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의 혁신학교 만들기와 과정 중심 교육에 대한 성찰 = The Making of Innovative School in Chonbuk Province, and a Reflection on Learning-Process Oriente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68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북지역에서 이루어진 혁신학교 만들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공교육을 개혁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난 배경과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드러나는 교육관의 특징과 한계...

      이 논문은 전북지역에서 이루어진 혁신학교 만들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공교육을 개혁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난 배경과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드러나는 교육관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혁신학교는 기존의 공교육이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학업성적에 따라 학생을 서열화하는 데 그쳤다는 문제의식 아래, 학생이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배움의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교다. 혁신학교의 학력 문제를 둘러싼 보수-진보 간 대립에도 불구하고, 진보적 교육의 목표는 보수정부가 정한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지역사회가 원도심의 공동화로 인해 학생 수 감소를 겪고 있는 초등학교에 혁신적인 교육 이념 및 프로그램을 도입한 사례를 분석한다. 이 학교의 교사는 민주적, 자율적, 전문적 교사 공동체를 구축하는 한편, 학생이 즐겁게 공부하고 학부모․지역사회에 열려 있는 학교문화를 만듦으로써, 혁신 교육의 이념을 충실히 실천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시험성적으로 드러나는 배움의 결과보다 학습의 과정 자체를 중시하는 학력관을 갖게 됐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논의를 참고해,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과정 중심교육의 효과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y and how the reform movement of public education in Chonbuk Province has taken place, there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ovement. A innovative school is a school that aims to make students e...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y and how the reform movement of public education in Chonbuk Province has taken place, there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ovement. A innovative school is a school that aims to make students enjoy the process of learning through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existing public education which has done the one-way transfer of knowledge and the sequencing of students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Despite the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sects surrounding innovative schools, proponents of the schools faithfully reflect the ideals of the 2015 curriculum established by the conservative govern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hich is relatively independent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rimary school teachers try to implement a democratic, autonomous and professional teacher community by thoroughly practicing the ideology of innovation education and making the school open to parents and local community. In this process, the teachers have come to have an idea of academic achievement that emphasizes the process of learning rather than the result of learning by test scores. Based on a discussion of effective school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academic achievement oriented toward learning-process oriented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혁신학교를 둘러싼 학력저하 논쟁
      • 2.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과 현황
      • 3. 우리초등학교의 지역적 맥락
      • 4. 우리초등학교의 학교문화와 교육과정
      • [초록]
      • 1. 혁신학교를 둘러싼 학력저하 논쟁
      • 2.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과 현황
      • 3. 우리초등학교의 지역적 맥락
      • 4. 우리초등학교의 학교문화와 교육과정
      • 5. 우리초등학교 교사의 학력관
      • 6. 과정 중심 교육에 대한 성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균,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 관련 요인 탐색" 전북교육정책연구소 2017

      2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7 (37): 27-56, 2016

      3 성기선, "혁신학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33 : 121-143, 2014

      4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5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6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7 경기도교육청, "혁신교육 백서: 주민 직선 교육자치 4년의 기록" 경기도교육청 2013

      8 유경훈, "혁신 고등학교 운영과정의 특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29-261, 2014

      9 전라북도교육청 학교교육과,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성장평가제" 2016

      10 남궁상운, "학교혁신의 길, 아이들에게 묻다" 살림터 2017

      1 정재균,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 관련 요인 탐색" 전북교육정책연구소 2017

      2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7 (37): 27-56, 2016

      3 성기선, "혁신학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33 : 121-143, 2014

      4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5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6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7 경기도교육청, "혁신교육 백서: 주민 직선 교육자치 4년의 기록" 경기도교육청 2013

      8 유경훈, "혁신 고등학교 운영과정의 특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29-261, 2014

      9 전라북도교육청 학교교육과,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초등 성장평가제" 2016

      10 남궁상운, "학교혁신의 길, 아이들에게 묻다" 살림터 2017

      11 서민희,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9 (39): 1-21, 2018

      12 전라북도교육청, "전북교육통계"

      13 박승배, "전라북도 혁신학교 운동의 태동과정에 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0 (10): 1-34, 2012

      14 박근영, "전국 시․도별 혁신학교 지정 및 운영 수의 변화 추이" 297 : 37-39, 2018

      15 우리초등학교, "우리초등학교 교육과정 설명회"

      16 우리초등학교, "우리초등학교 교육과정 설명회"

      17 유혜숙, "우리시원도심교육거버넌스사업 추진사례, In 도시재생과 교육공동체 활성화 방안" 7-19, 2013

      18 우리시원도심교육거버넌스, "우리시 원도심교육거버넌스 추진을 위한 연구보고서" 2012

      19 김종표, "우리시 원도심 교육거버넌스 출범 5년 성과와 과제, In 우리시 원도심 작은 학교 활성화 방안" 7-34, 2017

      20 우리초등학교, "우리교육과정 운영계획" 2018

      21 사토 마나부, "사토 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에듀니티 2012

      22 전라북도교육청 참학력지원센터, "배움과 삶이 하나 되는 참학력" 2016

      23 Shimizu, Kokichi, "Schools that Overcome the Disparities of Academic Achievements among Children: Searching for Japanese Effective Schools" 2 : 107-124, 2007

      24 Jencks, Christopher, "Inequality: a Reassessment of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ing in America" Basic Books 1972

      25 Coleman, James Samuel,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Office of Education 1966

      26 Edmonds, Ronald, "Effective Schools for the Urban Poor" 37 : 15-24, 1979

      27 전라북도교육청 교육혁신과, "2018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기본계획" 2017

      28 전라북도교육청 교육혁신과, "2018 혁신교육 기본계획" 2018

      29 전라북도교육청 참학력지원센터, "2018 참학력 포럼: 새로운 학력과 평가" 2018

      30 서영민, "2016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 전북교육정책연구소 2016

      31 교육부,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2 온정덕,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초등학교) 개발 연구" 교육부 2015

      33 전라북도교육청 교육혁신과, "2013 전라북도 혁신학교 추진 기본계획" 2013

      34 전라북도교육청 교육진흥과, "2011 혁신학교 추진 계획" 2010

      35 전라북도교육청 교육진흥과, "2011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42 0.81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