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초기 都目이 관직 운영에서 이중적 의미로 사용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관직 운영에서 도목은 정기 人事 행정을 가리키는 용어이면서, 동시에 인사 행정에 이용하는 문서를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97517
이지훈 (고려대학교)
2022
Korean
Historical bureaucracy(官制) ; official posts(官職) ; group of officials(官員群) ; Domok(都目) ; Gogwa(考課 ; an achievement) ; Geogwan(去官) ; 官制 ; 官職 ; 官員群 ; 都目 ; 考課 ; 去官
KCI등재
학술저널
7-45(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초기 都目이 관직 운영에서 이중적 의미로 사용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관직 운영에서 도목은 정기 人事 행정을 가리키는 용어이면서, 동시에 인사 행정에 이용하는 문서를 가...
본 연구는 조선초기 都目이 관직 운영에서 이중적 의미로 사용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관직 운영에서 도목은 정기 人事 행정을 가리키는 용어이면서, 동시에 인사 행정에 이용하는 문서를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두 가지 의미가 중첩된 이유를 살펴보면, 麗末鮮初 관직 운영의 제도적 기반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먼저 『經國大典』에서 도목의 용례를 구분하여 도목의 이중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당대에 도목의 의미를 정의하였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서로써 도목의 의미가 인사 행정까지 확대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중적 의미의 시작점을 알기 위하여 문서로써 도목의 의미에 주목하였다. 도목에는 職務를 바탕으로 다른 官員들과 구분한 官員群을 기재하였다. 그리고 각 관원군 안에서 개별 평가 기준에 따라 관원의 등수를 기재하였다. 이 등수는 그대로 관직 제수에 반영되었다. 이처럼 도목은 각 관원군의 ‘상대평가’ 결과를 기재한 문서였다. 도목이 일정한 관원 평가 방식을 전제한 문서였으므로, 이 문서를 이용하는 인사 행정까지 용어의 의미가 확대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목이 어떻게 정기 인사 행정까지 의미가 확대될 수 있었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도목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도목은 관원군을 구분하지만 결국 하나의 官制에 소속한 관직을 제수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관원 평가는 관원군마다 독립적으로 진행하더라도 관직 제수는 통합적으로 진행하여야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관원군 사이에 관계 설정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거관 여부와 위치로 각 관원군 사이에 관계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직접적으로 도목 작성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도목 기능을 활용한 흔적을 여말선초 관직 운영 양상에서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적어도 고려 말부터 도목이 관직 운영에 널리 활용되었고, 이는 도목의 의미가 문서에서 정기 인사 행정까지 확대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였다.
도목의 이중적 의미와 그 배경을 보면, 여말선초 관직 운영이 ‘상대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대평가’를 중심으로 하는 관직 운영은 직무의 전문성을 보장하였지만 관원군을 단위로 관원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운영 조건이 까다로웠다. 평가 주체의 관리는 제한적이었으며 직무의 분화 및 비중 변화에 유연한 대응이 어려웠다. 이와 관련한 문제가 고려 말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과 제도적 기반이 조선초기 官制 정비의 배경이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史"
2 정다함, "해방 이후 고려·조선시대사 연구에서의 관료제설, 막스 베버, 그리고 유교적 전통의 트랜스내셔널한 발명" 역사문제연구소 (137) : 6-45, 2021
3 장국종, "조선정치제도사 (2)" 백산자료원 1990
4 소순규, "조선전기 座目의 운영과당상관 인사 관행" 조선시대사학회 (94) : 81-119, 2020
5 "조선실록"
6 이지훈, "조선 초기 循資法의 정비와 운영" 역사학회 (229) : 37-84, 2016
7 남지대, "조선 건국초 인사관리제도의 성립" 5 : 1996
8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원문․역주 各司受敎" 청년사 2002
9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원문․역주 受敎輯錄" 청년사 2001
10 국민대학교박물관, "오백년 전 관청 이야기: 조선의 행정문서" 국민대학교출판부 2005
1 "金史"
2 정다함, "해방 이후 고려·조선시대사 연구에서의 관료제설, 막스 베버, 그리고 유교적 전통의 트랜스내셔널한 발명" 역사문제연구소 (137) : 6-45, 2021
3 장국종, "조선정치제도사 (2)" 백산자료원 1990
4 소순규, "조선전기 座目의 운영과당상관 인사 관행" 조선시대사학회 (94) : 81-119, 2020
5 "조선실록"
6 이지훈, "조선 초기 循資法의 정비와 운영" 역사학회 (229) : 37-84, 2016
7 남지대, "조선 건국초 인사관리제도의 성립" 5 : 1996
8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원문․역주 各司受敎" 청년사 2002
9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원문․역주 受敎輯錄" 청년사 2001
10 국민대학교박물관, "오백년 전 관청 이야기: 조선의 행정문서" 국민대학교출판부 2005
11 박준호, "예의 패턴 : 조선시대 문서 행정의 역사" 소와당 2009
12 박성호, "새로 발견된 김한계,배임 조사문서朝謝文書와 조선초기 오품이하 고신告身의 변천" 한국국학진흥원 (32) : 49-89, 2017
13 심영환, "변화와 정착 : 麗末鮮初의 朝謝文書" 민속원 2011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신"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15 박재우, "고려후기 인사행정과 인사문서에 대한 검토" 한국사연구회 (162) : 253-291, 2013
16 가와니시 유야, "고려 말 조선 초 공문서와 국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17 박재우, "고려 政案의 양식과 기초 자료 - 鄭仁卿政案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28 : 89-110, 2006
18 변태섭, "高麗政治制度史硏究" 일조각 1971
19 "高麗史節要"
20 "高麗史"
21 이정훈, "高麗前期 政治制度 硏究" 혜안 2007
22 근대사연구회, "韓國中世社會 解體期의 諸問題 (上)" 한울아카데미 1987
23 한우근, "譯註 經國大典(註釋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24 "芝峯類說"
25 "續大典"
26 "經國大典註解"
27 "經國大典"
28 "牧民心書"
29 최승희, "朝鮮初期 言論史 硏究" 지식산업사 2004
30 김송희, "朝鮮初期 堂上官 兼職制 硏究" 한양대학교출판부 1998
31 이성무, "朝鮮初期 兩班硏究" 일조각 1980
32 "星湖僿說"
33 남권희, "忠烈王代 武臣 鄭仁卿의 政案과 功臣錄券 硏究" 7 : 1995
34 "元史"
35 윤국일, "≪경국대전≫ 연구" 여강출판사 1991
17~18세기 銓郞制 운영과 1741년 銓郞法 개정의 의미
숙종의 시각으로 그의 시대를 엿보다-『조선시대사학회연구총서 20 숙종의 대청인식과수도권 방어정책』, 민속원, 2022.3-
임진왜란기 해주 오씨 집안의 官屯田과 차경지 경작-吳希文의『瑣尾錄』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8 | 2.253 | 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