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조대 남대문의 장소성 = Placeness of Namdaemun in Yeongjo Dynasty-From Place of Authority to Place of Pow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68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조대 남대문의 장소성 변화와 그를 통한 통치방식을 살폈다. 조선시대 남대문은 서울의 정문으로 기능하며 각종 의례가 시행되는 곳이었다. 따라서 앞 시기에는 사형이나 처벌...

      본 연구는 영조대 남대문의 장소성 변화와 그를 통한 통치방식을 살폈다. 조선시대 남대문은 서울의 정문으로 기능하며 각종 의례가 시행되는 곳이었다. 따라서 앞 시기에는 사형이나 처벌이 시행되지 않았다. 영조대에 남대문은 이전 왕들의 시기와 구분되는 장소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곳에서 헌괵례와 각종 처벌이 시행되었기 때문이다. 1728년 무신란 때 남대문에서 헌괵례가 실시되었다. 영조는 이곳에서 난이 진압되었음을 알리는 승리의식을 거행했다. 이때의 남대문은 그의 건재함과 통치가 지속될 것임을 알리는 권위의 공간이었다. 이후 『국조속오례의』에 정리되면서 헌괵의 장소로 지정되었다. 1755년 을해옥사와 임오화변이 있던 1762년 윤구연 사건을 거치면서 남대문은 권위의 공간에서 권력의 장소로 변화한다. 영조는 남대문에서 직접적인 사형과 처벌을 실시하면서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제 남대문은 사형의 장소로 그리고 상징적 처벌을 통해 視의 통치를 구현하는 장소가 되었다. 영조는 그의 권위가 실추될 때마다 헌괵의 장소에서 형을 집행하는 것을 통해 그의 권력을 직접적으로 드러냈다. 그리고 재위 후반으로 갈수록 역모뿐만 아니라 금주령이나 범야 등을 저지른 범법자를 이곳에서 처벌했다. 영조는 남대문에서 상징적 처벌을 시행하고 이를 통해 백성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는 통치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looked into changes of placeness of Namdaemun and governing ways through it. Namdaemun in the Joseon dynasty functioned as the main gate of the capital. And there, several ceremonies were held. So death penalty or other punishment was not ex...

      The study looked into changes of placeness of Namdaemun and governing ways through it. Namdaemun in the Joseon dynasty functioned as the main gate of the capital. And there, several ceremonies were held. So death penalty or other punishment was not executed there in the times before Yeongjo reign.
      Namdaemun in Yeongjo period had placeness different from the times of existing Kings. This is because Heongoikrye(獻馘禮), a ceremony to present head or left ear of a dead enemy after winning in a war) and several punishments were executed there. In the Musin(戊申) Revolt in 1728, Heongoikrye was executed at Namdaemun. Yeongjo held a ceremony to celebrate victory there, publicizing that the revolt was suppressed. Then, Namdaemun was a place of authority to make it known that he was well and his governing would be continued. After then, the ceremony was listed on Gukjosokohryeui 『國朝續五禮儀』. Namdaemun was designated as a place of Heongoikrye.
      After Eulhaeoksa(乙亥獄事) in 1755 and Yoon Gu-yeon case in 1762, Namdaemun became a place of power from a place of authority - Yimohhwabyeon(壬午禍變) took place in the same year as Yoon Gu-yeon case. Yeongjo exerted power, executing death penalty and other punishment in person at Namdaemun. So Namdaemun as a place of death penalty, became a place to realize governing of deeply seeing through symbolic punishment. Whenever authority of Yeongjo was lost, he directly disclosed his power through execution of punishment at the place Heongoikrye. And as time passed to later period of his reign, conspiracy as well as breach of prohibition of drinking or passing etc. were punished there. Yeongjo showed governing way to aroused people’s attention through symbolic punishment at Namdaemu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머리말
      • 2. 권위의 공간 : 1728년 무신란과 헌괵례
      • 3. 사형의 장소 : 1755년 을해옥사의 처형
      • 4. 視의 통치 장소 : 1762년 윤구연 참형과 그 이후
      • [초록]
      • 1. 머리말
      • 2. 권위의 공간 : 1728년 무신란과 헌괵례
      • 3. 사형의 장소 : 1755년 을해옥사의 처형
      • 4. 視의 통치 장소 : 1762년 윤구연 참형과 그 이후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배, "조선후기 정치와 괘서" 국학자료원 1999

      2 조윤선, "조선후기 영조 31년 乙亥獄事의 추이와 정치적 의미" 고려사학회 (37) : 233-263, 2009

      3 김성우, "조선시대의 감옥, 사형, 그리고 사형장의 변화" 역사문화학회 19 (19): 7-51, 2016

      4 정병설, "조선시대 대중국 역사변무의 의미" 역사문제연구소 (116) : 250-276, 2016

      5 박소영, "조선시대 금주령의 법제화 과정과 시행양상" 전북사학회 (42) : 137-166, 2013

      6 원재린, "영조대 후반 소론·남인계 동향과 탕평론의 추이" 한국역사연구회 (53) : 75-100, 2004

      7 박광용, "영조대 탕평정국과 왕정체제의 정비" 국사편찬위원회 32 : 1997

      8 심재우, "영조대 정치범 처벌을 통해 본 법과 정치 : 을해옥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41-68, 2010

      9 조상순, "영조 대 숭례문 문루의 하층 사용과 건축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1 (21): 45-54, 2012

      10 김백철, "두 얼굴의 영조" 태학사 2014

      1 이상배, "조선후기 정치와 괘서" 국학자료원 1999

      2 조윤선, "조선후기 영조 31년 乙亥獄事의 추이와 정치적 의미" 고려사학회 (37) : 233-263, 2009

      3 김성우, "조선시대의 감옥, 사형, 그리고 사형장의 변화" 역사문화학회 19 (19): 7-51, 2016

      4 정병설, "조선시대 대중국 역사변무의 의미" 역사문제연구소 (116) : 250-276, 2016

      5 박소영, "조선시대 금주령의 법제화 과정과 시행양상" 전북사학회 (42) : 137-166, 2013

      6 원재린, "영조대 후반 소론·남인계 동향과 탕평론의 추이" 한국역사연구회 (53) : 75-100, 2004

      7 박광용, "영조대 탕평정국과 왕정체제의 정비" 국사편찬위원회 32 : 1997

      8 심재우, "영조대 정치범 처벌을 통해 본 법과 정치 : 을해옥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41-68, 2010

      9 조상순, "영조 대 숭례문 문루의 하층 사용과 건축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1 (21): 45-54, 2012

      10 김백철, "두 얼굴의 영조" 태학사 2014

      11 김백철, "英祖의 義理明辯書『闡義昭鑑』 편찬과 정국변화 : 堯舜의 두 가지 얼굴, 탕평군주와 전제군주의 경계"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7-40, 2010

      12 신진혜, "英祖代 凱旋 儀禮의 整備와 그 意義" 태동고전연구소 34 : 7-41, 2015

      13 "朝鮮王朝實錄"

      14 박진, "朝鮮時代 禁酒令과 減膳의 정치적 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53) : 93-128, 2017

      15 "推案及鞫案"

      16 "承政院日記"

      17 정다함, "征伐이라는 戰爭/征伐이라는 祭祀 - 世宗代 己亥年 “東征”과 婆猪江 “野人征伐”을 중심으로 -" 고려사학회 (52) : 271-306, 2013

      18 "國朝寶鑑"

      19 이경구, "1740년(영조 16) 이후 영조의 정치 운영" 한국역사연구회 (53) : 23-4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42 0.81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