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SCR 2309(2016)」 채택의 후속 조치로 ICAO는 2017년 기존의 ICASS를 대체하는 GASeP을 제정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 체약 당사국이 「Annex 17」에서 정한 SARPs를 효과적으로 이행하도록 5가지 P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210513
고양 :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학위논문(박사) --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 항공운항관리학과 항공우주법 , 2025. 2
2025
한국어
경기도
302 ; 26 cm
지도교수: 황호원
I804:41048-20000087097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UNSCR 2309(2016)」 채택의 후속 조치로 ICAO는 2017년 기존의 ICASS를 대체하는 GASeP을 제정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 체약 당사국이 「Annex 17」에서 정한 SARPs를 효과적으로 이행하도록 5가지 PO...
「UNSCR 2309(2016)」 채택의 후속 조치로 ICAO는 2017년 기존의 ICASS를 대체하는 GASeP을 제정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 체약 당사국이 「Annex 17」에서 정한 SARPs를 효과적으로 이행하도록 5가지 PO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2024년 ICAO는 GASeP의 포부목표를 현실성 있게 개정하며, 국제항공사회가 GASeP이라는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항공보안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GASeP 정책을 실효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관련 법체계가 미비하여 GASeP의 이행력 제고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위험기반의 항공보안관리체계 수립, 항공보안 자율신고제도 활성화를 통한 보안문화 촉진, 항공보안 감독관제도 개선을 위한 항공보안법령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첫째, 위험평가의 근간이 되는 항공안전 분야 SMS의 비교분석 및 RCS 규정에 따라 운영자가 보안 위험성을 발생가능성, 파급력, 취약성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산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항공보안관리체계, 즉 SeMS 표준운영 매뉴얼을 성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논문은 현재 선언적 수준의 지침을 명시하는 데 그치고 있는 「국가항공보안계획」과 「국가항공보안 우발계획」의 개정안 및 「항공보안법」, 「항공보안법 시행령」 제정안을 도출하여 운영자를 중심으로 위험기반의 SeMS 체계가 실제 항공보안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항공보안 자율신고제도 활성화 기반 국내 보안문화 촉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정문화에 기반하여 공익제보자에 대한 비처벌 면책규정 적용이 명확히 하고, 항공보안 의무보고와 자율신고제도의 통합 및 이벤트 분류체계 국제표준화 등을 통하여 현행 보고제도의 내실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보안문화 증진을 위해 ICAO YOSC 정책과 국토교통부의 보안문화 활성화 세부 추진과제를 SeMS 매뉴얼 내 보안문화 증진 활동 지침으로 반영하여, 운영자가 자발적으로 GASeP에서 요구하는 보안문화 촉진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셋째, 국가 항공보안 수준관리 강화를 위해 현행 국내 항공보안감독관제도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보안평가, 불시평가, 현장조사, 보안점검 수행 등을 통해 잠재된 항공보안 취약점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효과적으로 경감 조치해야 하는 감독업무는 상당한 전문성과 지식을 요구하므로, 항공보안감독관의 직무 전문성 확보를 위해 해외 주요 항공선진국 사례 및 국내 유사 분야 제도 비교·분석을 통해 직류별 항공보안감독 분야와 등급제도 신설을 제안하였다. 또한, 항공보안감독관의 교육·훈련 체계를 주요 항공선진국 수준으로 개편하여 항공보안감독관의 실질적인 점검역량이 확보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정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고질적인 항공보안감독관 인력난 해소를 위해 현행 항공보안감독관 및 감독자지정 제도를 개선 필요성을 분석하고, 감독 기능의 일부를 독립적인 준정부기관에 위탁하여 실효적으로 국가 항공보안 수준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