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조방정식을 통한 자동차 제조업에서의 근로자 안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2707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0.9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Workers’ Safety Behavior in the Automotive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Structural Equation Method

      • 형태사항

        vi, 85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원정훈
        참고문헌 : p.61-67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8931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동차 제조업은 노동환경이 어렵고 위험한 업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업종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자동차 제조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건수는 56건, 사망자 수는 1명, 부상자 수는 49명으로 제시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의 법적 제도가 강화되었으나,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자의 사망자 수는 시행 전년도 대비 증가한 것으로부터 법적 제도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며, 제도와 함께 근로자 안전행동의 증진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들의 안전행동 증진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에 기여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로자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안전경영, 안전문화, 안전관리 활동, 안전의식을 선정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다양한 변수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각 요인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타당도 검증은 주성분 요인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요인회전에 있어서는 요인들 간의 상호독립성을 검정하는데 유용한 직교회전법을 이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근로자 안전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여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행동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의 크기는 안전의식(1.073*), 안전관리활동(.770*), 안전경영(.763**), 안전문화(.288*) 순으로 분석되었다. 직접효과는 안전의식(1.073*)만이 나타났으며, 안전경영(.630, p>0.5), 안전관리활동(-.135), 안전문화(-.614)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고 나타났다. 간접효과는 안전관리활동 (.905*), 안전문화(.902*)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안전의식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안전의식에 해당되는 신념 및 태도, 안전가치관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소는 안전의식 뿐이며, 안전관리활동과 안전문화는 안전의식을 매개로 하여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안전의식이 향상되어야 하며, 이는 개인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생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다른 안전관리활동들보다 오랜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자동차제조업에서는 개인적 안전의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장기적 개선계획 중심으로 안전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자동차 제조업은 노동환경이 어렵고 위험한 업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업종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자동차 ...

