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 현황 및 개선 방안 = A Study on the Effective Improvement Plan for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05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문서,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서는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학교 및 시․도교육청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교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주로 학생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에서 관련 지침이 매우 개괄적이고 선언적 수준이어서 교육과정 질 관리의 실제적 기제로 작용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교육과정 주체별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에서도 실질적인 교육과정 개선에는 미흡하였고 평가를 통한 교육과정 질 관리 도 대체로 형식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과정 구성 요소, 주체(수준), 개발 및 적용 단계(절차) 3가지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개념화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안)으로 교육과정 주체별(국가, 지역, 학교 수준) 역할을 중심으로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천 전략을 구체화하는 작업 이 요청된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som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curriculum document and its present practice, and actual condition. The curriculum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som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curriculum document and its present practice, and actual condition. The curriculum pantography and the subject curriculum were subjected to scrutiny by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urriculum pantography included various evalu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testing, school and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evalu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cluded evaluation that focuses on students. The practic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focused upon the role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and actual condition analyses of national,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 levels. Based on the result yielded by analysis of the curriculum document and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there are needs to revitalize positive functions of existing methods and systematize the quality-management plan and clarify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ere is a need to research on the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system and devise a specific plan focusing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hase, and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rough this systematic approa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교육과정 문서상의 교육과정 질 관리 지침 분석
      • Ⅲ. 교육과정 주체별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실천 현황 및 실태
      • Ⅳ.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교육과정 문서상의 교육과정 질 관리 지침 분석
      • Ⅲ. 교육과정 주체별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실천 현황 및 실태
      • Ⅳ.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2]"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3]"

      4 황규호, "교육과정의 질 개념화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97-121,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9]"

      6 민용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질 관리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7 곽상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 방안" 189-202, 2012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2]"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3]"

      4 황규호, "교육과정의 질 개념화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97-121,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9]"

      6 민용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질 관리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7 곽상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의 질 관리 방안" 189-202,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