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Human and Non-human Beings in the Anthropocene: Case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92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동식물과 같은 비인간 생명 존재자들을 주제로 한 세 작가의 작업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현시대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인류세의 저명한 논자인 부르노 라투르(Bruno Latour),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의 이론을 사유하고, 나아가 ‘포스트네추럴(postnatural)’ 개념을 소개하며 이를 사례 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동물을 작업의 요소로 다루는 사례로는 김미루와 금혜원의 작업을 분석해보았다. 김미루가 인간과 동물을 상호 공존하는 삶의 관점에서 주목했다면 금혜원은 인간과 가장 친밀한 관계성을 가진 반려종을 죽음의 관점에서 드러냈다. 이러한 작업들은 포스트네추럴 동물을 대하는 인류세의 인간이 가진 태도에 대한 반성이자, 그들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식물과 인간의 관계성을 중점에 둔 사례로는 김이박의 작업을 다루었다. 김이박의 작업에 등장한 식물들은 인격화되어 사별을 겪는 행위의 주체로 등장하거나, 인간과 ‘소외’라는 개념을 공유하며 작업의 전반적인 행위자가 되었다. 그의 작업은 인간에 의해 선별적으로 이식되거나 재배되는 현대의 식물을 일반적인 범주에서 탈피시켰다. 그리고 이런 식물들을 지구 생태계의 명백한 행위자로 설정하고 이들을 인간의 행위와 함께 작품에 녹여냈다. 이는 스스로 이동할 수 없는 식물들 또한 지구 생태계 안에서 오롯이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바라본 포스트네추럴 동식물은 인간에 의해 변형되어왔을지라도 결국 생태계 안에서 인간과 함께 순환 작용을 지속하고 있다. 논문은 이들 작업이 함의하는 다양한 의미와 미래에도 지속될 포스트네추럴 비인간과의 공존을 모색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동식물과 같은 비인간 생명 존재자들을 주제로 한 세 작가의 작업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현시대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인류세의 저명한 논자인 부르노 라투르(Bruno Lat...

      이 논문은 동식물과 같은 비인간 생명 존재자들을 주제로 한 세 작가의 작업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현시대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인류세의 저명한 논자인 부르노 라투르(Bruno Latour),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의 이론을 사유하고, 나아가 ‘포스트네추럴(postnatural)’ 개념을 소개하며 이를 사례 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동물을 작업의 요소로 다루는 사례로는 김미루와 금혜원의 작업을 분석해보았다. 김미루가 인간과 동물을 상호 공존하는 삶의 관점에서 주목했다면 금혜원은 인간과 가장 친밀한 관계성을 가진 반려종을 죽음의 관점에서 드러냈다. 이러한 작업들은 포스트네추럴 동물을 대하는 인류세의 인간이 가진 태도에 대한 반성이자, 그들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식물과 인간의 관계성을 중점에 둔 사례로는 김이박의 작업을 다루었다. 김이박의 작업에 등장한 식물들은 인격화되어 사별을 겪는 행위의 주체로 등장하거나, 인간과 ‘소외’라는 개념을 공유하며 작업의 전반적인 행위자가 되었다. 그의 작업은 인간에 의해 선별적으로 이식되거나 재배되는 현대의 식물을 일반적인 범주에서 탈피시켰다. 그리고 이런 식물들을 지구 생태계의 명백한 행위자로 설정하고 이들을 인간의 행위와 함께 작품에 녹여냈다. 이는 스스로 이동할 수 없는 식물들 또한 지구 생태계 안에서 오롯이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바라본 포스트네추럴 동식물은 인간에 의해 변형되어왔을지라도 결국 생태계 안에서 인간과 함께 순환 작용을 지속하고 있다. 논문은 이들 작업이 함의하는 다양한 의미와 미래에도 지속될 포스트네추럴 비인간과의 공존을 모색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works of three artists focusing on non-human beings such as flora and fauna. To achieve this, the prominent theorists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Bruno Latour and Donna Haraway, were considered, and further, the concept of ‘postnatural’ was introduced as the basis for case studies. Analyzing the works of Miru Kim and Hyewon Keum as cases dealing with animals, Miru Kim’s work is scruti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whereas Hyewon Keum’s work unveils companion species from the perspective of death, showcasing their intimate relationships with humans. These work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ons on the attitudes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towards postnatural animals and attempts to explore coexistence with them. As for cas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humans, the work of Leepark Kim was discussed. In his work, plants appear personified, either as subjects undergoing separation or as participants sharing the concept of ‘alienation’ with human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the work. His work transcended contemporary categorizations of plants selectively bred or cultivated by humans, positioning them as explicit actors within the Earth’s ecosystem and integrating them into the artwork alongside human actions. This demonstrates that even immobile plants function solely within the Earth’s ecosystem. Postnatural flora and fauna, viewed from the boundaries of life and death, continue to interact with humans within the ecosystem, despite being modified by humans. The thesis explores the diverse meanings implied by these works and seeks to contemplate the ongoing coexistence with postnatural non-human beings into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works of three artists focusing on non-human beings such as flora and fauna. To achieve this, the prominent theorists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Bruno Latour and Donna Haraway, were considered, and further, the con...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works of three artists focusing on non-human beings such as flora and fauna. To achieve this, the prominent theorists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Bruno Latour and Donna Haraway, were considered, and further, the concept of ‘postnatural’ was introduced as the basis for case studies. Analyzing the works of Miru Kim and Hyewon Keum as cases dealing with animals, Miru Kim’s work is scruti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whereas Hyewon Keum’s work unveils companion species from the perspective of death, showcasing their intimate relationships with humans. These work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ons on the attitudes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towards postnatural animals and attempts to explore coexistence with them. As for cas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humans, the work of Leepark Kim was discussed. In his work, plants appear personified, either as subjects undergoing separation or as participants sharing the concept of ‘alienation’ with human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the work. His work transcended contemporary categorizations of plants selectively bred or cultivated by humans, positioning them as explicit actors within the Earth’s ecosystem and integrating them into the artwork alongside human actions. This demonstrates that even immobile plants function solely within the Earth’s ecosystem. Postnatural flora and fauna, viewed from the boundaries of life and death, continue to interact with humans within the ecosystem, despite being modified by humans. The thesis explores the diverse meanings implied by these works and seeks to contemplate the ongoing coexistence with postnatural non-human beings into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Miru Kim: Mingling with pigs
      • Ⅲ. Hyewon Keum: Death of companion species
      • Ⅳ. Leepark Kim: Living with recontextualized plants
      • Ⅴ. Conclusion
      • Ⅰ. Introduction
      • Ⅱ. Miru Kim: Mingling with pigs
      • Ⅲ. Hyewon Keum: Death of companion species
      • Ⅳ. Leepark Kim: Living with recontextualized plants
      • Ⅴ. Conclusion
      • References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