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김광우 조각의 누보 레알리즘 경향 연구 : 1986년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401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미술사학과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30.92759.061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nouveau realisme of Kim Kwang-Woo's sculpture : focusing on works since 1986

      • 형태사항

        ii, 140 p.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이순
        국·영문초록수록
        참고문헌: p. 96-106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5376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that appear in the works of Kwang-Woo Kim (1941– ) from 1986 to 2005. Kim’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ose of the early period (1970–1985), middle period (1986–1997), and latter period (1998–2000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From the middle period onward, Kim incorporated realistic forms of life in his works, showcasing art that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a French artistic movement that sought to combine art and reality. In Korea in the 1960s, Nouveau réalisme was treated as an experimental art form along with other Western art trends. In particular, Nouveau réalisme was not much appreciated because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in the West differed from the social atmosphere in Korea in the 1960s. The atmosphere of industrial society and material affluence came about in Korea only in the 1980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in Kim’s works also appear in the 1980s that constitute his work in the middle period.
      This study was motivated by a question regarding the drastic change in sculptural style that appears in Kim’s works from 1986 onward. It is suggested that this change has contributed to the ambiguity of Kim’s position in the Korean art world, despite the long career and years of experience that Kim has accumulated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Another question motivating this study concerns the ideology of a Western art form such as Nouveau réalisme. Although the ideology behind Nouveau réalisme may not have been appreciated early on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t may gradually have become more applicable as the social milieu of economic affluence and industrial society became established in Korea in the 1980s. Applying the label of French Nouveau réalisme, which reached its peak in the 1960s, to Kim’s works in the 1980s need not be seen as retrograde or anachronistic. Rather,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social changes in Korea giving rise to a better appreciation of an art form.
      In sum,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found in Kwang-Woo Kim’s work from 1986 onward. It thereby seeks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Kim’s oeuvre that has been little discussed in the Korean art literature, and to suggest his place in the history of art.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that appear in the works of Kwang-Woo Kim (1941– ) from 1986 to 2005. Kim’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ose of the early period (1970–1985), middle period (1986–1997), and lat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that appear in the works of Kwang-Woo Kim (1941– ) from 1986 to 2005. Kim’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ose of the early period (1970–1985), middle period (1986–1997), and latter period (1998–2000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From the middle period onward, Kim incorporated realistic forms of life in his works, showcasing art that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a French artistic movement that sought to combine art and reality. In Korea in the 1960s, Nouveau réalisme was treated as an experimental art form along with other Western art trends. In particular, Nouveau réalisme was not much appreciated because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in the West differed from the social atmosphere in Korea in the 1960s. The atmosphere of industrial society and material affluence came about in Korea only in the 1980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in Kim’s works also appear in the 1980s that constitute his work in the middle period.
      This study was motivated by a question regarding the drastic change in sculptural style that appears in Kim’s works from 1986 onward. It is suggested that this change has contributed to the ambiguity of Kim’s position in the Korean art world, despite the long career and years of experience that Kim has accumulated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Another question motivating this study concerns the ideology of a Western art form such as Nouveau réalisme. Although the ideology behind Nouveau réalisme may not have been appreciated early on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t may gradually have become more applicable as the social milieu of economic affluence and industrial society became established in Korea in the 1980s. Applying the label of French Nouveau réalisme, which reached its peak in the 1960s, to Kim’s works in the 1980s need not be seen as retrograde or anachronistic. Rather,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social changes in Korea giving rise to a better appreciation of an art form.
      In sum,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ouveau réalisme found in Kwang-Woo Kim’s work from 1986 onward. It thereby seeks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Kim’s oeuvre that has been little discussed in the Korean art literature, and to suggest his place in the history of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작가 김광우(金光宇, 1941~ )의 1986에서 2005년까지의 작품에 나타난 누보 레알리즘(Nouveau Réalisme) 특징에 관한 연구다. 김광우의 작품은 작품의 형식에 따라 전기(1970~1985), 중기(1986~1997), 후기(1998~2000년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중기 작업부터 현실적인 삶의 형태들을 작품 속에 도입하고 미술과 현실의 결합을 지향한 프랑스 미술 운동이었던 누보 레알리즘의 특징이 드러나는 작업을 선보였다. 1960년대 한국에서 누보 레알리즘은 다른 서구 미술 경향들과 함께 실험적 성격을 띤 미술로 취급되었다. 특히 누보 레알리즘은 서구에서 형성된 그 배경이 1960년대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와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큰 공감을 얻지 못했다. 한국에서 산업사회나 물질적 풍요의 분위기는 1980년대에 들어와서 비로소 실현되었는데, 김광우의 작품에서 누보 레알리즘 특징도 작품 중기인 1980년대에 이르러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김광우의 1986년 이후 작품에서 나타난 급격한 조형적 변화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작가 김광우가 쌓아온 경력과 연륜에도 불구하고 한국미술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입지의 애매함은 분명 이러한 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보았다. 더불어 누보 레알리즘과 같은 서구 미술이 한국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초반에는 그 이념이 공감되지 않은 채 진행되어 왔을지라도 1980년대 경제적 풍요와 산업사회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됨에 따라 천천히 실현되었던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도 본 연구에 한 축을 이루고 있다. 1960년대 초반 절정을 맞이한 프랑스 누보 레알리즘을 김광우의 1980년대 작품에 적용하는 것을 퇴보나 시대착오로 볼게 아니라 한국의 사회적 변화에 따른 공감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김광우의 1986년 이후 작업에 대한 누보 레알리즘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미술계에서 그 논의가 적었던 김광우의 예술세계의 의의를 밝히고 그의 미술사적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작가 김광우(金光宇, 1941~ )의 1986에서 2005년까지의 작품에 나타난 누보 레알리즘(Nouveau Réalisme) 특징에 관한 연구다. 김광우의 작품은 작품의 형식에 따라 전기(1970~1985), 중기(1986~19...

