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 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30957
1991
Korean
파밤나방 ; 두폭 ; 생장율 ; Beet armyworm ; Spodoptera exigua ; head capsule width ; growth ratio
495
KCI등재
학술저널
54-57(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 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
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 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령은 1.76이었다. 한편 두폭 평?치의 대수를 Ycnr, 령의 수를 X축으로 하여 회귀직선식을 구한 결과 LogY=-0.819+0.1872X(=)었고 Dyar의 법칙과 동일한 기하급수적 생장을 하였다. 각영기별 두폭의 평균치와 Dyar의 법칙과 적합도는 1령 유충이 94.7%, 2령은 98.3, 3령은 98.7, 5령은 94.6 6령은 92.2%었다. Dyar의 항수 (K)는 1.54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idth of head capsule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was measured on the 5th generation larvae reared with artificial diet. The mean widths of head capsule of each instar were: 1st, 0.246 mm, 2nd, 0.35 mm, 3rd, 0.546 mm, 4th, 0....
The width of head capsule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was measured on the 5th generation larvae reared with artificial diet. The mean widths of head capsule of each instar were: 1st, 0.246 mm, 2nd, 0.35 mm, 3rd, 0.546 mm, 4th, 0.809 mm, 5th, 1.242 mm, and 6th, 2.185 m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 of each instar were: 1st, 8.6, 2nd, 9.5, 3rd, 15.1, 4th, 11.2, 5th, 12.0, and 6th, 12.9. The growth ratio of each instar were: 2nd, 1.43, 3rd, 1.55, 4th, 1.48, 5th, 1.54, and 6th, 1.76. The fitness(%) to Dyar's law of the measurement of head capsule width were: 1st, 94.7, 2nd, 98.3, 3rd, 98.7, 4th, 94.8, 5th, 94.6, and 6th, 92.2. When the logarithm of the width is plotted against the number of instars, the calculated regression line is highly significient (Log Y = -0.819 + 0.1872X, = ) and Dyar's constant was 1.54.
벼멸구의 저항성 유발, 교차저항성 및 저항성 유전에 관한 연구
Fenobucarb 및 Carbofuran의 저항성 벼멸구 체벽 투과량과 체내 대사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