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관해유도 요법과 공고 요법 후 발생한 균혈증에 대한 비교 분석 = Comparison of bloodstream isolates between induction and consolidation chemotherapy group in the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14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 급성 백혈병 치료에 있어 호중구 감소로 인한 감염증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이러한 환자들에서 발생하는 균혈증은 내인성 감염(endogenous)이 주요 원인이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의 치료로서 신속한 경험적 항생제 투여가 중요하며, 치료에 따른 균상에 변화가 있다면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 중에서 관해유도 요법과 공고 요법 후에 발생하는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를 대상으로 각 치료 주기에 따른 균혈증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 부산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에서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골수 천자 및 조직 검사를 통하여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어 표준 항암 요법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환자는 관해유도 요법군과 공고 요법군으로 나누었고, 각 시기에 발생한 호중구 감소성 발열 시에 시행한 혈액 배양 검사에서 분리된 균주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입원하였던 환자는 72명이었고, 이 중 관해유도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가 58명이었으며, 공고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가 48명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7세(18세-75세), 남녀 비는 5:4 였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은 총 156례였으며 그 중 총 60례(38.5%)에서 균이 분리되었다. 그람 음성균 36례(61%), 그람 양성균 23례(39%), 진균 1례(2%) 순으로 그람 음성균이 가장 많이 배양 검출되었다. 관해유도 요법과 공고 요법 중 혈액 배양 검사 양성은 각각 58례 중 30례(51.7%)와 103례 중 29례(28.2%)로 나타났다. 관해유도 요법과 공고 요법 후 분리된 균주를 비교해 보면,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항암 화학요법 주기에 따라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의 혈액 배양에서 분리되는 원인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고, 그 원인으로는 중심 정맥 도관의 유치, 항암 화학요법 약제의 종류와 용량, 예방적 항균제의 사용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감염 부위를 알 수 없는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하였을 때 각 항암 요법 주기별로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원인 균주에 대하여 적절한 경험적 항균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배경 : 급성 백혈병 치료에 있어 호중구 감소로 인한 감염증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이러한 환자들에서 발생하는 균혈증은 내인성 감염(endogenous)이 주요 원인이다. 호중구 감소...

      배경 : 급성 백혈병 치료에 있어 호중구 감소로 인한 감염증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이러한 환자들에서 발생하는 균혈증은 내인성 감염(endogenous)이 주요 원인이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의 치료로서 신속한 경험적 항생제 투여가 중요하며, 치료에 따른 균상에 변화가 있다면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 중에서 관해유도 요법과 공고 요법 후에 발생하는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를 대상으로 각 치료 주기에 따른 균혈증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 부산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에서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골수 천자 및 조직 검사를 통하여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어 표준 항암 요법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환자는 관해유도 요법군과 공고 요법군으로 나누었고, 각 시기에 발생한 호중구 감소성 발열 시에 시행한 혈액 배양 검사에서 분리된 균주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입원하였던 환자는 72명이었고, 이 중 관해유도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가 58명이었으며, 공고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가 48명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7세(18세-75세), 남녀 비는 5:4 였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은 총 156례였으며 그 중 총 60례(38.5%)에서 균이 분리되었다. 그람 음성균 36례(61%), 그람 양성균 23례(39%), 진균 1례(2%) 순으로 그람 음성균이 가장 많이 배양 검출되었다. 관해유도 요법과 공고 요법 중 혈액 배양 검사 양성은 각각 58례 중 30례(51.7%)와 103례 중 29례(28.2%)로 나타났다. 관해유도 요법과 공고 요법 후 분리된 균주를 비교해 보면,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항암 화학요법 주기에 따라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의 혈액 배양에서 분리되는 원인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고, 그 원인으로는 중심 정맥 도관의 유치, 항암 화학요법 약제의 종류와 용량, 예방적 항균제의 사용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감염 부위를 알 수 없는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하였을 때 각 항암 요법 주기별로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원인 균주에 대하여 적절한 경험적 항균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Despite the recent advance in chemotherapy and supportive care, infection remain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in the patient with acute leukemia. Disruptions of the mechanical defense barriers of skin and mucosae, secondary to chemotherapy, lead to increased exposure to potential microorganisms, which can cause fever and inf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atterns and trends of bacteremia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acute leukemia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bloodstream isolates of each chemotherapy group.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bloodstream isolates of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to consolidation chemotherapy group.
      Results: Out of total 72 cases, 58 cases received induction chemotherapy and 48 cases received consolidation chemotherapy at least one more time. One hundred and fifty six neutropenic fever occured. Sixty cases (bacteria: 59 cases, fungus: 1 case) were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From bacteria isolates, 61% were Gram-negative organisms and 39% were Gram-positive. In the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the bacteria was isolated in 30 cases (Gram-positive: 55% vs Gram-negative: 45%) out of 58 neutropenic fever events. In the consolidation chemotherapy group, the bacteria was isolated in 29 cases (Gram-positive: 23% vs Gram-negative: 77%) out of 103 neutropenic fever events. The incidence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emia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cycles of chemotherapy.
      Conclusion: The patterns of bacteremia between induction and consolidation chemotherapy group are different and have been influenced due to many factors. Appropriate selection of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according to the cycles of chemotherapy plays important role in an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vere neutropenic fever for the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번역하기

      Background: Despite the recent advance in chemotherapy and supportive care, infection remain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in the patient with acute leukemia. Disruptions of the mechanical defense barriers of skin and mucosae, secondary to chemother...

      Background: Despite the recent advance in chemotherapy and supportive care, infection remain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in the patient with acute leukemia. Disruptions of the mechanical defense barriers of skin and mucosae, secondary to chemotherapy, lead to increased exposure to potential microorganisms, which can cause fever and inf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atterns and trends of bacteremia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acute leukemia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bloodstream isolates of each chemotherapy group.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bloodstream isolates of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to consolidation chemotherapy group.
      Results: Out of total 72 cases, 58 cases received induction chemotherapy and 48 cases received consolidation chemotherapy at least one more time. One hundred and fifty six neutropenic fever occured. Sixty cases (bacteria: 59 cases, fungus: 1 case) were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From bacteria isolates, 61% were Gram-negative organisms and 39% were Gram-positive. In the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the bacteria was isolated in 30 cases (Gram-positive: 55% vs Gram-negative: 45%) out of 58 neutropenic fever events. In the consolidation chemotherapy group, the bacteria was isolated in 29 cases (Gram-positive: 23% vs Gram-negative: 77%) out of 103 neutropenic fever events. The incidence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emia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cycles of chemotherapy.
      Conclusion: The patterns of bacteremia between induction and consolidation chemotherapy group are different and have been influenced due to many factors. Appropriate selection of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according to the cycles of chemotherapy plays important role in an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evere neutropenic fever for the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2
      • 대상 및 방법 = 3
      • 결과 = 5
      • 고찰 = 8
      • 요약 = 12
      • 서론 = 2
      • 대상 및 방법 = 3
      • 결과 = 5
      • 고찰 = 8
      • 요약 = 12
      • 참고문헌 = 14
      • Abstract = 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