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국내 기후변화 적응대책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8614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2018. 8. 졸업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0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71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상돈
        참고문헌: p. 67-69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5067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ld is experiencing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droughts, typhoons, torrential downpours, sea level rise,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due to the ongoing global warming. These weather extremes put us at risk of personal injury, property damage, losses in critical infrastructures, extreme temperature phenomena, biodiversity losses and increasing disasters or diseases.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17 municipalities have established the first national countermeasures plan(2011~2015), and the second national countermeasures plan(2016~2020) for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 on a national scale, and the first detailed implementation plan(2012~2016) in 2011 and the second detailed implementation plan(2017~2021) in 2017 on a provincial scale.
      However, there is little specific analysis of the established plans.
      At the same time,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that use Data-mining to get valuable information and patterns from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and with them, to make precise predictions, since the amount of information accumulated increased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developed. Data-mining is the process of finding patterns, associations, changes, anomalies, rul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ructures or events from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in order to find potentially useful new patterns.
      Using the Data-mining analytical method, we can analyze existing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 spot trends and find out the patterns and relationships, which will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trategy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ountermeasures pla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17 municipalities since 2008, to identify the patterns, associations, changes, rules and anomalies of the given information, to find new patterns and to become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ized climate change adaptation countermeasures.
      This study aims to be foundation of plann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law.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capacity of climate change as a means of presenting the direction to establish future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and evaluating the established.
      번역하기

      The world is experiencing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droughts, typhoons, torrential downpours, sea level rise,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due to the ongoing global warming. These weather extremes put us at risk of personal injury, property dam...

      The world is experiencing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droughts, typhoons, torrential downpours, sea level rise,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due to the ongoing global warming. These weather extremes put us at risk of personal injury, property damage, losses in critical infrastructures, extreme temperature phenomena, biodiversity losses and increasing disasters or diseases.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17 municipalities have established the first national countermeasures plan(2011~2015), and the second national countermeasures plan(2016~2020) for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 on a national scale, and the first detailed implementation plan(2012~2016) in 2011 and the second detailed implementation plan(2017~2021) in 2017 on a provincial scale.
      However, there is little specific analysis of the established plans.
      At the same time,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that use Data-mining to get valuable information and patterns from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and with them, to make precise predictions, since the amount of information accumulated increased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developed. Data-mining is the process of finding patterns, associations, changes, anomalies, rul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ructures or events from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in order to find potentially useful new patterns.
      Using the Data-mining analytical method, we can analyze existing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 spot trends and find out the patterns and relationships, which will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trategy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ountermeasures pla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17 municipalities since 2008, to identify the patterns, associations, changes, rules and anomalies of the given information, to find new patterns and to become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ized climate change adaptation countermeasures.
      This study aims to be foundation of plann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law.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capacity of climate change as a means of presenting the direction to establish future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and evaluating the establish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로 가뭄, 태풍, 집중강수, 해수면 상승, 폭염과 열대야 등 극단적인 기상이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기상이변으로 인해 인명피해, 재산 피해, 주요 인프라 기능 마비, 극한 기온 현상, 생물다양성 감소, 재난이나 질병 발생 위험 증가의 위험에 놓여 있다. 변화하는 기후로 인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의 배출 감축을 통한 미래의 기후변화를 최소화하는 ‘완화(Mitigation)’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기후변화가 가져다주는 변화를 새로운 발전기회로 삼아 기대비용을 최대화하는‘적응’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내 중앙정부와 17개 지자체는 국가단위와 지자체단위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였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기후변화 대응 방식은 ‘완화’에 집중되어 아직 ‘적응’에 관련된 대응 정책이 적은 편이며, 수립된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동시에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하여 대량의 정보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와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밀한 예측을 수행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 데이터 중 언급횟수가 많은 핵심어를 찾는 빈도 분석을 진행하고, VOS Viewer를 이용하여 핵심어 간의 관계연결을 측정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핵심어 간의 연결망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Ucine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핵심어의 중심성을 분석하여 핵심어 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2008년부터 수립된 국내 중앙정부와 17개 광역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접근법에 따라, 시기에 따라 분석하여 현존하는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해 분석하고 경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는 데 방향성을 제시하고 수립된 정책을 평가하는 수단으로써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전 세계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로 가뭄, 태풍, 집중강수, 해수면 상승, 폭염과 열대야 등 극단적인 기상이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기상이변으로 인해 인명피해, 재산 피해, 주요 ...

      전 세계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로 가뭄, 태풍, 집중강수, 해수면 상승, 폭염과 열대야 등 극단적인 기상이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기상이변으로 인해 인명피해, 재산 피해, 주요 인프라 기능 마비, 극한 기온 현상, 생물다양성 감소, 재난이나 질병 발생 위험 증가의 위험에 놓여 있다. 변화하는 기후로 인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의 배출 감축을 통한 미래의 기후변화를 최소화하는 ‘완화(Mitigation)’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기후변화가 가져다주는 변화를 새로운 발전기회로 삼아 기대비용을 최대화하는‘적응’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내 중앙정부와 17개 지자체는 국가단위와 지자체단위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였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기후변화 대응 방식은 ‘완화’에 집중되어 아직 ‘적응’에 관련된 대응 정책이 적은 편이며, 수립된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동시에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하여 대량의 정보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와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밀한 예측을 수행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 데이터 중 언급횟수가 많은 핵심어를 찾는 빈도 분석을 진행하고, VOS Viewer를 이용하여 핵심어 간의 관계연결을 측정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핵심어 간의 연결망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Ucine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핵심어의 중심성을 분석하여 핵심어 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2008년부터 수립된 국내 중앙정부와 17개 광역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접근법에 따라, 시기에 따라 분석하여 현존하는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해 분석하고 경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는 데 방향성을 제시하고 수립된 정책을 평가하는 수단으로써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이론적 배경 3
      • 1. 기후변화 3
      • 가. 기후변화 정의 3
      • 나. 기후변화 영향 4
      • I. 서론 1
      • II. 이론적 배경 3
      • 1. 기후변화 3
      • 가. 기후변화 정의 3
      • 나. 기후변화 영향 4
      • 다. 기후변화 적응 9
      • 라. 기후변화 적응의 필요성 11
      • 2.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대책 현황 12
      • 가. 국내외 정책적 기후변화 적응대책 현황 12
      • 나.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대책 연구 현황 14
      • 3. 언어 네트워크 분석 15
      • 가. 텍스트 마이닝 15
      • 나. 언어 네트워크 분석 17
      • III. 연구방법 18
      • 1. 연구대상 18
      • 2. 분류기준 19
      • 3. 분석과정 19
      • 가. 데이터 수집 및 색인 정리 19
      • 나. 불용어처리 20
      • 다. 빈도 분석 20
      • 라. 네트워크 분석 21
      • 마. 중심성 분석 22
      • IV. 연구결과 및 고찰 24
      • 1. 접근법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대책 분석 24
      • 가. 핵심어 빈도분석 24
      • 나. 네트워크 분석 32
      • 다. 중심성 분석 40
      • 2. 시기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대책 분석 44
      • 가. 핵심어 빈도분석 44
      • 나. 네트워크 분석 52
      • 다. 중심성 분석 60
      • V. 결론 64
      • 참고문헌 67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