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중국 중국에서 발생한 ‘사스(SARS) 위기'는 ’위기 소통‘의 실패의 전형적인 사례였다. 여기에는 중국의 언론 환경의 문제로서 정부에 의한 언론 통제로 인한 ‘정보의 비대칭화와 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09418
이동진 (경북대학교)
2022
Korean
risk communication ; 'the asymmetry and closed-circuit nature‘ of information ; media commercialism and professionalism ; the Guangdong newspapers' SARS Reporting ; the Beijing newspapers' SARS Reporting ; the government’s control over the media ; Southern Metropolitan News ; Beijing Youth Daily ; 위기 소통 ; 정보의 ‘비대칭화와 내부화’ ; 언론의 ‘상업화’와 ‘전문직주의’ ; 광둥성의 사스 언론 보도 ; 베이징시의 사스 언론 보도 ; 정부의 언론 통제 ; <남방도시보> ; <베이징청년보>
KCI등재
학술저널
155-186(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3년 중국 중국에서 발생한 ‘사스(SARS) 위기'는 ’위기 소통‘의 실패의 전형적인 사례였다. 여기에는 중국의 언론 환경의 문제로서 정부에 의한 언론 통제로 인한 ‘정보의 비대칭화와 내...
2003년 중국 중국에서 발생한 ‘사스(SARS) 위기'는 ’위기 소통‘의 실패의 전형적인 사례였다. 여기에는 중국의 언론 환경의 문제로서 정부에 의한 언론 통제로 인한 ‘정보의 비대칭화와 내부화’라고 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사스 위기가 발생했던 시기는 중국의 언론이 ‘상업화’와 ‘전문직주의’로의 개혁을 겪고 있던 시기였다. 이 글에서는 중국 사스 위기 시기의 광둥과 베이징에서의 언론 보도 상황을 살펴본 결과, 정부의 언론 통제 정책 하에서 언론이 사스 위기에 대한 보도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남방도시보>와 <베이징청년보>와 같은 극소수 매체가 해외 매체들과 함께 위기 소통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영서,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 대안적 문명과 거버넌스" 책과함께 2021
2 조영남, "중국의 코로나19 대응 분석: 중앙의 지도체계와 선전 활동을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44 (44): 7-44, 2020
3 왕웨이, "중국의 코로나 19 대응과 신지식" 학고방 195-212, 2021
4 이동진, "중국의 분절된 국가와 시장형성 : 변호사사무소를 사례로" 4 (4): 1-41, 2002
5 조영남, "중국은 왜 코로나19의 초기 대응에 실패했는가?" 극동문제연구소 36 (36): 105-135, 2020
6 이동진, "중국에서의 공론장의 형성 : ‘쑨즈강사건’을 사례로" 7 (7): 45-88, 2005
7 이민자, "중국 인터넷 : 정보공개와 통제의 딜레마" 58 : 160-182, 2003
8 박용수, "중국 언론과 사회변동" 나남출판 2000
9 김영옥, "중국 신문의 현실: 중국 사회를 들여다보는 중국 신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0 문지영 ; 강준영, "중국 시진핑(習近平) 시대 언론통제 연구" 중국학연구회 (86) : 281-307, 2018
1 백영서,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 대안적 문명과 거버넌스" 책과함께 2021
2 조영남, "중국의 코로나19 대응 분석: 중앙의 지도체계와 선전 활동을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44 (44): 7-44, 2020
3 왕웨이, "중국의 코로나 19 대응과 신지식" 학고방 195-212, 2021
4 이동진, "중국의 분절된 국가와 시장형성 : 변호사사무소를 사례로" 4 (4): 1-41, 2002
5 조영남, "중국은 왜 코로나19의 초기 대응에 실패했는가?" 극동문제연구소 36 (36): 105-135, 2020
6 이동진, "중국에서의 공론장의 형성 : ‘쑨즈강사건’을 사례로" 7 (7): 45-88, 2005
7 이민자, "중국 인터넷 : 정보공개와 통제의 딜레마" 58 : 160-182, 2003
8 박용수, "중국 언론과 사회변동" 나남출판 2000
9 김영옥, "중국 신문의 현실: 중국 사회를 들여다보는 중국 신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0 문지영 ; 강준영, "중국 시진핑(習近平) 시대 언론통제 연구" 중국학연구회 (86) : 281-307, 2018
11 이동진, "중국 사스(SARS) 위기 대응의 정치 과정" 한국아시아학회 24 (24): 55-78, 2021
12 이동진, "중국 SARS 위기와 의료적 대응: ‘분절된 의료’를 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 23 (23): 65-98, 2020
13 이동진, "분절된 국가와 분절된 재정:중국 시장사회주의 개혁의 이중성" 4 : 91-130, 2002
14 박현숙, "가장 먼저 희생되는 건 진실" 1309 : 2020
15 肖飞, "风暴在舆论中平息" 1 : 2003
16 盛先磊, "關于保護和完善公衆知情權的思考: 從非典型肺炎看公衆知情權的重大意義" 4 : 2003
17 亦菲, "谣言止于媒体"
18 何雄飛, "謠言恐慌" 8 : 7-9, 2003
19 "衛生部"
20 陈广腾, "考验在春天_-2003:非典型肺炎事件备忘录"
21 林曉光, "現代中国のマスメディア-近代化と民主化の岐路" ソフィア 1996
22 周曉麗, "災害性公共危機治理: 基于體制, 機制和法制的視野"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
23 杜骏飞, "流言止于传媒的公信——透析"非典型肺炎事件"中的传媒危机" 3 : 2003
24 楊桃源, "擧國抗‘非典’" 17 : 6-10, 2003
25 何劍峰, "廣東省嚴重急性呼吸綜合症的流行與控制" 37 (37): 2003
26 朱雯, "媒体对非典事件报道情况的调查报告"
27 孫燕君, "報業中國" 中國三峽出版社 2002
28 Koetse, Manya, "从‘人民的声音’到‘中国的叛徒’:方方《武汉日记》的大起大落" 歌德学院