      자동차 제조업은 노동환경이 어렵고 위험한 업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업종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자동차 제조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건수는 56건, 사망자 수는 1명, 부상자 수는 49명으로 제시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의 법적 제도가 강화되었으나,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자의 사망자 수는 시행 전년도 대비 증가한 것으로부터 법적 제도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며, 제도와 함께 근로자 안전행동의 증진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들의 안전행동 증진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에 기여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로자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안전경영, 안전문화, 안전관리 활동, 안전의식을 선정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다양한 변수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각 요인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타당도 검증은 주성분 요인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요인회전에 있어서는 요인들 간의 상호독립성을 검정하는데 유용한 직교회전법을 이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근로자 안전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여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행동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의 크기는 안전의식(1.073*), 안전관리활동(.770*), 안전경영(.763**), 안전문화(.288*) 순으로 분석되었다. 직접효과는 안전의식(1.073*)만이 나타났으며, 안전경영(.630, p>0.5), 안전관리활동(-.135), 안전문화(-.614)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고 나타났다. 간접효과는 안전관리활동 (.905*), 안전문화(.902*)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안전의식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안전의식에 해당되는 신념 및 태도, 안전가치관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우선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소는 안전의식 뿐이며, 안전관리활동과 안전문화는 안전의식을 매개로 하여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안전의식이 향상되어야 하며, 이는 개인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생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다른 안전관리활동들보다 오랜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자동차제조업에서는 개인적 안전의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장기적 개선계획 중심으로 안전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s evaluated as a difficult and dangerous industry in which the working environment is difficult and dangerous, and is known as a industry in which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According to data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ar manufacturing industry stood at 56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with one death and 49 injuries. Legal system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have been strengthened, but the death toll of businesses with 50 or more full-time workers needs time to expect the effect of the legal system from the previous year.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behavior of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were analyz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id- to long-term strategies to improve the safety behavior of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Safety management, safety cultur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awareness were selected as factors affecting workers' safety behavior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he analysis method appli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suitable for analyzing the complex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tructure of each factor was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variable was verified using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in factor rotation, an orthogonal rotation method useful for testing the mutual independence between factors was used.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behavior of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was proposed by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workers' safety behavior through structural equations.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ze of the total effect affecting safety behavior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safety awareness (1.073*), safety management activity (.770*), safety management (.763**), and safety culture (.288*). Only safety awareness (1.073*) appeared in the direct effec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fety management (.630, p>0.5),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135), and safety culture (-.614). The indirect effec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905*) and safety culture (.902*). Therefore, since safety awareness has a large impact on workers' safety behavior, efforts to improve beliefs, attitudes, and safety values corresponding to safety awareness should be made first. The only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safety behavior is safety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culture show that safety behavior is affected through safety awareness. In the end, in order to induce workers' safety behavior, individual safety awareness must be improved, which means that it takes longer than othe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changing individual perceptions and thoughts of safety. In particular,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trategy focusing on mid- to long-term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the level of personal safety awareness.
      번역하기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s evaluated as a difficult and dangerous industry in which the working environment is difficult and dangerous, and is known as a industry in which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According to data from the Kor...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s evaluated as a difficult and dangerous industry in which the working environment is difficult and dangerous, and is known as a industry in which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According to data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ar manufacturing industry stood at 56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with one death and 49 injuries. Legal system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have been strengthened, but the death toll of businesses with 50 or more full-time workers needs time to expect the effect of the legal system from the previous year.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behavior of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were analyz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id- to long-term strategies to improve the safety behavior of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Safety management, safety cultur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awareness were selected as factors affecting workers' safety behavior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he analysis method appli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suitable for analyzing the complex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tructure of each factor was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variable was verified using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in factor rotation, an orthogonal rotation method useful for testing the mutual independence between factors was used.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behavior of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was proposed by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workers' safety behavior through structural equations.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ze of the total effect affecting safety behavior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safety awareness (1.073*), safety management activity (.770*), safety management (.763**), and safety culture (.288*). Only safety awareness (1.073*) appeared in the direct effec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fety management (.630, p>0.5),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135), and safety culture (-.614). The indirect effec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905*) and safety culture (.902*). Therefore, since safety awareness has a large impact on workers' safety behavior, efforts to improve beliefs, attitudes, and safety values corresponding to safety awareness should be made first. The only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safety behavior is safety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culture show that safety behavior is affected through safety awareness. In the end, in order to induce workers' safety behavior, individual safety awareness must be improved, which means that it takes longer than othe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changing individual perceptions and thoughts of safety. In particular,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trategy focusing on mid- to long-term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the level of personal safety aware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방법 및 절차 2
      • 1.3 연구동향 4
      • Ⅱ. 이론적 배경 8
      • Ⅰ. 서 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방법 및 절차 2
      • 1.3 연구동향 4
      • Ⅱ. 이론적 배경 8
      • 2.1 안전경영 이론 및 안전행동과의 관계 8
      • 2.2 안전문화 이론 및 안전행동과의 관계 10
      • 2.3 안전관리활동 이론 및 안전행동과의 관계 11
      • 2.4 안전의식 이론 및 안전행동과의 관계 13
      • 2.5 안전행동 이론 및 결정 영향요인 14
      • 2.6 구조방정식 16
      • 2.6.1 구정방정식모형의 개념 16
      • 2.6.2 구조방정식모형의 장점 20
      • 2.6.3 구조방정식모형의 연구절차 21
      • Ⅲ. 연구설계 24
      • 3.1 연구모형 및 가설 24
      • 3.1.1 안전행동 영향요인 모형 설정 24
      • 3.1.2 안전행동 영향요인 가설 설정 26
      • 3.2 구성변수 및 측정문항 선정 27
      • Ⅳ. 결과 분석 33
      • 4.1 분석방법 33
      • 4.2 자료수집 34
      • 4.2.1 설문조사 개요 34
      • 4.2.2 연구대상자 통계학적 특성 35
      • 4.3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신뢰도 분석 36
      • 4.3.1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36
      • 4.3.2 확인적 요인분석 42
      • 4.4. 연구결과 및 해석 45
      • 4.4.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5
      • 4.4.2 상관관계 분석 결과 48
      • 4.5 연구가설 검증 51
      • 4.5.1 연구모형 분석 51
      • 4.5.2 가설검증 54
      • 4.5.3 매개효과 분석 및 유의성 검증 56
      • Ⅴ. 결 론 58
      • 5.1 결론 58
      • 5.2 한계점 및 향후연구 60
      • 참고문헌 61
      • 부록 68
      • 국문요약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