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통회화에 사용된 금박 고분기법의 열화특성 및 보존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972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of the Gold-Leaf Koboon Method used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 형태사항

        ⅸ, 66p. ; 26 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차규

      • UCI식별코드

        I804:11023-000000076794

      • 소장기관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금(金)은 분말 형태인 금분(金粉), 금분에 전색제(展色劑)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금니(金泥), 금을 얇게 두드려 펴서 종이와 같은 형태로 만든 금박(金箔) 등 전통회화에서 여러 형태로 사용되...

      금(金)은 분말 형태인 금분(金粉), 금분에 전색제(展色劑)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금니(金泥), 금을 얇게 두드려 펴서 종이와 같은 형태로 만든 금박(金箔) 등 전통회화에서 여러 형태로 사용되어왔다. 금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특성상 전통회화에서는 주로 불교 회화나 궁중 회화에서 그 쓰임이 보여졌으며, 본고에서 자세히 다룰 재료인 금박의 경우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박이 전통회화에 적용된 기법으로는 화면에 금박을 부착하는 금일법(金一法), 금박을 잘라서 붙이는 절금법(切金法), 안료로 고분(高粉)을 쌓아 선묘(線描)한 후 금박을 올린 고분기법(高粉技法), 용죽통에 금박을 넣고 갈아내어 가루로 만드는 기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금박 고분기법의 열화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보존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실험에서는 금박 고분기법에서 주로 사용된 비단 바탕층에 재료별로 시편을 제작하여 각 재료에 따른 열화특성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우선 시편의 재료는 고분기법에서 안료층으로 주로 쓰이던 호분(胡粉), 연백(鉛白), 백토(白土) 세 가지와 전색제, 금박 접착제로 전통회화 보존처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왔던 3%, 5% 농도의 아교수를 선정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열화 후 시편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촉진내후성 실험을 24h, 48h, 72h, 144h 동안 진행하였다. 열화 전·후 시편을 육안 관찰, 실체현미경 관찰,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찰로 표면 관찰하여 시편 표면의 열화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학적, 화학적 조사를 통해 시편의 색차, 광택도, 산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열화 후 시편을 표면 관찰했을 때 나타나는 전체적인 열화 양상으로 금박 들뜸, 미세 균열 및 긁힘이 확인되었다. 시편을 안료별로 살펴보면 호분에서는 미세 금박 들뜸 및 긁힘 정도의 미미한 열화양상을 보였다. 전색제와 금박 접착제의 농도에 따른 상태 차이 또한 크지 않아 전반적인 시편이 안정적으로 판단되었다. 연백을 사용한 시편에서는 열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금박의 들뜸 및 긁힘, 안료층의 균열로 인한 금박층의 갈라짐, 박락 등의 열화 상태가 심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색제, 금박 접착제의 농도가 낮을수록 앞의 열화 상태가 크게 나타났다. 백토가 안료층인 시편의 경우 연백 안료층의 시편과 비슷한 열화 양상을 보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표면을 관찰했을 때 다른 안료층을 사용한 시편보다 입자의 크기가 크고 불균일한 형태를 보였다.
      각 재료별 열화특성을 확인하기 위패 열화 전·후로 시편의 색차 및 광택도, 산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편의 색차와 산성도는 수치적으로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광택도에서는 가시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각 시편의 색차와 산성도 수치에 따르면 시편에 사용된 재료 및 기법은 색차와 산성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각 시편의 광택도를 살펴보았을 때 연백과 백토가 안료층인 시편은 전색제와 금박 접착제 5% 농도로 사용한 경우 열화 후에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낮은 아교수 농도로 인해 안료층에 금박 접착이 불안정해 지면서 들뜸 및 주름 등의 표면 요철로 난반사되어 광택도 수치에 영향이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호분이 안료층인 시편에서는 3% 농도의 전색제와 금박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더 높은 광택도를 보였다. 이는 금박 표면이 열화됨에 따라 아교수 함량이 높은 안료층과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광택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금박 고분기법의 열화 특성을 확인하였고, 기법의 재료별 보존성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다. 금박 고분기법에서 가장 보존성이 우수한 안료는 호분이며, 전색제 농도 5%, 금박 접착제 농도 3%로 기법에 적용하였을 때 안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백과 백토는 5% 농도 이상의 아교수를 기법에 적용하였을 때 보존성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금박 고분기법의 열화특성과 재료별 보존성 연구를 통해 앞으로 전통회화의 안정적인 보존처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ld has been used in various forms in traditional paintings, such as gold powder, gold dust, which is gold powder mixed with vehicle, and gold leaf, a form of a paper that is made by thinly tapping and spreading gold. Due to the splendid and decorati...