29 박원재, "中 보도지침 어긴 잡지 탄압:가판 회수-무기한 정간 조치"
30 张自力, "‘非典’机与健康传播. 中國電媒大學國家傳播創新硏究中心"
31 Yang, A., "Understanding the Changing Chinese Media: Through the Lens of Crisis" 8 (8): 63-77, 2012
32 Huang, C. J., "Transitional media vs. normative theories: Schramm, Altschull, and China" 53 (53): 444-460, 2003
33 Zhao, Y. Z., "Toward a propagenda/commecial model of journalism in China? The case of the Beijing Youth News" 58 : 143-157, 1996
34 Zucker, H., "The variable nature of news media influence" 2 : 225-246, 1978
35 Tai, Zixue, "The rumouring of SARS during the 2003epidemic in China" 33 (33): 677-693, 2011
36 Erikson, Jim, "The Politics of Disease"
37 Qiu, W., "The Impacts on Health, Society, and Economy of SARS and H7N9 Outbreaks in China: A Case Comparison Study" 2018 : 1-7, 2018
38 Forney, Matthew, "Stalking a Killer"
39 Ma, R., "Spread of SARS and war-related rumors through new media in China" 56 (56): 376-391, 2008
40 박동균, "SARS의 대응사례를 통해 본 중국 위기관리행정의 문제점" 한국정부학회 15 (15): 729-751, 2003
41 <財經>雜志編輯部, "SARS調査: 一場空前災難的全景實錄"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42 鄧偉志, "SARS與中國社會" 上海文學出版社 2004
43 加藤洋子, "SARS事件から見た中国の危機管理に関する一考察" 立教大学大学院 2008
44 唐亮, "SARSをめぐる中國の政治と情報" 525 : 56-70, 2003
45 林禾楓, "SARS: 來自微觀世界的惡魔" 中山大學出版社 2003
46 Ding, H., "Rhetoric of Alternative Media in an Emerging Epidemic : SARS, Censorship, and Extra-Institutional Risk Communication" 18 (18): 327-350, 2009
47 Lee, A., "Online News Media as Interactive Community Bulletin Boards : Coverage of SARS in the Greater China Region" 30 (30): 197-204, 2003
48 Elegant, Simon, "On the Trail of an Asian Contagion"
49 Fu, K. Zhou, "Newspaper coverage of emergency response and government responsibility in domestic natural disasters : China-US and within-China comparisons" 14 (14): 171-185, 2012
50 Merrill, J., "Media, messages and men: New perspectives in communication" Longman 1979
51 Zhao, Y. Z., "Media, Money and democracy in China: Between the party line and bottom lin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52 Zhao, Y. Z., "From commercialization to conglomeration : The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press within the orbit of the party state" 34 (34): 3-26, 2000
53 Siebert, F., "Four theories of the press: The authoritarian, libertarian, social responsibility, and Soviet communist concepts of what the press should be and do" University of Illinois 1956
54 Zhang, E., "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News Media under Censorship: A Content Analysis of Selected Chinese Newspapers’ SARS Coverage" 15 (15): 319-339, 2005
55 Murdoch, G., "Culture, society and the media" Methuen 118-150, 1982
56 Shirk, S. L., "Chnaging Media, Changi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57 Ostini, Jennifer, "Beyond the Four Theories of the Press: A New Model of National Media Systems" 5 (5): 41-56, 2002
58 Lee, A., "Between Global and Local : Glocaization of Online News Coverage on the Trans-regional Crisis of SARS" 15 (15): 255-273, 2005
59 송한용, "6・4 천안문사건과 중국언론:‘「世界經濟導報」사건’과 관련하여" 5.18연구소 19 (19): 153-189, 2019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에이징 인 플레이스 지원 사례관리의 어려움과 딜레마
부모의 방임과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동성애에 대한 국내외 인식 변화 고찰 - 정신의학계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2 | 0.82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6 | 1.173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