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82490
아산 : 순천향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17. 8
2017
한국어
372.21 판사항(23)
충청남도
65 p. ; 26 cm
단면인쇄임
지도교수: 유영의
참고문헌: p. 45-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
본 연구는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과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2.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인천, 서울, 세종시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으로 어린이집의 교사 중 만 1세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영아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불성실한 응답자(7명)를 제외한 293부를 최종적으로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지현·민광미(2015)가 개발한 영아반 교사 민감성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Argyle(2001)이 개발하고 최영옥(2011)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옥스퍼드 행복척도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신혜영(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사용하고, Waters(1987)의 Q-set총 90문항중 양애경(2006)이 30문항을 선별하여 수정, 보완한 영아의 애착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 전체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만 1세반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만 1세반 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과의 상관관계에서 민감성과 행복감, 영아의 애착형성은 정적 상관을 민감성과 행복감, 영아의 애착 형성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민감성과 행복감이 높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교사와 영아의 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민감성과 행복감, 직무스트레스가 만 1세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민감성, 행복감,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후 단계적으로 투입한 결과, 교사의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적절성’과 ‘즉시성’, ‘정확성’과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행복감’,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동료관계’가 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만 1세반 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형성에 있어 교사의 민감성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직무스트레스는 낮을수록 애착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영아의 다양한 정서적, 신체적 표현들에 대해 교사가 즉각적이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적절성이 만 1세반 영아의 교사 애착형성에 있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