      Gold has been used in various forms in traditional paintings, such as gold powder, gold dust, which is gold powder mixed with vehicle, and gold leaf, a form of a paper that is made by thinly tapping and spreading gold. Due to the splendid and decorative nature of gold, it has been mainly used in Buddhist paintings and royal paintings, and it can be seen that gold leaf, a material to be dealt with in detail in this paper, has been used since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ere are several techniques of applying gold leaf to traditional paintings, such as the Geumil-bup, a method of attaching a gold leaf to the screen, the JeolGeum-bup, a method of cutting and attaching a gold leaf, Koboon Method, a method in which a gold leaf is put on the top of stacked pigments, and the method of grinding a gold leaf into powder in a bamboo tube etc. Among them, this study will analyze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old leaf Koboon Method and examine the conservation plan accordingly.
      In this experiment, to compare and analyz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pecimens were made out of each different materials on the silk base layer that is mainly used in the gold leaf Koboon Method. To begin with, the specimen were produced with three types of pigments 'Shell White, Lead White and Kaolin', which were mainly used in Koboon Method, and 3% and 5% concentrations of vehicle and glue, which were most commonly used in conserv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specimens after deterioration, the accelerated weather resistanc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4 hours, 48 hours, 72 hours, and 144 hours.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surface were identified by macroscopic observation, stereoscopic microscope observa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bservation before and after deterioration. In addition, the color difference, gloss, and pH of the specimen were measured through optical and chemical research.
      As a result, gold leaf blister, microcracks, and scratches were confirmed as the overall deterioration pattern that appeared when the specimen was observed after deterioration. Looking at the specimen by pigment, the ‘Shell White’ showed a slight deterioration of fine gold leaf blister and scratching. The difference in condi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vehicle and gold leaf glue was also not large which means that the specimen made of ‘Shell White’ is stable. The specimen using Lead White was confirmed that as the degradation time increases, deterioration conditions such as blister and scratch, gold leaf crack due to cracks in the pigment layer, and peeling intensifies. In addition, the lower the concentration of vehicle and gold leaf glue, the greater the previous deterioration state. In the case of a specimen in which Kaolin is used, it showed a deterioration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Lead White pigment layer, and when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particle size was larger and uneven than that of other pigment layers.
      In order to verify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the color difference, pH, and gloss of the specimen before and after degradation were measured.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 color difference and pH of all specimen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numerical terms, so the influence was insignificant, but remarkable factors of change were found in gloss. According to the color difference and pH figures of each specimen,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the specimen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lor difference and pH change. When looking at the gloss of each specimen, the specimen in which Lead White and Kaolin were pigment layers showed high levels even after deterioration when used at a concentration of 5% of vehicle and gold leaf glue. This is believed to have affected the gloss level as the gold leaf adhesion to the pigment layer became unstable due to the low concentration of vehicle and glue, and it led to surface irregularities such as blister and wrinkles which occurred diffused reflec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specimen where the ‘Shell White’ is a pigment layer, the gloss was higher when 3% concentration of vehicle and gold leaf glue were used.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the gold leaf surface deteriorated, the gloss level was affected by chemical change of the pigment layer with a high content of vehicle and glue.
      Through this study,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old leaf Koboon Method was covered, and the conservation of each material of the technique was considered. In conclusion, the pigment with the best conservative property in the gold leaf Koboon Method was Shell White,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stable when applied to the technique with a vehicle concentration of 5% and a gold leaf glue concentration of 3%. On the other hand, Lead White and Kaolin are considered to work better in conservation when vehicle and glue with a concentration of more than 5% are applied to the technique. Furthermore, this study of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ve property by gold leaf Koboon Method material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ose who need stable conservation of traditional paint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그림 목차 ⅳ
      • 표 목차 ⅵ
      • 국문초록 ⅷ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그림 목차 ⅳ
      • 표 목차 ⅵ
      • 국문초록 ⅷ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3
      • 제2장 금박 고분기법의 의의 및 사례 5
      • 제1절 금박 고분기법의 의의 및 제작기법 5
      • 제2절 금박 고분기법 사례 6
      • 1. 불화에 사용된 금박 고분기법 6
      • 2. 단청에 사용된 금박 고분기법 8
      • 3. 초상화에 사용된 금박 고분기법 8
      • 제3장 재료 및 연구방법 10
      • 제1절 공시재료 10
      • 1. 바탕재 10
      • 2. 전색제 및 포수재료 11
      • 가. 아교 11
      • 나. 명반 12
      • 3. 금박 13
      • 4. 안료 14
      • 가. 호분 14
      • 나. 연백 15
      • 다. 백토 16
      • 제2절 시편 제작 방법 17
      • 1. 시편 제작 17
      • 가. 바탕재 아교포수 17
      • 나. 배접 18
      • 다. 고분 쌓기 18
      • 라. 금박 부착 19
      • 마. 금박 털어내기 19
      • 2. 시편 구성 20
      • 제3절 연구 방법 21
      • 1. 촉진내후성 실험 및 방법 21
      • 2. 분석 방법 23
      • 가. 실체현미경 분석 23
      • 나. 색도 측정 23
      • 다. 광택도 측정 25
      • 라. 산성도 측정 26
      • 마.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27
      • 제4장 연구결과 및 고찰 28
      • 제1절 금박 고분기법의 특성 28
      • 1. 표면 관찰 결과 28
      • 2. 안료별 기법의 특성 30
      • 3. 전색제 및 금박 접착제의 농도별 기법의 특성 30
      • 제2절 촉진내후성 실험에 따른 열화특성 분석 결과 32
      • 1. 촉진내후성 실험 전·후 표면 관찰 결과 32
      • 2. 색도 및 광택도 변화에 의한 기법의 열화특성 44
      • 3. 산성도 변화에 의한 기법의 내구성 53
      • 제5장 결론 57
      • 참고문헌 60
      • Abstract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