로 2019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어업인을 통해 어획실태조사 자료를 작성하여 월별로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 9월, 10월로 갈수록 어획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동절기로 들어가는 11월에 213.8 kg, 12월에 71.5 kg으로 감소하였다. 청평호에서 어법별 단위노력당 어획량을 알아보기 위해 2019년에 청평호에서 어업을 하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어업실태조사표를 작성하였고, 직접자원조사와 비교를 하였다. 어업실태조사표를 분석한 결과 삼각망어업은 4월과 5월에 각각 7.7 kg/day, 6.9 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월과 12월에 1.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은 4월에 12.4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각각 22.4 kg/day, 21.3 kg/day으로 가장 높았다. 직접자원조사에서 삼각망 어업은 5.3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1월과 12월에 0.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의 경우 3월과 12월에 3.0 kg/day, 2.7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17.5 kg/day, 16.0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수산생물의 어획량의 경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붕어의 어획량이 2017년도 3.5 kg에서 2020년 2.6 kg으로 감소하였다. 블루길의 경우 2017년도 이후 감소하다가 2020년도에 28.2 kg으로 증가하였고, 배스는 2017년 1.7 kg에서 2020년 3.3 kg으로 꾸준하게 증가하였다.
      청평호 내수면어업은 경제성 어종의 자원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종 관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내수면어업 관리가 필요하였다. 특히 자율관리공동체 또는 내수면 어업계별로 어획실태조사표, 어업별 조업량 및 생산실적 현황을 보고 받아 장기간의 통계자료를 확보한다면 내수면어업의 자원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 List of Table ⅲ
      • List of Figure ⅵ
      • 국 문 초 록 xiii
      • 목 차 ⅰ
      • List of Table ⅲ
      • List of Figure ⅵ
      • 국 문 초 록 xiii
      • Ⅰ. 서 론 1
      • 1.1. 내수면 생태계 정의 1
      • 1.2. 내수면 어업의 중요성 2
      • 1.3. 내수면어업 현황 2
      • 1.4. 연구목적 3
      • Ⅱ. 청평호 어류의 조사어구별 어획특성 4
      • 1. 서 론 4
      • 2. 재료 및 방법 7
      • 2.1. 조사기간 7
      • 2.2. 조사방법 10
      • 2.3 미동정 자치어 분석 12
      • 3. 결 과 13
      • 3.1 난자치어조사 13
      • 3.2 연도별 출현종수 및 우점종 14
      • 3.3 월별 출현종수 및 생체량 16
      • 3.4 월별 생태계지수 변화 28
      • 3.5 조사어구별 출현종수 및 개체수 우점종 30
      • 3.6 조사어구별 군집분석 33
      • 3.7 군집그룹별 종기여도 분석 35
      • 3.8 군집그룹별 과별 및 평균 출현종수 37
      • 3.9 군집그룹별 과별 주요종 40
      • 3.10 주요 수산자원 조사어구별 체장빈도 42
      • 4. 고 찰 47
      • Ⅲ. 청평호 주요 수산자원의 생태학적 연구 53
      • 1. 서 론 53
      • 2. 재료 및 방법 55
      • 3. 결 과 57
      • 3.1 붕어(Carassius auratus)의 생태학적 특성 연구 57
      • 1) 연구목적 57
      • 2) 재료 및 방법 58
      • 3) 결 과 59
      • (1) 전장분포 및 연령 추정 59
      • (2) 산란 참여 전장 63
      • (3) 월별 GSI 및 HSI 변화 65
      • (4) 섭식특징 68
      • (5) 월별·크기별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 71
      • 4) 고 찰 74
      • 3.2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의 생태학적 특성 연구 76
      • 1) 연구목적 76
      • 2) 재료 및 방법 77
      • 3) 결 과 78
      • (1) 전장분포 및 연령 추정 78
      • (2) 월별 GSI 변화 82
      • (3) 섭식특징 84
      • (4)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 87
      • (5)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 89
      • 4) 고 찰 91
      • 3.3 배스(Micropterus salmoides)의 생태학적 특성 연구 93
      • 1) 연구목적 93
      • 2) 재료 및 방법 94
      • 3) 결 과 96
      • (1) 전장분포 96
      • (2) 월별 성숙도 변화 99
      • (3) 월별 GSI 변화 103
      • (4) 윤문의 대응성 105
      • (5) 상대성장 108
      • (6) 성장식추정 114
      • 4) 고 찰 116
      • 4. 고 찰 120
      • Ⅳ. 청평호 내수면어업의 특성 및 자원관리 연구 123
      • 1. 서 론 123
      • 2. 재료 및 방법 124
      • 3. 결 과 125
      • 3.1 주요 수산자원의 체장분포 125
      • 1) 붕어, Carassius auratus 125
      • 2)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127
      • 3.2 내수면어업 현황 129
      • 3.3 연도별·월별 내수면 어업 생산량 135
      • 3.4 청평호 내수면 어업 생산량 140
      • 3.5 어구별 어획량 및 어업별 단위노력당 어획량 144
      • 3.6 주요 유용생물 148
      • 4. 고 찰 153
      • Ⅴ. 종 합 고 찰 158
      • 참 고 문 헌 163
      • 영 문 초 록 188
      • 감 사 의 글 1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