      본 논문은 작가 김광우(金光宇, 1941~ )의 1986에서 2005년까지의 작품에 나타난 누보 레알리즘(Nouveau Réalisme) 특징에 관한 연구다. 김광우의 작품은 작품의 형식에 따라 전기(1970~1985), 중기(1986~1997), 후기(1998~2000년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중기 작업부터 현실적인 삶의 형태들을 작품 속에 도입하고 미술과 현실의 결합을 지향한 프랑스 미술 운동이었던 누보 레알리즘의 특징이 드러나는 작업을 선보였다. 1960년대 한국에서 누보 레알리즘은 다른 서구 미술 경향들과 함께 실험적 성격을 띤 미술로 취급되었다. 특히 누보 레알리즘은 서구에서 형성된 그 배경이 1960년대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와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큰 공감을 얻지 못했다. 한국에서 산업사회나 물질적 풍요의 분위기는 1980년대에 들어와서 비로소 실현되었는데, 김광우의 작품에서 누보 레알리즘 특징도 작품 중기인 1980년대에 이르러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김광우의 1986년 이후 작품에서 나타난 급격한 조형적 변화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작가 김광우가 쌓아온 경력과 연륜에도 불구하고 한국미술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입지의 애매함은 분명 이러한 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보았다. 더불어 누보 레알리즘과 같은 서구 미술이 한국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초반에는 그 이념이 공감되지 않은 채 진행되어 왔을지라도 1980년대 경제적 풍요와 산업사회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됨에 따라 천천히 실현되었던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도 본 연구에 한 축을 이루고 있다. 1960년대 초반 절정을 맞이한 프랑스 누보 레알리즘을 김광우의 1980년대 작품에 적용하는 것을 퇴보나 시대착오로 볼게 아니라 한국의 사회적 변화에 따른 공감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김광우의 1986년 이후 작업에 대한 누보 레알리즘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미술계에서 그 논의가 적었던 김광우의 예술세계의 의의를 밝히고 그의 미술사적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i
      • Ⅰ. 머리말 1
      • Ⅱ. 김광우 조각의 전개 7
      • 1. 자연의 상태를 차압하다. <우연>시리즈 : 전기(1972-1985) 7
      • 2. 자연과 인공의 이질적 결합을 통한 문명비판 : 중기(1986-1997) 15
      • 국문초록 i
      • Ⅰ. 머리말 1
      • Ⅱ. 김광우 조각의 전개 7
      • 1. 자연의 상태를 차압하다. <우연>시리즈 : 전기(1972-1985) 7
      • 2. 자연과 인공의 이질적 결합을 통한 문명비판 : 중기(1986-1997) 15
      • 3. 함축적 표현을 통한 자연과 문명의 공존 : 후기(1998-2000년대) 25
      • Ⅲ. 김광우의 누보 레알리즘적 시각의 형성 33
      • 1. 프랑스의 누보 레알리즘 33
      • 2. 한국 누보 레알리즘의 형성과 전개 42
      • 3. 김광우의 누보 레알리즘적 태도 65
      • Ⅳ. 작업방식을 통해 본 김광우 조각의 누보 레알리즘 경향 70
      • 1. 결합하기 70
      • 2. 앗상블라주 77
      • 3. 축적·압축하기·융해하기 83
      • Ⅴ. 맺음말 91
      • 참고문헌 96
      • 도판목록 107
      • 도 판 113
      • ABSTRACT 1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